사용자:Rainy/작업장2: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미개통구간}}
 
{{철도역 정보
{{다른 뜻|동대구역 (도시철도)|코레일 철도역|대구 1호선의 역}}
|역명 = 서대구
{{철도역 정보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역명     = KOREAIL 동대구역
|소재지 = [[대구광역시]] [[서구 (대구광역시)|서구]] 북비산로 55 <br /> ([[상중이동|이현동]] 236-1)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KR}}
|개업일 =  
|글자색  = white
|종별 =
|그림    = [[파일:Korail Dongdaegu station.jpg]]<ref>지금은 [[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건설 진행중이어서 볼 수 없는 모습이다.</ref>
|등급 =
|그림2 = DongDaeguStationLEDpanel.jpg
|승강장 = 2면 2선
|그림설명2 = 전광판
|노선1 = [[경부선]]  
 
|전역1 = [[지천역|지천]]
|관할    = 코레일 대구본부
|전방면1 = [[서울]]
|개업일   = [[1969년]] [[6월 10일]]
|후역1 = [[대구역|대구]]
|종별 = 관리역
|후방면1= [[부산]]
|등급 = 1급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73
 
|노선1 = [[경부선]]
|역번호  =
|배경색1 =
|글자색1 =
|전방면1 = [[서울역|서 울]]
|전역1 = [[대구역|대 구]]
|전거리1 = 3.2
|후방면1 = [[부산역|부 산]]
|후역1 = [[고모역|고 모]]
|후거리1 = 5.5
 
|노선2 = [[경부고속선]]
|배경색2 =
|글자색2 =
|전방면2 = [[금천구청역|금천구청]]
|전역2 = [[김천구미역|김천구미]]
|전거리2 = 49.3
|후방면2 = [[부산역|부 산]]
|후역2 = [[신경주역|신경주]]
|후거리2 = 49.0
 
|노선3 = [[경부고속선|건천연결선]]
|배경색3 =
|글자색3 =
|전방면3 =
|전역3 =
|전거리3 =
|후방면3 = [[모량역|모 량]]
|후역3 = [[모량역|모 량]]
|후거리3 = 42.5
 
|노선4 =
|배경색4 =
|글자색4 =
|전방면4 =
|전역4 =
|전거리4 =
|후방면4 =
|후역4 =
|후거리4 =
}}
}}


'''서대구역'''(西大邱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서구 (대구광역시)|서구]] [[상중이동|이현동]]에 있는 [[경부선]] 화물 전용역이다. [[서대구산업단지]][[대구염색산업단지]]의 중간 지점에 있다.
== 개요 ==
[[한국철도공사]]의 경부선, 경부고속선 [[철도역]].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550에 위치한다.
 
대한민국에서 발착 편수가 가장 많은 역으로, [[경부선]]을 지나는 열차는 반드시 동대구역에 정차하며 [[중앙선]], [[동해남부선]], [[경전선]], [[경북선]], [[영동선]] 열차들이 분기하거나 합류하는 중요한 역이다. 승객수도 [[서울역]]에 이어 2위. 수요에 맞춰 제2맞이방을 열긴 했는 데 타는 곳으로 들어가지 않으면 눈에 띄지 않는 곳이라 주 맞이방만 사람이 넘쳐난다.


이 역은 착공 이래 현재까지 토목공사 등의 기반 시설과 역사 건립만 완료된 채 현재까지 사실상 방치되고 있으며, 영업은 하지 않는다. [[대구광역시]]와 [[한국철도공사]]가 대주주인 '대구복합화물터미널' 주식회사가 운영에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이 역시 2006년 3월에 폐업하였다. 이후로는 21만 7,000여[[제곱미터|m<sup>2</sup>]]에 이르는 넓은 부지를 바탕으로 [[대구권 광역철도]] [[전철역]] 조성을 비롯한 복합 환승 교통의 거점지 등으로의 개발 문제로 종종 언급되고 있다.
역 옆에서는 [[신세계]]에서 복합환승센터를 건설중으로, 완공하면 철도-고속버스-도시철도 간의 환승이 용이해진다. 그 동안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지적되었던 분산된 터미널이 1개로 합쳐지고, 동대구역과의 환승 통로가 신설된다.


== 역사 ==
== 역사 ==
=== 화물터미널 조성 사업 ===
* [[1969년]] [[6월 10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ref>[[철도청]] 고시 제113호 ([[1969년]] [[6월 4일]])</ref>
1991년 6월에 법인이 설립되고 1993년 9월에 도시계획 시설로 결정되어<ref>[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41700099137018&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5-04-17&officeId=00009&pageNo=37&printNo=9072&publishType=00010 서부화물터미널 건설 대구시 97년까지 완료], 《매일경제》 1995년 4월 17일 (네이버 디지털 뉴스 어카이브)</ref>, 1996년 12월부터 대구광역시와 한국철도공사, 민간업체 22개사가 공동으로 출자하여 '제3섹터' 방식으로 [[대구광역시]] 서구 이현동의 21,7000여m²부지를 바탕으로 서대구 복합 화물역사를 건립하는 공사가 추진되어 왔으며, 1997년 2월 21일에 대구복합화물터미널 기공식이 열렸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19970221.00000003.000140&newsType=old|제목=대구복합화물터미널 "첫삽"...오늘 기공식, 600억 투입|저자=전종건|출판사=영남일보|날짜=1997-02-21|확인일자=2012-11-09}}</ref>. 하지만 같은 해 12월, 당시 [[IMF 구제금융 요청|IMF 사태]]의 영향으로 주간사였던 [[청구 (기업)|청구]]의 부도로 인해 사업이 중단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서대구 화물역사 6년째 표류|url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030620.00000004.000160&newsType=old |출판사 =영남일보|날짜 =2003년 6월 20일|확인일자=2012년 11월 9일 }}
* [[1971년]] [[12월 29일]] : 선상역사 준공
</ref>. 2000년 6월에 재개되어 역사 건립까지 완료되었으나, 이번에는 영업 시설에 투자할 사업주관사에 희망하는 업체가 없어 이를 선정하지 못하는 바람에 공사가 중단되어 2003년 이래 수년간 방치되었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306190416 서대구 복합터미널 건설 7년째 표류], 《동아일보》 2003년 6월 19일</ref>
* [[2000년]] [[1월 1일]] : 동대구지역관리역으로 직제 변경
* [[2004년]] [[4월 1일]] :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한국고속철도|KTX]] 운행 개시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차]] 취급 중지
* [[2006년]] [[7월 1일]] : 대구본부 관리역으로 변경
* [[2007년]] [[6월 1일]] : [[김천역]], [[구미역]] 경유 [[한국고속철도|KTX]] 운행 개시
* [[2008년]] [[1월 1일]] : 동대구-포항 [[통근열차]] 폐지 및 동대구-포항 [[무궁화호]] 운행 개시
* [[2009년]] [[5월 15일]] : 증축 공사 착공
* [[2010년]] [[11월 1일]] : [[경부고속철도]] 2단계 개통과 함께 [[김천역]], [[구미역]] [[한국고속철도|KTX]] 폐지 및 동대구-부전 [[새마을호]] 운행 개시
* [[2010년]] [[12월 15일]] : [[경전선]] [[한국고속철도|KTX]] 운행 개시 및 서울-동대구 [[새마을호]] 운행
* [[2011년]] [[5월 1일]] : 동대구 착발 [[한국고속철도|KTX]] 운행 종료
* [[2012년]] [[7월 25일]] : [[경부선]] 복복선화 사업으로 [[진해선]] [[새마을호]] 시·종착이 됨
* [[2012년]] [[8월 1일]] : 경북권 통근 [[무궁화호]] 운행 개시
* [[2012년]] [[11월 1일]] : [[진해선]] [[새마을호]] 폐지 및 동대구 착발 [[한국고속철도|KTX]] 운행 재개
* [[2014년]] [[5월 1일]] : 동대구-영주 간 충북종단열차 운행 개시
* [[2014년]] [[5월 12일]] : [[ITX-새마을]] 운행 개시
* [[2014년]] [[6월 30일]] : [[인천국제공항역]] 착발 [[한국고속철도|KTX]] 운행 개시
* [[2015년]] [[4월 2일]] : [[동해선]] [[한국고속철도|KTX]] 운행 개시
* [[2015년]] [[10월 16일]] : 청도 불빛열차 운행 개시
== 경유 노선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idth: 48em;"
! colspan="6" | 물리적 경유 노선
|-
! colspan="6"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KR}}; color: white;" | 한국철도공사
|-
| style="width: 10em;"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KR}}; color: white;" | 101 [[경부고속선|<span style="color: white;">경부고속본선</span>]]<br /><small>(267.5 km)</small>
| style="width: 12em;" | [[금천구청역|금천구청]] 방면<br/>[[김천구미역|김천구미]] 53.1 km
| style="width: 1em;" | ←
| style="width: 8em;" | '''동대구'''
| style="width: 1em;" | →
| style="width: 12em;" | [[부산역|부산]] 방면<br />[[신경주역|신경주]] 49.0 km
|-
| style="width: 10em;"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KR}}; color: white;" | 201 [[경부선|<span style="color: white;">경부본선</span>]]<br /><small>(326.3 km)</small>
| style="width: 12em;" | [[서울역|서울]] 방면<br/>[[대구역|대구]] 3.1 km
| style="width: 1em;" | ←
| style="width: 8em;" | '''동대구'''
| style="width: 1em;" | →
| style="width: 12em;" | [[부산역|부산]] 방면<br />[[고모역|고모]] 5.5 km
|}
 
== 승강장과 정차홈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승강장
|-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27" | ↑[[대전역]], [[서울역]], [[영주역]], [[정동진역]]<ref>무궁화호 1692열차</ref> 방면
|- style="text-align: center"
| ㅣ
! 14
! 13
| ㅣ
| ㅣ
! 12
! 11
| ㅣ
| ㅣ
! 10
! 9
| ㅣ
| ㅣ
! 8
! 7
| ㅣ
| ㅣ
! 6
! 5
| ㅣ
| ㅣ
| ㅣ
! 3
! 2
| ㅣ
| ㅣ
! 1
|-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4" | [[경부선]] [[서울역|서울]]행
| colspan="4" | [[경부고속선]]<br />[[서울역|서울]], [[인천국제공항역|인천공항]], [[행신역|행신]]행
| colspan="4" | 미사용<ref>과거 존재했었던 동대구발 서울행 KTX의 플랫폼으로 활용되었으나 해당 KTX는 사라졌고, [[2016년]] [[3월]] 현재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공사를 거치며 승강장을 일부 폐쇄하고 고가도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ref>
| colspan="4" | [[경부고속선]]<br />[[부산역|부산]], [[포항역|포항]], [[진주역|진주]]행
| colspan="2" | [[경부선]] 부산행
| colspan="2" | [[마산역|마산]]행 및 당역종착
| 통과선로
| colspan="4" | [[포항역|포항]]행<br />[[부전역|부전]]행 착발
| colspan="2" | 동대구역 출발 [[서울역|서울]]행, [[정동진역|정동진]]행
|-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27" | ↓[[부산역]], [[진주역]], [[마산역]] 방면 / [[포항역]], [[부전역]], [[정동진역]]<ref>무궁화호 1672, 1674열차</ref> 방면
|}
 
== 열차 이용 정보 ==
*시간표는 종착역을 제외하고 모두 출발시간 기준입니다.
 
=== 여객열차 ===
* '''기준일자''' 2016년 5월 1일
{{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한국철도공사{{!}}KORAIL]]<br />여객본부|11}}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한국고속철도{{!}}KTX]]|5}}
{{경유 열차 목록/한국/100|표시=표시|계통칸=3}}
{{경유 열차 목록/한국/300}}
{{경유 열차 목록/한국/350}}
{{경유 열차 목록/한국/400|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한국/800|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ITX-새마을]]|2}}
{{경유 열차 목록/한국/1000|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한국/1030|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무궁화호]]|4}}
{{경유 열차 목록/한국/1200|표시=표시|계통칸=2}}
{{경유 열차 목록/한국/1250}}
{{경유 열차 목록/한국/1270|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한국/계통|계통명=[[대구선]]|역목록=[[동대구역|동대구]] - [[하양역|하양]] - [[영천역|영천]] - [[건천역|건천]] - [[서경주역|서경주]] - [[경주역|경주]] - [[안강역|안강]] - [[포항역|포항]]|운행편수=[[추가바람]]}}
{{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한국철도공사{{!}}KORAIL]]<br />관광사업단}}
! colspan="2" |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경북관광테마열차]]
| '''동대구''' - [[대구역|대구]] - [[왜관역|왜관]] - [[구미역|구미]] - [[김천역|김천]] - [[옥산역|옥산]] - [[상주역|상주]] - [[점촌역|점촌]] - [[용궁역|용궁]] - [[예천역|예천]] - [[영주역|영주]] - [[안동역|안동]] - [[의성역|의성]] - [[탑리역|탑리]] - [[화본역|화본]] - [[북영천역|북영천]] - '''동대구'''
| style=text-align:center; | 1일 1회
|-
{{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 [[KTX]] ===
==== [[경부선]], [[경부고속선]] ====
[http://www.korailtalk.co.kr/21 경부선 KTX 상행 시간표]<br />
[http://www.korailtalk.co.kr/20 경부선 KTX 하행 시간표]
 
==== [[경전선]]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경전선 KTX 상행 시간표
|- style="background: #1122EE; color: white;"
| '''[[KTX|{{색상|white|KTX}}]]'''
| colspan="10" | [[서울역|{{색상|white|서울역}}]] 방면으로 가는 상행열차
|- style="background: #1188EE;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열차 번호'''
| 동대구
| 김천구미
| 대전
| 오송
| 천안아산
| 광명
| 서울
| 행신
| 검암
| 인천공항
|-style="text-align: center"
| 402
! 06 : 29
|
| 07 : 15
| 07 : 32
|
| 08 : 03
| 08 : 20
|
|
|
|-style="text-align: center"
| 404
! 07 : 59
| 08 : 22
| 08 : 51
|
| 09 : 15
| 09 : 38
| 10 : 05
|
| 10 : 35
| 10 : 52
|-style="text-align: center"
| 406
! 10 : 33
|
| 11 : 19
| 11 : 36
|
| 12 : 07
| 12 : 32
| 12 : 52
|
|
|-style="text-align: center"
| 408
! 11 : 38
|
| 12: 25
|
|
| 13 : 08
| 13 : 25
|
|
|
|-style="text-align: center"
| 482<ref name="ss">토일 한정운행</ref>
! 13 : 03
|
| 13 : 49
|
|
| 14 : 33
| 14 : 50
|
|
|
|-style="text-align: center"
| 410
! 13 : 43
|
| 14 : 29
|
|
| 15 : 10
| 15 : 26
|
|
|
|-style="text-align: center"
|412
! 14 : 36
|
| 15 : 22
|
|
| 16 : 03
| 16 : 20
|
|
|
|-style="text-align: center"
| 414
! 16 : 38
| 17 : 01
| 17 : 30
| 17 : 47
|
| 18 : 18
| 18 : 34
|
|
|
|-style="text-align: center"
| 416
! 19 : 05
|
| 19 : 51
|
| 20 : 14
| 20 : 37
| 20 : 54
|
|
|
|-style="text-align: center"
| 418
! 21 : 03
|
| 21 : 50
|
|
| 22 : 32
| 22 : 49
|
|
|
|-style="text-align: center"
| 484<ref name="fss">금토일 한정운행</ref>
! 21 : 34
|
| 22 : 20
|
|
| 23 : 02
| 23 : 18
|
|
|
|-style="text-align: center"
| 420
! 22 : 33
|
| 23 : 19
|
| 23 : 42
| 00 : 05
| 00 : 22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경전선 KTX 상행 요금표 (단위: 원)
|- style="background: #1122EE;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좌석구분
| 김천구미
| 대전
| 오송
| 천안아산
| 광명
| 서울
| 행신
| 검암
| 인천공항
|-style="text-align: center"
! 일반실
| 8400
| 19700
| 24800
| 29300
| 41300
| 43500
| 44900
| 49500
| 55800
|-style="text-align: center"
! 특실
| 13200
| 27600
| 34700
| 41000
| 57800
| 60900
| 62900
| 69300
| 78100
|}
 
*위 시간표는 2016년 1월 1일 개정 시간표이며 작성날짜는 2016년 02월 03일 입니다. 날짜에 따라 시간표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코레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인해 시간표가 바뀌어 시간표를 수정할 경우 시간표 개정이 이루어진 날짜를 바꿔 주세요
*요금표는 성인기준 1인당 요금입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경전선 KTX 하행 시간표
|- style="background: #1122EE; color: white;"
| '''[[KTX|{{색상|white|KTX}}]]'''
| colspan="10" | [[진주역|{{색상|white|진주역}}]] 방면으로 가는 상행열차
|- style="background: #1188EE;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열차 번호'''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
|-style="text-align: center"
| 401
! 06 : 59
|
|
| 07 : 48
| 07 : 59
| 08 : 07
| 08 : 12
| 마산종착
|-style="text-align: center"
| 403
! 07 : 43
| 07 : 53
| 08 : 19
|
| 08 : 45
|
| 08 : 57
| 09 : 22
|-style="text-align: center"
| 481<ref name="ss"/>
! 09 : 15
|
| 09 : 47
|
| 10 : 12
|
| 10 : 23
| 마산종착
|-style="text-align: center"
| 405
! 10 : 34
|
| 11 : 07
|
| 11 : 32
|
| 11 : 43
| 마산종착
|-style="text-align: center"
| 407
! 11 : 01
|
| 11 : 32
| 11 : 50
|
| 12 : 06
| 12 : 12
| 12 : 36
|-style="text-align: center"
| 409
! 12 : 30
|
| 13 : 03
|
| 13 : 29
| 13 : 38
| 13 : 45
| 14 : 09
|-style="text-align: center"
| 411
! 15 : 26
|
| 15 : 58
|
| 16 : 24
|
| 16  : 36
| 17 : 01
|-style="text-align: center"
| 483<ref name="fss"/>
! 17 : 23
|
| 17 : 57
|
|
| 18 : 28
| 18 : 35
| 19 : 00
|-style="text-align: center"
| 413
! 18 : 02
|
|
| 18 : 49
| 19 : 02
|
| 19 : 12
| 마산종착
|-style="text-align: center"
| 415
! 18 : 55
|
| 19 : 27
|
| 19 : 53
| 20 : 03
| 20 : 08
| 마산종착
|-style="text-align: center"
| 417
! 21 : 09
|
|
| 21 : 56
| 22 : 07
| 22: 15
| 22 : 22
| 22 : 47
|-style="text-align: center"
| 419
! 00 : 02
|
| 00 : 34
|
|
| 01 : 05
| 01 : 10
| 마산종착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경전선 KTX 하행 요금표 (단위: 원)
|- style="background: #1122EE;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좌석구분
| 경산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
|-style="text-align: center"
! 일반석
| 8400
| 8400
| 8400
| 9800
| 10900
| 11200
| 16300
|-style="text-align: center"
! 특실
| 13200
| 13200
| 13200
| 14600
|15700
| 16000
| 22800
|}
 
*위 시간표는 2016년 1월 1일 개정 시간표이며 작성날짜는 2016년 02월 03일 입니다. 날짜에 따라 시간표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코레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인해 시간표가 바뀌어 시간표를 수정할 경우 시간표 개정이 이루어진 날짜를 바꿔 주세요
*요금표는 성인기준 1인당 요금입니다.
 
==== [[동해선]]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동해선 KTX 상행 시간표
|- style="background: #1122EE; color: white;"
| '''[[KTX|{{색상|white|KTX}}]]'''
| colspan="10" | [[서울역|{{색상|white|서울역}}]] 방면으로 가는 상행열차
|- style="background: #1188EE;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열차 번호'''
| 동대구
| 김천구미
| 대전
| 오송
| 천안아산
| 광명
| 서울
| 행신
| 검암
| 인천공항
|-style="text-align: center"
| 802
! 06 : 10
|
| 06 : 56
|
|
| 07 : 38
| 07 : 55
|
|
|
|-style="text-align: center"
| 804
! 07 : 59
| 08 : 22
| 08 : 51
|
| 09 : 15
| 09 : 38
| 10 : 05
|
| 10 : 35
| 10 : 52
|-style="text-align: center"
| 806
! 10 : 33
|
| 11 : 19
| 11 : 36
|
| 12 : 07
| 12 : 32
| 12 : 52
|
|
|-style="text-align: center"
| 808
! 11 : 20
|
| 12 : 07
| 12 : 24
|
| 12 : 56
| 13 : 12
|
|
|
|-style="text-align: center"
| 810
! 13 : 43
|
| 14 : 29
|
|
| 15 : 10
| 15 : 26
|
|
|
|-style="text-align: center"
| 812
! 14 : 45
|
| 15 : 31
|
|
|
| 16 : 24
|
|
|
|-style="text-align: center"
| 814
! 17 : 37
| 18 : 00
| 18 : 29
|
| 18 : 52
| 19 : 15
| 19 : 40
| 20 : 00
|
|
|-style="text-align: center"
| 816
! 19 : 27
| 19 : 50
| 20 : 19
| 20 : 36
|
| 21 : 08
| 21 : 25
|
|
|
|-style="text-align: center"
| 818
! 20 : 35
|
| 21 : 21
|
| 21 : 45
|
| 22 : 21
|
|
|
|-style="text-align: center"
| 820
! 22 :33
|
| 23 : 19
|
| 23 : 42
| 00 : 05
| 00 : 22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동해선 KTX 하행 시간표
|- style="background: #1122EE; color: white;"
| '''[[KTX|{{색상|white|KTX}}]]'''
| colspan="10" | [[포항역|{{색상|white|포항역}}]] 방면으로 가는 하행열차
|- style="text-align: center"
| (열차번호)<br />동대구출발<br />포항도착
| (801)<br />07 : 40<br />08 : 15
| (803)<br />08 : 51<br />09 : 26
| (805)<br />10 : 32<br />11 : 07
| (807)<br />11 : 58<br />11 : 58
| (809)<br />14 : 55<br />15 : 30
| (811)<br />16 : 26<br />17 : 01
| (813)<br />18 : 00<br />18 : 35
| (815)<br />18 : 39<br />19 : 14
| (817)<br />21 : 07<br />20 : 42
| (819)<br />00 : 00<br />00 : 35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동해선 KTX 요금표 (단위: 원)
|- style="background: #1122EE;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좌석구분
| 포항
| 김천구미
| 대전
| 오송
| 천안아산
| 광명
| 서울
| 행신
| 검암
| 인천공항
|-style="text-align: center"
! 일반실
| 10900
| 8400
| 19700
| 24800
| 29300
| 41300
| 43500
| 44900
| 49500
| 55800
|-style="text-align: center"
! 특실
| 15700
| 13200
| 27600
| 34700
| 41000
| 57800
| 60900
| 62900
| 69300
| 78100
|}
 
*위 시간표는 2016년 1월 1일 개정 시간표이며 작성날짜는 2016년 02월 03일 입니다. 날짜에 따라 시간표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코레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인해 시간표가 바뀌어 시간표를 수정할 경우 시간표 개정이 이루어진 날짜를 바꿔 주세요
*요금표는 성인기준 1인당 요금입니다.
 
=== [[ITX-새마을]]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경부선 ITX-새마을 상행 열차 시각표
|- style="background: #DC143C; color: white;"
| '''[[ITX-새마을|{{색상|white|ITX-새마을}}]]'''
| colspan="13" | [[서울역|{{색상|white|서울역}}]] 방면으로 가는 상행열차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열차 번호'''
| 동대구
| 대구
| 왜관
| 구미
| 김천
| 영동
| 대전
| 조치원
| 천안
| 평택
| 수원
| 영등포
| 서울
|-style="text-align: center"
| 1002
! 07:36
| 07:42
|
| 08:10
| 08:26
| 08:53
| 09:22
| 09:46
| 10:07
|
| 10:37
| 10:58
| 11:07
|-style="text-align: center"
| 1004
! 10:21
| 10:27
|
| 10:55
| 11:11
|
| 12:04
|
| 12:46
|
| 13:17
| 13:39
| 13:48
|-style="text-align: center"
| 1006
! 12:42
| 12:48
|
| 13:16
| 13:32
| 13:59
| 14:28
|
| 15:09
| 15:23
| 15:43
| 16:04
| 16:13
|-style="text-align: center"
| 1008
! 14:56
| 15:02
|
| 15:31
| 15:47
| 16:14
| 16:44
|
| 17:27
| 17:40
| 18:01
| 18:22
| 18:31
|-style="text-align: center"
| 1010
! 16:21
| 16:28
| 16:47
| 17:01
| 17:17
|
| 18:10
| 18:34
| 18:56
|
| 19:28
| 19:49
| 19:58
|-style="text-align: center"
| 1012
! 18:34
| 18:40
|
| 19:09
| 19:25
|
| 20:18
|
| 21:00
|
| 21:30
| 21:54
| 22:04
|-style="text-align: center"
| 1014
! 20:56
| 21:02
|
| 21:31
| 21:47
|
| 22:41
| 23:06
| 23:28
|
| 00:01
| 00:23
| 00:32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경부선 ITX-새마을 하행 열차 시각표
|- style="background: #DC143C; color: white;"
| '''[[ITX-새마을|{{색상|white|ITX-새마을}}]]'''
| colspan="13" | [[부산역|{{색상|white|부산역}}]] 방면으로 가는 하행열차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열차 번호'''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물금
| 구포
| 부산
|-style="text-align: center"
| 1001
! 09:44
|
|
| 10:16
| 10:35
| 10:45
| 10:57
|-style="text-align: center"
| 1003
! 12:14
|
| 12:37
|
|
| 13:15
| 13:28
|-style="text-align: center"
| 1005
! 14:32
| 14:44
|
| 15:10
|
| 15:36
| 15:49
|-style="text-align: center"
| 1007
! 15:33
|
|
| 16:07
| 16:26
| 16:36
| 16:48
|-style="text-align: center"
| 1009
! 17:46
|
| 18:09
| 18:23
|
| 18:48
| 19:00
|-style="text-align: center"
| 1011
! 19:44
|
|
|
|
| 20:40
| 20:53
|-style="text-align: center"
| 1013
! 23:41
|
|
| 00:14
|
| 00:40
| 00:53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경전선 ITX-새마을 열차 시각표
|- style="background: #DC143C; color: white;"
| '''[[ITX-새마을|{{색상|white|ITX-새마을}}]]'''
| colspan="13" | [[서울역|{{색상|white|서울역}}]] 방면으로 가는 상행열차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열차 번호'''
| 동대구
| 대구
| 왜관
| 구미
| 김천
| 대전
| 조치원
| 천안
| 평택
| 수원
| 영등포
| 서울
|-style="text-align: center"
| 1032
! 10:39
| 10:45
| 11:03
| 11:17
| 11:33
| 12:26
| 12:50
| 13:12
| 13:25
| 13:46
| 14:07
| 14:16
|- style="background: #DC143C; color: white;"
| '''[[ITX-새마을|{{색상|white|ITX-새마을}}]]'''
| colspan="13" | [[진주역|{{색상|white|진주역}}]] 방면으로 가는 하행열차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widht:100%"
| 열차번호
| 동대구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
|
|
|
|
|-style="text-align: center"
| 1031
! 22:57
| 23:29
| 23:49
| 00:00
| 00:09
| 00:15
| 00:27
| 00:46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ITX-새마을 상행 열차 요금표 (단위: 원)
|- style="background: #DC143C;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대구
| 왜관
| 구미
| 김천
| 영동
| 대전
| 조치원
| 천안
| 평택
| 수원
| 영등포
| 서울
|-style="text-align: center"
| 4800
| 4800
| 4800
| 7000
| 11100
| 15400
| 19000
| 22100
| 24200
| 27400
| 30600
| 31400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ITX-새마을 하행 열차 요금표 (단위: 원)
|- style="background: #DC143C;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경산
| 청도
| 밀양
| 물금
| 구포
| 부산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
|-style="text-align: center"
| 4800
| 4800
| 5300
| 8300
| 9500
| 11100
| 7700
| 9100
| 9400
| 9700
| 11200
| 14500
|}
 
*위 시간표는 2016년 1월 1일 개정 시간표이며 작성날짜는 2016년 02월 03일 입니다. 날짜에 따라 시간표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코레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인해 시간표가 바뀌어 시간표를 수정할 경우 시간표 개정이 이루어진 날짜를 바꿔 주세요
*요금표는 성인기준 1인당 요금입니다.
 
=== [[무궁화호]] ===
==== [[경부선]] ====
[http://www.korailtalk.co.kr/103 경부선 상행 시간표]<br />
[http://www.korailtalk.co.kr/102 경부선 하행 시간표]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부산 무궁화호 1341 시간표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 '''[[무궁화호|{{색상|white|무궁화호}}]]'''
| colspan="13" | [[부산역|{{색상|white|부산}}]] 방면으로 가는 열차
|-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열차 번호'''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
|-style="text-align: center"
| 1341
! 06:05
| 06:15
| 06:26
| 06:34
| 06:43
| 06:50
| 06:59
| 07:06
| 07:14
| 07:21
| 07:26
| 07:32
| 07:42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1341 열차 요금표 (단위: 원)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
|-style="text-align: center"
| 2600
| 2600
| 2600
| 3000
| 3600
| 4400
| 5000
| 5600
| 6200
| 6400
| 6700
| 7500
|}
*해당 열차는 동대구역에서 출발해 [[부산역]]까지 가는 열차로 동대구역과 [[부산역]]사이에 있는 [[무궁화호]]를 취급하는 모든역에 정차한다. 따라서 좀 느릴것이다.
 
==== [[경북선]]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경북선 무궁화호 상행 시간표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 '''[[무궁화호|{{색상|white|무궁화호}}]]'''
| colspan="10" | [[김천역|{{색상|white|김천}}]], [[영주역|{{색상|white|영주}}]] 방면으로 가는 상행 열차
|-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rowspan=2 | '''열차 번호'''
| 동대구
| 대구
| 신동
| 왜관
| 약목
| 구미
| 김천
| 옥산
| 청리
| 상주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함창
| 점촌
| 용궁
| 개포
| 예천
| 영주
| colspan=4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822
! 08 : 10
| 08 : 16
|
| 08 : 35
| 08 : 41
| 08 : 51
| 09 : 11
| 09 : 34
| 09 : 42
| 09 : 52
|-style="text-align: center"
| 10 : 13
| 10 : 20
| 10 : 30
|
| 10 : 51
| 11 : 24
| colspan=4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824
! 17 : 49
| 17 : 56
|
| 18 : 15
| 18 : 15
| 18 : 32
| 18 : 51
| 19 : 13
| 19 : 22
| 19 : 32
|-style="text-align: center"
| 19 : 52
| 19 : 59
| 20 : 09
|
| 20 : 30
| 21 : 05
| colspan=4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826
! 20 : 02
| 20 : 09
| 20: 22
| 20 : 31
| 20 : 37
| 20 : 48
| 21 : 07
| 21 : 28
| 21 : 37
| 21 : 47
|-style="text-align: center"
| 22 : 07
| 22 : 14
| 22 : 24
| 22 : 33
| 22 : 47
| 23 : 21
| colspan=4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경북선 무궁화호 상행 열차 요금표 (단위: 원)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대구
| 신동
| 왜관
| 약목
| 구미
| 김천
| 옥산
| 청리
|-style="text-align: center"
| 2600
| 2600
| 2600
| 2600
| 3200
| 4700
| 6000
| 6400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상주
| 함창
| 점촌
| 용궁
| 개포
| 예천
| 영주
|
|-style="text-align: center"
| 7000
| 8200
| 8500
| 8900
| 9300
| 10000
| 11900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경북선 무궁화호 하행 시간표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 '''[[무궁화호|{{색상|white|무궁화호}}]]'''
| colspan="10" | [[부산역|{{색상|white|부산}}]] 방면으로 가는 하행 열차
|-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열차 번호'''
| 동대구
| 경산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구포
| 부산
|-style="text-align: center"
| 1821
! 09 : 06
| 09 : 17
| 09 : 36
|
| 09 : 52
| 10 : 02
|
| 10 : 15
| 10 : 26
| 10 : 39
|-style="text-align: center"
| 1823
! 13 : 32
| 13 : 42
| 13 : 58
| 14 : 07
| 14 : 15
| 14 : 25
|
| 14 : 37
| 14 : 46
| 15 : 01
|-style="text-align: center"
| 1825
! 17 : 36
| 17 : 47
| 18 : 03
|
| 18 : 18
| 18 : 32
| 18 : 40
| 18 : 48
| 18 : 59
| 19 : 12
|}
 
==== [[충북선]]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충북선 무궁화호 시간표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 '''[[무궁화호|{{색상|white|무궁화호}}]]'''
| colspan="12" | [[대전역|{{색상|white|대전}}]], [[영주역|{{색상|white|영주}}]] 방면으로 가는 열차
|-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rowspan=3 | '''열차 번호'''
| 동대구
| 대구
| 신동
| 왜관
| 사곡
| 구미
| 김천
| 추풍령
| 황간
| 영동
| 각계
| 심천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지탄
| 이원
| 옥천
| 대전
| 신탄진
| 부강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음성
| 주덕
| 충주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colspan=5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3 | 4301
! 05:30
| 05:37
| 05:49
| 05:57
| 06:07
| 06:12
| 06:28
| 06:42
| 06:49
| 07:00
| 07:07
| 07:12
|-style="text-align: center"
| 07:16
| 07:22
| 07:29
| 07:42
| 07:54
| 08:04
| 08:14
| 08:20
| 08:27
| 08:35
| 08:38
| 08:48
|-style="text-align: center"
| 09:05
| 09:15
| 09:23
| 09:52
| 10:10
| 10:33
| 10:45
| colspan=5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3 | 4303
! 18:00
| 18:08
|
| 18:27
|
| 18:42
| 18:59
|
|
| 19:28
|
|
|-style="text-align: center"
|
|
| 19:47
| 20:01
| 20:13
| 20:23
| 20:33
| 20:39
| 20:46
| 20:54
| 20:57
| 21:07
|-style="text-align: center"
| 21:24
| 21:34
| 21:43
| 22:12
| 22:29
| 22:52
| 23:05
| colspan=5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4301, 4303 열차 요금표 (단위: 원)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대구
| 신동
| 왜관
| 사곡
| 구미
| 김천
| 추풍령
| 황간
| 영동
| 각계
| 심천
| 지탄
|-style="text-align: center"
| 2600
| 2600
| 2600
| 2900
| 3200
| 4700
| 5900
| 6500
| 7400
| 7900
| 8100
| 8400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이원
| 옥천
| 대전
| 신탄진
| 부강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style="text-align: center"
| 8800
| 9300
| 10400
| 11300
| 12100
| 12800
| 13000
| 13500
| 14100
| 14300
| 15100
| 16500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주덕
| 충주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colspan=6 |
|-style="text-align: center"
| 17300
| 18000
| 20500
| 21900
| 23600
| 24500
| colspan=6 |
|}
 
*예매시에도 나오지만 이 열차는 동대구역을 출발해서 영주까지 가는데 대전을 거쳐서 C자형으로 우회해서 가는 열차다. 대구에서 영주갈 일이 있다면 이 기차는 타지말자. <s>사실 이 열차는 역무원이 끊어주지도 않는다.</s>
 
==== [[대구선]]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대구선 무궁화호 시간표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 '''[[무궁화호|{{색상|white|무궁화호}}]]'''
| colspan="8" | [[포항역|{{색상|white|포항}}]] 방면으로 가는 열차
|-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열차 번호'''
| 동대구
| 하양
| 영천
| 건천
| 서경주
| 경주
| 안강
| 포항
|-style="text-align: center"
| 1751
! 06 : 00
| 06 : 19
| 06 : 34
| 06 : 52
| 07 : 06
| 07 : 17
| 07 : 35
| 07 : 51
|-style="text-align: center"
| 1753
! 09 : 00
| 09 : 20
| 09 : 35
| 09 : 55
| 10 : 08
| 10 : 18
| 10 : 36
| 10 : 52
|-style="text-align: center"
| 1755
! 15 : 00
| 15 : 19
| 15 : 35
| 15 : 53
| 16 : 11
| 16 : 19
| 16 : 37
| 16 : 53
|-style="text-align: center"
| 1757
! 18 : 30
| 18 : 49
| 19 : 06
| 19 : 24
| 19 : 39
| 19 : 50
| 20 : 09
| 20 : 25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대구선 무궁화호 요금표 (단위: 원)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하양
| 영천
| 건천
| 서경주
| 경주
| 안강
| 포항
|-style="text-align: center"
| 2600
| 2600
| 3600
| 4700
| 5000
| 6100
| 7200
|}
*참고로 포항가는 버스는 비슷한 가격에 조금 더 빨리 간다. 포항갈 일이 있다면 KTX를 타거나 버스를 타자
 
==== [[동해남부선]]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동해남부선 무궁화호 시간표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 '''[[무궁화호|{{색상|white|무궁화호}}]]'''
| colspan="9" | [[경주역|{{색상|white|경주}}]], [[부전역|{{색상|white|부전}}]] 방면으로 가는 열차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rowspan=2 | '''열차 번호'''
| 동대구
| 하양
| 영천
| 서경주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해운대
| 수영
| 부전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771
! 07 : 00
| 07 : 19
| 07 : 34
| 08 : 05
| 08 : 13
| 08 : 24
| 08 : 41
| 08 : 53
| 09 : 03
|-style="text-align: center"
| 09 : 14
| 09 : 25
| 09 : 30
| 09 : 39
| 09 : 46
| 09 : 51
| 09 : 58
| 10 : 10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773
! 07 : 30
| 07 : 49
| 08 : 04
| 08 : 36
| 08 : 42
|
| 09 : 08
| 09 : 18
|
|-style="text-align: center"
|
|
|
| 09 : 57
|
| 10 : 06
|
| 10 : 22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775
! 08 : 30
| 08 : 48
| 09 : 05
| 09 : 42
| 09 : 48
| 09 : 58
| 10 : 14
| 10 : 23
| 10 : 32
|-style="text-align: center"
| 10 : 41
| 10 : 53
| 10 : 58
| 11 : 07
| 11 : 14
| 11 : 19
| 11 : 26
| 11 : 38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777
! 09 : 30
| 09 : 49
| 10 : 04
| 10 : 34
| 10 : 41
|
| 11 : 10
| 11 : 21
|
|-style="text-align: center"
|
|
|
| 12 : 00
|
| 12 : 09
|
| 12 :25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779
! 10 : 30
| 10 : 49
| 11 : 04
| 11 : 41
| 11 : 48
| 11 : 59
| 12 : 17
| 12 : 26
| 12 : 35
|-style="text-align: center"
| 12 : 45
| 12 : 56
| 13 : 01
| 13 : 10
| 13 : 17
| 13 : 24
| 13 : 35
| 13 : 46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781
! 11 : 35
| 11 : 53
| 12 : 09
| 12 : 40
| 12 : 48
| 12 : 59
| 13 : 16
| 13 : 28
| 13 : 39
|-style="text-align: center"
| 13 : 49
| 14 : 00
| 14 : 05
| 14 : 14
| 14 : 22
| 14 : 27
|
| 14 : 43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783
! 14 : 00
| 14 : 18
| 14 : 32
|
| 15 : 10
| 15 : 22
| 15 : 41
| 15 : 51
| 16 : 00
|-style="text-align: center"
| 16 : 10
| 16 : 21
| 16 : 26
|16 : 35
| 16 : 42
| 16 : 47
|
| 17 : 07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785
! 16 : 00
| 16 : 18
| 16 : 33
| 17 : 01
| 17 : 09
| 17 : 20
| 17 : 37
| 17 : 48
| 17 : 58
|-style="text-align: center"
| 18 : 08
| 18 : 19
| 18 : 24
| 18 : 33
| 18 : 40
| 18 : 45
|
| 19 : 01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787
! 17 : 00
| 17 : 18
| 17 : 31
| 18 : 02
| 18 : 09
|
| 18 : 38
| 18 : 48
|
|-style="text-align: center"
|
|
|
| 19 : 25
|
| 19 : 34
| 19 : 41
| 19 : 52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789
! 17 : 30
| 17 : 47
| 18 : 02
| 18 : 35
| 18 : 43
| 18 : 53
| 19 : 13
| 19 : 22
| 19 : 30
|-style="text-align: center"
| 19 : 40
| 19 : 51
| 19 : 56
| 20 : 05
| 20 : 12
| 20 : 17
| 20 : 24
| 20 : 36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791
! 19 : 05
| 19 : 25
| 19 : 42
| 20 : 16
| 20 : 23
| 20 : 34
| 20 : 55
| 21 : 06
| 21 : 16
|-style="text-align: center"
| 21 : 25
| 21 : 37
| 21 : 42
| 21 : 52
| 21 : 59
| 22 : 06
| 22 : 15
| 22 : 26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793
! 20 :00
| 20 : 18
| 20 : 34
| 21 : 08
| 21 : 15
| 21 : 25
| 21 : 44
| 21 : 55
| 22 : 04
|-style="text-align: center"
| 22 : 14
| 22 : 25
| 22 : 30
| 22 : 39
|
| 22 : 48
|
| 23 : 06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795
! 21 : 20
| 21 : 39
| 21 : 56
| 22 : 29
| 22 : 36
|
| 23 : 01
| 23 : 12
| 23 : 22
|-style="text-align: center"
| 23 : 33
|
|
| 23 : 55
|
| 00 : 04
| 00 : 11
| 00 : 22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동해남부선 무궁화호 요금표 (단위: 원)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하양
| 영천
| 서경주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style="text-align: center"
| 2600
| 2600
| 4700
| 5000
| 5700
| 6900
| 7500
| 8000
| 8600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해운대
| 수영
| 부전
| colspan=2 |
|-style="text-align: center"
| 9300
| 9500
| 10000
| 10400
| 10600
| 11000
| 11700
| colspan=2 |
|}
 
==== [[영동선]] ====
*동대구역에 정차하는 [[정동진역|정동진]]행 [[영동선]] [[무궁화호]]는 두 계통의 열차가 있다. 하나는 중앙선을 경유하는 1672, 1674 열차고 다른 하나는 경북선을 경유하는 1692 열차다. [[부산역|부산]]행 열차인 1691 열차의 경우에는 따로 시간표를 작성하지 않음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영동선 무궁화호 1672, 1674 열차 시간표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 '''[[무궁화호|{{색상|white|무궁화호}}]]'''
| colspan="12" | [[하양역|{{색상|white|하양}}]], [[영주역|{{색상|white|영주}}]], [[정동진역|{{색상|white|정동진}}]] (강원도 강릉시) 방면으로 가는 열차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rowspan=2 | '''열차 번호'''
| 동대구
| 하양
| 북영천
| 신녕
| 화본
| 탑리
| 의성
| 안동
| 영주
| 봉화
| 춘양
| 임기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현동
| 분천
| 양원
| 승부
| 석포
| 철암
| 동백산
| 도계
| 동해
| 묵호
| 정동진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672
! 06:15
| 06:33
| 06:47
|
|
| 07:25
| 07:36
| 08:02
| 08:39
| 08:55
| 09:22
|
|-style="text-align: center"
|
| 09:44
| 09:51
| 09:58
| 10:08
| 10:22
| 10:33
| 10:52
| 11:34
| 11:41
| 12:00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674
! 16:30
| 16:48
| 17:02
| 17:16
| 17:31
| 17:45
| 17:56
| 18:20
| 18:59
| 19:15
| 19:39
| 19:50
|-style="text-align: center"
| 19:57
| 20:06
| 20:13
| 20:20
| 20:30
| 20:44
| 20:55
| 21:14
| 21:53
| 22:00
| 22:20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영동선 무궁화호 1672, 1674 열차 요금표 (단위: 원)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하양
| 북영천
| 신녕
| 화본
| 탑리
| 의성
| 안동
| 영주
| 봉화
| 춘양
| 임기
|-style="text-align: center"
| 2600
| 2600
| 3200
| 4200
| 5200
| 6000
| 7800
| 10000
| 11000
| 12400
| 13000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현동
| 분천
| 양원
| 승부
| 석포
| 철암
| 동백산
| 도계
| 동해
| 묵호
| 정동진
|-style="text-align: center"
| 13300
| 13800
| 14200
| 14400
| 14900
| 15500
| 15900
| 17000
| 19300
| 19700
| 21100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영동선 무궁화호 1692 열차 시간표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 '''[[무궁화호|{{색상|white|무궁화호}}]]'''
| colspan="12" | [[김천역|{{색상|white|김천}}]], [[영주역|{{색상|white|영주}}]], [[정동진역|{{색상|white|정동진}}]] (강원도 강릉시) 방면으로 가는 열차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rowspan=2 | '''열차 번호'''
| 동대구
| 대구
| 왜관
| 구미
| 김천
| 상주
| 점촌
| 용궁
| 예천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영주
| 봉화
| 춘양
| 석포
| 철암
| 도계
| 동해
| 묵호
| 정동진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692
! 23 : 56
| 00 : 02
| 00 : 21
| 00 : 34
| 00 : 54
| 01 : 29
| 01 : 54
| 02 : 04
| 02 : 25
|-style="text-align: center"
| 03 : 00
| 03 : 16
| 03 : 40
| 04 : 23
| 04 : 38
| 05 : 06
| 05 : 46
| 05 : 54
| 06 : 15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영동선 무궁화호 1692 열차 요금표 (단위: 원)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대구
| 왜관
| 구미
| 김천
| 상주
| 점촌
| 용궁
| 예천
| 영주
|-style="text-align: center"
| 2600
| 2600
| 3200
| 4700
| 7000
| 8500
| 8900
| 10000
| 11900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봉화
| 춘양
| 석포
| 철암
| 도계
| 동해
| 묵호
| 정동진
|
|-style="text-align: center"
| 12800
| 14300
| 16700
| 17400
| 18900
| 21200
| 21600
| 23000
|
|}
 
==== [[경전선]] ====
*[[서울역|서울]] ~ [[진주역|진주]]를 왕복하는 서울행 1272, 1274 열차는 시간표 및 요금표를 작성하지 않고 동대구 ~ [[마산역|마산]], [[진주역|진주]]를 운행하는 열차와 진주행 1271, 1273열차의 시간표 및 요금표만 작성하였음
* 이들 열차는 원래 [[대구역]] 발착 열차였으나, [[경부고속선]] 대구 시내 구간 공사로 인해 대구역 배선을 바꾸면서 동대구역으로 단축되었고, 그대로 굳어졌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경전전 하행 열차 시간표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 '''[[무궁화호|{{색상|white|무궁화호}}]]'''
| colspan="12" | [[마산역|{{색상|white|마산}}]], [[진주역|{{색상|white|진주}}]] 방면으로 가는 열차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rowspan=2 | '''열차 번호'''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한림전
| 진영
| 진례
|-style="background: #FF8C00;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901
! 06 : 40
| 06 : 51
|
| 07 : 06
| 07 : 14
| 07 : 22
| 07 : 38
| 07 : 44
|
|-style="text-align: center"
| 07 : 55
| 08 : 03
| 08 : 08
| 마산종착
| colspan=5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903
! 09 : 20
| 09 : 32
|
| 09 : 49
| 09 : 59
| 10 : 07
|
| 10 : 27
|
|-style="text-align: center"
| 10 : 39
| 10 : 48
| 10 : 53
| 마산종착
| colspan=5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905
! 11 : 45
| 11 : 57
|
| 12 : 13
| 12 : 21
| 12 : 29
|
| 12 : 47
| 12 : 52
|-style="text-align: center"
| 13 : 00
| 13 : 08
| 13 : 13
| 마산종착
| colspan=5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271
! 12 : 53
| 13 : 04
|
| 13 : 20
|
| 13 : 35
| 13 : 52
| 13 : 58
|
|-style="text-align: center"
| 14 : 09
| 14 : 18
| 14 : 25
| 14 : 33
| 14 : 42
| 14 : 49
| 15 : 00
| 15 : 10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907
! 14 : 05
| 14 : 17
|
| 14 : 34
| 14 : 43
| 14 : 51
| 15 : 09
| 15 : 15
|
|-style="text-align: center"
| 15 : 27
| 15 : 36
| 15 : 41
| 마산종착
| colspan=5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909
! 16 : 30
| 16 : 42
|
| 16 : 58
| 17 : 06
| 17 : 14
| 17 : 31
| 17 : 37
|
|-style="text-align: center"
| 17 : 48
| 17 : 56
| 18 : 01
| 마산종착
| colspan=5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911
! 17 : 00
| 17 : 12
|
| 17 : 29
| 17 : 38
| 17 : 46
|
| 18 : 06
| 18 : 16
|-style="text-align: center"
| 18 : 25
| 18 : 35
| 18 : 42
| 18 : 49
| 18 : 57
| 19 : 04
| 19 : 15
| 19 : 25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913
! 18 : 40
| 18 : 52
| 19 : 03
| 19 : 11
| 19 : 22
| 19 : 31
| 19 : 49
| 19 : 55
| 20 : 00
|-style="text-align: center"
| 20 : 09
| 20 : 18
| 20 : 23
| 마산종착
| colspan=5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273
! 20 : 55
| 21 : 07
|
| 21 : 23
|
| 21 : 40
|
| 22 : 01
|
|-style="text-align: center"
| 22 : 12
| 22 : 21
| 22 : 28
| 22 : 35
| 22 : 43
| 22 : 50
| 23 : 01
| 23 : 11
|
|-style="text-align: center"
| rowspan=2 | 1915
! 21 : 25
| 21 : 37
|
| 21 : 54
| 22 : 03
| 22 : 11
|
| 22 : 31
| 22 : 37
|-style="text-align: center"
| 22 : 46
| 22 : 55
| 23 : 00
| 마산종착
| colspan=5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동대구역 경전선 하행 열차 요금표 (단위: 원)
|-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한림정
| 진영
| 진례
|-style="text-align: center"
| 2600
| 2600
| 2600
| 3000
| 3600
| 4900
| 5200
| 5500
|-style="background: #FF4500; color: white; text-align:center;"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style="text-align: center"
| 6100
| 6300
| 6500
| 6900
| 7500
| 8000
| 8900
| 9700
|}
 
== 인프라 ==
=== 주차장 ===
* 동대구역 제1주차장
** 동대구역 제2주차장 동측에 위치
** '''민간 사업자''' 주차장이므로 요금이 다소 높은 편이다. 30분당 2,000원을 징수하며 [[코레일]]이 운영하는 제2주차장의 저렴한 추가요금이나 각종 주차요금 할인등을 기대할 수 없다.
** 주차장 면적도 다소 협소한 편이며, 출구는 무인징수 시스탬을 운용하고 있다. 비싼 주차비에도 불구하고 제2주차장이 언제나 미어터지고, 아예 입구에서 만차 안내판을 세워두고 길면 30분 이상 대기하는 상황인지라 배웅이나 마중시간을 맞추기에 시간이 촉박한 운전자들은 하는 수 없이 제1주차장을 찾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제1주차장의 협소한 주차수용능력으로 인하여 이 비싼 주차장도 줄서서 들어가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 혼잡한 시간대에는 주차장에 관리요원이 나와서 차량 출입을 조절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멋모르고 무작정 주차장에 들어갔다가 주차공간을 찾지 못하고 하염없이 뺑뺑이를 도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으니 주의.
* 동대구역 제2주차장
** 동대구로 육교 하부에 위치, 주소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550
** 30분 기본요금 1000원, 30분 초과시 10분마다 300원씩 추가, 1일 주차요금 13,000원
** 문의전화 : 053-951-7066, ※참고사항 : 이 번호로는 제2주차장 관련 문의만 가능
[[대구광역시|대구]]의 [[대중교통]] 상황이 의외로 불편한 편이며, 도시철도 동대구역을 제외하면 시내버스도 동대구역의 규모에 걸맞지 않게 노선도 적고, 배차간격도 길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승용차를 이용하는 상황에, 엎친데 덮친격으로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공사를 이유로 주변 도로에 [[핼게이트]]가 열렸고, 동대구역 주변이 온통 공사판으로 어수선한 상황에 그나마 제대로 운영되는 제2주차장은 빈자리를 찾기 어렵다. 추후 환승센터가 완공되면 대규모 주차장이 해당 시설에 갖춰지게 되겠지만, 아무래도 [[신세계 (기업)|신세계]]가 운영하는 민자 사업의 특성상 공영주차장 수준의 저렴한 주차비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이다. 이런 주차관련 불편함은 대구시에서 면밀히 검토하여 동대구역 주변의 대중교통을 개선하는 등 주차장 문제를 완화시킬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 렌트카 ===
* 24시간 대여 90,000원
* 문의번호 : 053-944-7788
 
=== 카셰어링 ===
* 제2주차장 인근에 위치
* 소형차 : 시간당 7,700원, 24시간 이용시 77,000원
* 준중형차 : 시간당 8,700원, 24시간 이용시 87,000원
* 유류비는 소형차, 준중형차 동일하게 Km당 190원씩 청구
* 문의번호 : 1644-0520
 
=== KTX 특송 ===


이후 2004년에는 [[대구역]]과 유사한 민자역사 건립이 나오기도 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0348045 서대구화물터미널 민자역사로 건립], 《매일경제》 2004년 2월 23일</ref> 하지만 오히려 [[대한민국 감사원|감사원]]이 1995년 이래 112억 5천만원을 투입해 제3섹터를 설립하였으나 서대구화물역에 대한 사업 실적이 전혀 없는 것에 대해, 출자지분을 조속히 회수 또는 청산하라는 내용을 [[대한민국 행정안전부|행정자치부]]에 전달하였다.<ref>[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2038&yy=2005 대구시, '제3섹터' 부실투자], 《매일신문》 2005년 1월 12일</ref> 2005년의 시점에 이미 130여억원의 자금을 투입했던 [[대구광역시]]는 뒤늦게 백지화를 발표하게 되었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대구복합화물터미널의 청산 시기까지 놓치게 되면서 화물역 예정 부지의 정비를 위한 국고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잇단 졸속 행정이 반복되었다. 그러자 대구시의원들 사이에서도 '대구시가 시민에게 사과해야한다'며 시정을 질책하기에 이르렀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soc&arcid=0920019374&code=41121111 대구복합화물터미널 ‘기가 막혀’…백지화로 130억 혈세 날려], 《쿠키뉴스》 2005년 12월 7일</ref>
=== [[TMO]] ===
북쪽 출구로 나가서 오른쪽에 위치한다. 리모델링을 한 번 거쳤기 때문에 내부는 깔끔하고, 환승 대기하는 장병들을 위해 음료수와 인터넷 PC를 제공한다. 2010년대 초반에 내부 리모델링을 위해 사무실을 폐쇄하고 대합실 내 창구를 하나 빌려 TMO를 운영했다.


결국 2006년 3월에 이르러서야 [[대구광역시]]와 [[한국철도공사]]가 대주주인 대구복합화물터미널을 폐업하여 완전히 청산하게 되었다.<ref>[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609&yy=2008 서대구화물역 3년째 '청산 중'], 《매일신문》 2008년 1월 4일</ref> 그러나 폐업할 당시, 터미널 측이 2006년 1기분 부가가치세 매출과표를 0원으로 작성하였으나 서대구세무서가 이를 무시하고 서대구화물역의 자산을 기초로 17여억원의 부가가치세를 부과하자 대구복합화물터미널 측이 반발해 법적인 분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대구지방법원 행정부는 2009년 12월 17일 대구복합화물터미널이 서대구세무서를 상대로 한 부가세 취소 소송에서 원고인 대구복합화물터미널에 대해 승소 판결을 내렸다.<ref>[http://app.yonhapnews.co.kr/YNA/Basic/article/new_search/YIBW_showSearchArticle.aspx?searchpart=article&searchtext=%eb%8c%80%ea%b5%ac%eb%b3%b5%ed%95%a9%ed%99%94%eb%ac%bc%ed%84%b0%eb%af%b8%eb%84%90&contents_id=AKR20091217135900053 대구복합화물터미널㈜ 부가세 취소 소송에서 승소], 《연합뉴스》 2009년 12월 17일</ref>
===[[코레일 라운지]]===


=== 사업 백지화 이후 ===
== 여담 ==
2008년에 이르러 [[대구광역시]]는 본래 [[한국철도공사]], [[대구광역시]]와 서구가 함께 분할 소유하고 있던 부지를 [[경부선]] 철도가 통과하는 [[건설교통부]](현.[[국토교통부]]) 부지를 제외한 채 모두 매입하여 물류 시설 투자에 관심이 있는 민간 업체를 유치해 개발을 진행하기로 하고,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컨테이너 야적장, 대형 창고 등을 건립하는 것 외에도 대경권 광역전철의 역사와 시내외 버스터미널 등을 조성하기로 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1933159|제목='애물단지' 서대구 화물역 부지 개발 실마리|출판사=연합뉴스|날짜=2008-01-22}}</ref> 2009년 대구경북연구원 교통물류연구실의 한 연구위원은 대경CEO브리핑에서 '역 부지를 대경권 광역전철의 역세권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newsis.com/article/view.htm?cID=&ar_id=NISX20090814_0002962555|제목=대경CEO브리핑 "서대구화물역 부지 광역전철 역세권 개발해야"|출판사=뉴시스|날짜=2009-08-14}}</ref>. 대구시의회의 김의식 의원도 2009년 9월 16일 임시회에서 '서대구산업단지의 발전을 위해서는 서대구화물역의 개발이 필요하다'면서 '시는 아무런 계획이 없다'며 대구시 시정을 질책하기도 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40863&yy=2009|제목=대구 중·남구 통합 여론수렴 계획 없나|출판사=매일신문|저자=이재협|날짜=2009-09-17}}</ref> 하지만 같은 해 10월 [[한국철도공사]] 측에서 정부의 철도 수송 분담률 향상 정책으로 인해 부지 매각에 난색을 표하며 [[대구광역시]]의 부지 매입은 차질을 입게 되었다 <ref>{{뉴스 인용|url=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091029.010010723290001|제목=철도公 돌연 "서대구화물역 부지 못 팔겠다"…대구시 개발 차질|출판사=영남일보|저자=장영훈|날짜=2009-10-29|확인일자=2012-11-09}}</ref>.
* [[2016년]] [[12월]] 개장을 목표로 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건설중인 상황이라 역사 주변은 물론이고, 역사내 승강장 곳곳이 공사중인 어수선한 분위기다. 특히 [[KTX]]를 취급하는 상행선 10, 11번 승강장도 고가도로 공사와 관련하여 1~6호차, 17호차 이후의 승강장의 대부분을 가벽으로 막아두고 공사를 진행중이라 매우 비좁은 상태이다. 또한 공사가 진행되는 주간에는 온갖 중장비 소음이 역사 내외를 막론하고 우렁차게 울려퍼진다(...)
* [[롯데리아]]가 제1맞이방과 제2맞이방에 각각 1개씩 총 2개가 존재한다. 제2맞이방에 위치한 롯데리아가 상대적으로 한가한 편이니 여유롭고 조용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맞이방 롯데리아가 제격이다.


매입 계획이 실패함에 따라 [[대구광역시]]는 2009년 11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기둥 제작 장소로 서대구화물역의 부지를 임대하였다.<ref>[http://www.newsis.com/article/view.htm?cID=&ar_id=NISX20091124_0003779710 대구 도심 철도 궤도빔 심야 '운송작전'], 《뉴시스》 2009년 11월 24일</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4869017 대구 알짜 노는 땅 활용방안 없나?] 류성무, 2011-01-16, 연합뉴스</ref> 최근 이 지역의 구청장으로 [[201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재보궐선거]]를 통해 [[10월 26일]]에 당선되어 취임한 [[강성호 (1966년)|강성호]] 서구청장은 인터뷰 중 2012년 구정 계획 중 하나로 서대구역과 서대구공단 연계 개발을 공약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260432 강성호 서구청장, "행복한 서구 만들기, 2+2 정책", 박광일, 2011-12-25</ref>
== 연계교통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 (도시철도)|동대구역]]
*[[고속버스]] :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
*[[시내버스]]


=== 대구권 광역전철의 예비타당성 통과 ===
== 사건사고 ==
2015년 7월에 [[대구권 광역철도]] 예비타당성을 통과함에 따라 서대구역이 [[전철역]]으로 새롭게 재탄생하여 2021년 개통예정이다.


== 같이 보기 ==
* [[신동화물역]]
* [[가천역]]
* [[대구권 광역철도]]
{{각주}}
{{각주}}
{{퍼온문서|서대구화물역}}
{{분기|동대구역||일부}}
[[분류:대구광역시의 철도역]]
[[분류:경부선]]

2023년 8월 15일 (화) 04:03 기준 최신판

[[파일:Korail Dongdaegu station.jpg[1]|336px|alt=]]
관할 코레일 대구본부
개업일 1969년 6월 10일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한국철도공사의 경부선, 경부고속선 철도역.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550에 위치한다.

대한민국에서 발착 편수가 가장 많은 역으로, 경부선을 지나는 열차는 반드시 동대구역에 정차하며 중앙선, 동해남부선, 경전선, 경북선, 영동선 열차들이 분기하거나 합류하는 중요한 역이다. 승객수도 서울역에 이어 2위. 수요에 맞춰 제2맞이방을 열긴 했는 데 타는 곳으로 들어가지 않으면 눈에 띄지 않는 곳이라 주 맞이방만 사람이 넘쳐난다.

역 옆에서는 신세계에서 복합환승센터를 건설중으로, 완공하면 철도-고속버스-도시철도 간의 환승이 용이해진다. 그 동안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지적되었던 분산된 터미널이 1개로 합쳐지고, 동대구역과의 환승 통로가 신설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물리적 경유 노선
한국철도공사
101 경부고속본선
(267.5 km)
금천구청 방면
김천구미 53.1 km
동대구 부산 방면
신경주 49.0 km
201 경부본선
(326.3 km)
서울 방면
대구 3.1 km
동대구 부산 방면
고모 5.5 km

승강장과 정차홈[편집 | 원본 편집]

동대구역 승강장
대전역, 서울역, 영주역, 정동진역[3] 방면
14 13 12 11 10 9 8 7 6 5 3 2 1
경부선 서울 경부고속선
서울, 인천공항, 행신
미사용[4] 경부고속선
부산, 포항, 진주
경부선 부산행 마산행 및 당역종착 통과선로 포항
부전행 착발
동대구역 출발 서울행, 정동진
부산역, 진주역, 마산역 방면 / 포항역, 부전역, 정동진역[5] 방면

열차 이용 정보[편집 | 원본 편집]

  • 시간표는 종착역을 제외하고 모두 출발시간 기준입니다.

여객열차[편집 | 원본 편집]

  • 기준일자 2016년 5월 1일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10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30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35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40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80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100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103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120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125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127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계통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 ! colspan="2" | 경북관광테마열차 | 동대구 - 대구 - 왜관 - 구미 - 김천 - 옥산 - 상주 - 점촌 - 용궁 - 예천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북영천 - 동대구 | style=text-align:center; | 1일 1회 |-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KTX[편집 | 원본 편집]

경부선, 경부고속선[편집 | 원본 편집]

경부선 KTX 상행 시간표
경부선 KTX 하행 시간표

경전선[편집 | 원본 편집]

동대구역 경전선 KTX 상행 시간표
KTX 서울역 방면으로 가는 상행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김천구미 대전 오송 천안아산 광명 서울 행신 검암 인천공항
402 06 : 29 07 : 15 07 : 32 08 : 03 08 : 20
404 07 : 59 08 : 22 08 : 51 09 : 15 09 : 38 10 : 05 10 : 35 10 : 52
406 10 : 33 11 : 19 11 : 36 12 : 07 12 : 32 12 : 52
408 11 : 38 12: 25 13 : 08 13 : 25
482[6] 13 : 03 13 : 49 14 : 33 14 : 50
410 13 : 43 14 : 29 15 : 10 15 : 26
412 14 : 36 15 : 22 16 : 03 16 : 20
414 16 : 38 17 : 01 17 : 30 17 : 47 18 : 18 18 : 34
416 19 : 05 19 : 51 20 : 14 20 : 37 20 : 54
418 21 : 03 21 : 50 22 : 32 22 : 49
484[7] 21 : 34 22 : 20 23 : 02 23 : 18
420 22 : 33 23 : 19 23 : 42 00 : 05 00 : 22
동대구역 경전선 KTX 상행 요금표 (단위: 원)
좌석구분 김천구미 대전 오송 천안아산 광명 서울 행신 검암 인천공항
일반실 8400 19700 24800 29300 41300 43500 44900 49500 55800
특실 13200 27600 34700 41000 57800 60900 62900 69300 78100
  • 위 시간표는 2016년 1월 1일 개정 시간표이며 작성날짜는 2016년 02월 03일 입니다. 날짜에 따라 시간표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코레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인해 시간표가 바뀌어 시간표를 수정할 경우 시간표 개정이 이루어진 날짜를 바꿔 주세요
  • 요금표는 성인기준 1인당 요금입니다.
동대구역 경전선 KTX 하행 시간표
KTX 진주역 방면으로 가는 상행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경산 밀양 진영 창원중앙 창원 마산 진주
401 06 : 59 07 : 48 07 : 59 08 : 07 08 : 12 마산종착
403 07 : 43 07 : 53 08 : 19 08 : 45 08 : 57 09 : 22
481[6] 09 : 15 09 : 47 10 : 12 10 : 23 마산종착
405 10 : 34 11 : 07 11 : 32 11 : 43 마산종착
407 11 : 01 11 : 32 11 : 50 12 : 06 12 : 12 12 : 36
409 12 : 30 13 : 03 13 : 29 13 : 38 13 : 45 14 : 09
411 15 : 26 15 : 58 16 : 24 16  : 36 17 : 01
483[7] 17 : 23 17 : 57 18 : 28 18 : 35 19 : 00
413 18 : 02 18 : 49 19 : 02 19 : 12 마산종착
415 18 : 55 19 : 27 19 : 53 20 : 03 20 : 08 마산종착
417 21 : 09 21 : 56 22 : 07 22: 15 22 : 22 22 : 47
419 00 : 02 00 : 34 01 : 05 01 : 10 마산종착
동대구역 경전선 KTX 하행 요금표 (단위: 원)
좌석구분 경산 밀양 진영 창원중앙 창원 마산 진주
일반석 8400 8400 8400 9800 10900 11200 16300
특실 13200 13200 13200 14600 15700 16000 22800
  • 위 시간표는 2016년 1월 1일 개정 시간표이며 작성날짜는 2016년 02월 03일 입니다. 날짜에 따라 시간표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코레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인해 시간표가 바뀌어 시간표를 수정할 경우 시간표 개정이 이루어진 날짜를 바꿔 주세요
  • 요금표는 성인기준 1인당 요금입니다.

동해선[편집 | 원본 편집]

동대구역 동해선 KTX 상행 시간표
KTX 서울역 방면으로 가는 상행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김천구미 대전 오송 천안아산 광명 서울 행신 검암 인천공항
802 06 : 10 06 : 56 07 : 38 07 : 55
804 07 : 59 08 : 22 08 : 51 09 : 15 09 : 38 10 : 05 10 : 35 10 : 52
806 10 : 33 11 : 19 11 : 36 12 : 07 12 : 32 12 : 52
808 11 : 20 12 : 07 12 : 24 12 : 56 13 : 12
810 13 : 43 14 : 29 15 : 10 15 : 26
812 14 : 45 15 : 31 16 : 24
814 17 : 37 18 : 00 18 : 29 18 : 52 19 : 15 19 : 40 20 : 00
816 19 : 27 19 : 50 20 : 19 20 : 36 21 : 08 21 : 25
818 20 : 35 21 : 21 21 : 45 22 : 21
820 22 :33 23 : 19 23 : 42 00 : 05 00 : 22
동대구역 동해선 KTX 하행 시간표
KTX 포항역 방면으로 가는 하행열차
(열차번호)
동대구출발
포항도착
(801)
07 : 40
08 : 15
(803)
08 : 51
09 : 26
(805)
10 : 32
11 : 07
(807)
11 : 58
11 : 58
(809)
14 : 55
15 : 30
(811)
16 : 26
17 : 01
(813)
18 : 00
18 : 35
(815)
18 : 39
19 : 14
(817)
21 : 07
20 : 42
(819)
00 : 00
00 : 35
동대구역 동해선 KTX 요금표 (단위: 원)
좌석구분 포항 김천구미 대전 오송 천안아산 광명 서울 행신 검암 인천공항
일반실 10900 8400 19700 24800 29300 41300 43500 44900 49500 55800
특실 15700 13200 27600 34700 41000 57800 60900 62900 69300 78100
  • 위 시간표는 2016년 1월 1일 개정 시간표이며 작성날짜는 2016년 02월 03일 입니다. 날짜에 따라 시간표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코레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인해 시간표가 바뀌어 시간표를 수정할 경우 시간표 개정이 이루어진 날짜를 바꿔 주세요
  • 요금표는 성인기준 1인당 요금입니다.

ITX-새마을[편집 | 원본 편집]

동대구역 경부선 ITX-새마을 상행 열차 시각표
ITX-새마을 서울역 방면으로 가는 상행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대구 왜관 구미 김천 영동 대전 조치원 천안 평택 수원 영등포 서울
1002 07:36 07:42 08:10 08:26 08:53 09:22 09:46 10:07 10:37 10:58 11:07
1004 10:21 10:27 10:55 11:11 12:04 12:46 13:17 13:39 13:48
1006 12:42 12:48 13:16 13:32 13:59 14:28 15:09 15:23 15:43 16:04 16:13
1008 14:56 15:02 15:31 15:47 16:14 16:44 17:27 17:40 18:01 18:22 18:31
1010 16:21 16:28 16:47 17:01 17:17 18:10 18:34 18:56 19:28 19:49 19:58
1012 18:34 18:40 19:09 19:25 20:18 21:00 21:30 21:54 22:04
1014 20:56 21:02 21:31 21:47 22:41 23:06 23:28 00:01 00:23 00:32
동대구역 경부선 ITX-새마을 하행 열차 시각표
ITX-새마을 부산역 방면으로 가는 하행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경산 청도 밀양 물금 구포 부산
1001 09:44 10:16 10:35 10:45 10:57
1003 12:14 12:37 13:15 13:28
1005 14:32 14:44 15:10 15:36 15:49
1007 15:33 16:07 16:26 16:36 16:48
1009 17:46 18:09 18:23 18:48 19:00
1011 19:44 20:40 20:53
1013 23:41 00:14 00:40 00:53
동대구역 경전선 ITX-새마을 열차 시각표
ITX-새마을 서울역 방면으로 가는 상행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대구 왜관 구미 김천 대전 조치원 천안 평택 수원 영등포 서울
1032 10:39 10:45 11:03 11:17 11:33 12:26 12:50 13:12 13:25 13:46 14:07 14:16
ITX-새마을 진주역 방면으로 가는 하행열차
열차번호 동대구 밀양 진영 창원중앙 창원 마산 함안 진주
1031 22:57 23:29 23:49 00:00 00:09 00:15 00:27 00:46
동대구역 ITX-새마을 상행 열차 요금표 (단위: 원)
대구 왜관 구미 김천 영동 대전 조치원 천안 평택 수원 영등포 서울
4800 4800 4800 7000 11100 15400 19000 22100 24200 27400 30600 31400
동대구역 ITX-새마을 하행 열차 요금표 (단위: 원)
경산 청도 밀양 물금 구포 부산 진영 창원중앙 창원 마산 함안 진주
4800 4800 5300 8300 9500 11100 7700 9100 9400 9700 11200 14500
  • 위 시간표는 2016년 1월 1일 개정 시간표이며 작성날짜는 2016년 02월 03일 입니다. 날짜에 따라 시간표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코레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인해 시간표가 바뀌어 시간표를 수정할 경우 시간표 개정이 이루어진 날짜를 바꿔 주세요
  • 요금표는 성인기준 1인당 요금입니다.

무궁화호[편집 | 원본 편집]

경부선[편집 | 원본 편집]

경부선 상행 시간표
경부선 하행 시간표

동대구->부산 무궁화호 1341 시간표
무궁화호 부산 방면으로 가는 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경산 남성현 청도 상동 밀양 삼랑진 원동 물금 화명 구포 사상 부산
1341 06:05 06:15 06:26 06:34 06:43 06:50 06:59 07:06 07:14 07:21 07:26 07:32 07:42
1341 열차 요금표 (단위: 원)
경산 남성현 청도 상동 밀양 삼랑진 원동 물금 화명 구포 사상 부산
2600 2600 2600 3000 3600 4400 5000 5600 6200 6400 6700 7500
  • 해당 열차는 동대구역에서 출발해 부산역까지 가는 열차로 동대구역과 부산역사이에 있는 무궁화호를 취급하는 모든역에 정차한다. 따라서 좀 느릴것이다.

경북선[편집 | 원본 편집]

동대구역 경북선 무궁화호 상행 시간표
무궁화호 김천, 영주 방면으로 가는 상행 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대구 신동 왜관 약목 구미 김천 옥산 청리 상주
함창 점촌 용궁 개포 예천 영주
1822 08 : 10 08 : 16 08 : 35 08 : 41 08 : 51 09 : 11 09 : 34 09 : 42 09 : 52
10 : 13 10 : 20 10 : 30 10 : 51 11 : 24
1824 17 : 49 17 : 56 18 : 15 18 : 15 18 : 32 18 : 51 19 : 13 19 : 22 19 : 32
19 : 52 19 : 59 20 : 09 20 : 30 21 : 05
1826 20 : 02 20 : 09 20: 22 20 : 31 20 : 37 20 : 48 21 : 07 21 : 28 21 : 37 21 : 47
22 : 07 22 : 14 22 : 24 22 : 33 22 : 47 23 : 21
동대구역 경북선 무궁화호 상행 열차 요금표 (단위: 원)
대구 신동 왜관 약목 구미 김천 옥산 청리
2600 2600 2600 2600 3200 4700 6000 6400
상주 함창 점촌 용궁 개포 예천 영주
7000 8200 8500 8900 9300 10000 11900
동대구역 경북선 무궁화호 하행 시간표
무궁화호 부산 방면으로 가는 하행 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경산 청도 상동 밀양 삼랑진 원동 물금 구포 부산
1821 09 : 06 09 : 17 09 : 36 09 : 52 10 : 02 10 : 15 10 : 26 10 : 39
1823 13 : 32 13 : 42 13 : 58 14 : 07 14 : 15 14 : 25 14 : 37 14 : 46 15 : 01
1825 17 : 36 17 : 47 18 : 03 18 : 18 18 : 32 18 : 40 18 : 48 18 : 59 19 : 12

충북선[편집 | 원본 편집]

동대구역 충북선 무궁화호 시간표
무궁화호 대전, 영주 방면으로 가는 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대구 신동 왜관 사곡 구미 김천 추풍령 황간 영동 각계 심천
지탄 이원 옥천 대전 신탄진 부강 조치원 오송 청주 오근장 청주공항 증평
음성 주덕 충주 제천 단양 풍기 영주
4301 05:30 05:37 05:49 05:57 06:07 06:12 06:28 06:42 06:49 07:00 07:07 07:12
07:16 07:22 07:29 07:42 07:54 08:04 08:14 08:20 08:27 08:35 08:38 08:48
09:05 09:15 09:23 09:52 10:10 10:33 10:45
4303 18:00 18:08 18:27 18:42 18:59 19:28
19:47 20:01 20:13 20:23 20:33 20:39 20:46 20:54 20:57 21:07
21:24 21:34 21:43 22:12 22:29 22:52 23:05
4301, 4303 열차 요금표 (단위: 원)
대구 신동 왜관 사곡 구미 김천 추풍령 황간 영동 각계 심천 지탄
2600 2600 2600 2900 3200 4700 5900 6500 7400 7900 8100 8400
이원 옥천 대전 신탄진 부강 조치원 오송 청주 오근장 청주공항 증평 음성
8800 9300 10400 11300 12100 12800 13000 13500 14100 14300 15100 16500
주덕 충주 제천 단양 풍기 영주
17300 18000 20500 21900 23600 24500
  • 예매시에도 나오지만 이 열차는 동대구역을 출발해서 영주까지 가는데 대전을 거쳐서 C자형으로 우회해서 가는 열차다. 대구에서 영주갈 일이 있다면 이 기차는 타지말자. 사실 이 열차는 역무원이 끊어주지도 않는다.

대구선[편집 | 원본 편집]

동대구역 대구선 무궁화호 시간표
무궁화호 포항 방면으로 가는 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하양 영천 건천 서경주 경주 안강 포항
1751 06 : 00 06 : 19 06 : 34 06 : 52 07 : 06 07 : 17 07 : 35 07 : 51
1753 09 : 00 09 : 20 09 : 35 09 : 55 10 : 08 10 : 18 10 : 36 10 : 52
1755 15 : 00 15 : 19 15 : 35 15 : 53 16 : 11 16 : 19 16 : 37 16 : 53
1757 18 : 30 18 : 49 19 : 06 19 : 24 19 : 39 19 : 50 20 : 09 20 : 25
동대구역 대구선 무궁화호 요금표 (단위: 원)
하양 영천 건천 서경주 경주 안강 포항
2600 2600 3600 4700 5000 6100 7200
  • 참고로 포항가는 버스는 비슷한 가격에 조금 더 빨리 간다. 포항갈 일이 있다면 KTX를 타거나 버스를 타자

동해남부선[편집 | 원본 편집]

동대구역 동해남부선 무궁화호 시간표
무궁화호 경주, 부전 방면으로 가는 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하양 영천 서경주 경주 불국사 호계 태화강 덕하
남창 월내 좌천 기장 송정 해운대 수영 부전
1771 07 : 00 07 : 19 07 : 34 08 : 05 08 : 13 08 : 24 08 : 41 08 : 53 09 : 03
09 : 14 09 : 25 09 : 30 09 : 39 09 : 46 09 : 51 09 : 58 10 : 10
1773 07 : 30 07 : 49 08 : 04 08 : 36 08 : 42 09 : 08 09 : 18
09 : 57 10 : 06 10 : 22
1775 08 : 30 08 : 48 09 : 05 09 : 42 09 : 48 09 : 58 10 : 14 10 : 23 10 : 32
10 : 41 10 : 53 10 : 58 11 : 07 11 : 14 11 : 19 11 : 26 11 : 38
1777 09 : 30 09 : 49 10 : 04 10 : 34 10 : 41 11 : 10 11 : 21
12 : 00 12 : 09 12 :25
1779 10 : 30 10 : 49 11 : 04 11 : 41 11 : 48 11 : 59 12 : 17 12 : 26 12 : 35
12 : 45 12 : 56 13 : 01 13 : 10 13 : 17 13 : 24 13 : 35 13 : 46
1781 11 : 35 11 : 53 12 : 09 12 : 40 12 : 48 12 : 59 13 : 16 13 : 28 13 : 39
13 : 49 14 : 00 14 : 05 14 : 14 14 : 22 14 : 27 14 : 43
1783 14 : 00 14 : 18 14 : 32 15 : 10 15 : 22 15 : 41 15 : 51 16 : 00
16 : 10 16 : 21 16 : 26 16 : 35 16 : 42 16 : 47 17 : 07
1785 16 : 00 16 : 18 16 : 33 17 : 01 17 : 09 17 : 20 17 : 37 17 : 48 17 : 58
18 : 08 18 : 19 18 : 24 18 : 33 18 : 40 18 : 45 19 : 01
1787 17 : 00 17 : 18 17 : 31 18 : 02 18 : 09 18 : 38 18 : 48
19 : 25 19 : 34 19 : 41 19 : 52
1789 17 : 30 17 : 47 18 : 02 18 : 35 18 : 43 18 : 53 19 : 13 19 : 22 19 : 30
19 : 40 19 : 51 19 : 56 20 : 05 20 : 12 20 : 17 20 : 24 20 : 36
1791 19 : 05 19 : 25 19 : 42 20 : 16 20 : 23 20 : 34 20 : 55 21 : 06 21 : 16
21 : 25 21 : 37 21 : 42 21 : 52 21 : 59 22 : 06 22 : 15 22 : 26
1793 20 :00 20 : 18 20 : 34 21 : 08 21 : 15 21 : 25 21 : 44 21 : 55 22 : 04
22 : 14 22 : 25 22 : 30 22 : 39 22 : 48 23 : 06
1795 21 : 20 21 : 39 21 : 56 22 : 29 22 : 36 23 : 01 23 : 12 23 : 22
23 : 33 23 : 55 00 : 04 00 : 11 00 : 22
동대구역 동해남부선 무궁화호 요금표 (단위: 원)
하양 영천 서경주 경주 불국사 호계 태화강 덕하 남창
2600 2600 4700 5000 5700 6900 7500 8000 8600
월내 좌천 기장 송정 해운대 수영 부전
9300 9500 10000 10400 10600 11000 11700

영동선[편집 | 원본 편집]

  • 동대구역에 정차하는 정동진영동선 무궁화호는 두 계통의 열차가 있다. 하나는 중앙선을 경유하는 1672, 1674 열차고 다른 하나는 경북선을 경유하는 1692 열차다. 부산행 열차인 1691 열차의 경우에는 따로 시간표를 작성하지 않음
동대구역 영동선 무궁화호 1672, 1674 열차 시간표
무궁화호 하양, 영주, 정동진 (강원도 강릉시) 방면으로 가는 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하양 북영천 신녕 화본 탑리 의성 안동 영주 봉화 춘양 임기
현동 분천 양원 승부 석포 철암 동백산 도계 동해 묵호 정동진
1672 06:15 06:33 06:47 07:25 07:36 08:02 08:39 08:55 09:22
09:44 09:51 09:58 10:08 10:22 10:33 10:52 11:34 11:41 12:00
1674 16:30 16:48 17:02 17:16 17:31 17:45 17:56 18:20 18:59 19:15 19:39 19:50
19:57 20:06 20:13 20:20 20:30 20:44 20:55 21:14 21:53 22:00 22:20
동대구역 영동선 무궁화호 1672, 1674 열차 요금표 (단위: 원)
하양 북영천 신녕 화본 탑리 의성 안동 영주 봉화 춘양 임기
2600 2600 3200 4200 5200 6000 7800 10000 11000 12400 13000
현동 분천 양원 승부 석포 철암 동백산 도계 동해 묵호 정동진
13300 13800 14200 14400 14900 15500 15900 17000 19300 19700 21100
동대구역 영동선 무궁화호 1692 열차 시간표
무궁화호 김천, 영주, 정동진 (강원도 강릉시) 방면으로 가는 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대구 왜관 구미 김천 상주 점촌 용궁 예천
영주 봉화 춘양 석포 철암 도계 동해 묵호 정동진
1692 23 : 56 00 : 02 00 : 21 00 : 34 00 : 54 01 : 29 01 : 54 02 : 04 02 : 25
03 : 00 03 : 16 03 : 40 04 : 23 04 : 38 05 : 06 05 : 46 05 : 54 06 : 15
동대구역 영동선 무궁화호 1692 열차 요금표 (단위: 원)
대구 왜관 구미 김천 상주 점촌 용궁 예천 영주
2600 2600 3200 4700 7000 8500 8900 10000 11900
봉화 춘양 석포 철암 도계 동해 묵호 정동진
12800 14300 16700 17400 18900 21200 21600 23000

경전선[편집 | 원본 편집]

  • 서울 ~ 진주를 왕복하는 서울행 1272, 1274 열차는 시간표 및 요금표를 작성하지 않고 동대구 ~ 마산, 진주를 운행하는 열차와 진주행 1271, 1273열차의 시간표 및 요금표만 작성하였음
  • 이들 열차는 원래 대구역 발착 열차였으나, 경부고속선 대구 시내 구간 공사로 인해 대구역 배선을 바꾸면서 동대구역으로 단축되었고, 그대로 굳어졌다.
동대구역 경전전 하행 열차 시간표
무궁화호 마산, 진주 방면으로 가는 열차
열차 번호 동대구 경산 남성현 청도 상동 밀양 한림전 진영 진례
창원중앙 창원 마산 중리 함안 군북 반성 진주
1901 06 : 40 06 : 51 07 : 06 07 : 14 07 : 22 07 : 38 07 : 44
07 : 55 08 : 03 08 : 08 마산종착
1903 09 : 20 09 : 32 09 : 49 09 : 59 10 : 07 10 : 27
10 : 39 10 : 48 10 : 53 마산종착
1905 11 : 45 11 : 57 12 : 13 12 : 21 12 : 29 12 : 47 12 : 52
13 : 00 13 : 08 13 : 13 마산종착
1271 12 : 53 13 : 04 13 : 20 13 : 35 13 : 52 13 : 58
14 : 09 14 : 18 14 : 25 14 : 33 14 : 42 14 : 49 15 : 00 15 : 10
1907 14 : 05 14 : 17 14 : 34 14 : 43 14 : 51 15 : 09 15 : 15
15 : 27 15 : 36 15 : 41 마산종착
1909 16 : 30 16 : 42 16 : 58 17 : 06 17 : 14 17 : 31 17 : 37
17 : 48 17 : 56 18 : 01 마산종착
1911 17 : 00 17 : 12 17 : 29 17 : 38 17 : 46 18 : 06 18 : 16
18 : 25 18 : 35 18 : 42 18 : 49 18 : 57 19 : 04 19 : 15 19 : 25
1913 18 : 40 18 : 52 19 : 03 19 : 11 19 : 22 19 : 31 19 : 49 19 : 55 20 : 00
20 : 09 20 : 18 20 : 23 마산종착
1273 20 : 55 21 : 07 21 : 23 21 : 40 22 : 01
22 : 12 22 : 21 22 : 28 22 : 35 22 : 43 22 : 50 23 : 01 23 : 11
1915 21 : 25 21 : 37 21 : 54 22 : 03 22 : 11 22 : 31 22 : 37
22 : 46 22 : 55 23 : 00 마산종착
동대구역 경전선 하행 열차 요금표 (단위: 원)
경산 남성현 청도 상동 밀양 한림정 진영 진례
2600 2600 2600 3000 3600 4900 5200 5500
창원중앙 창원 마산 중리 함안 군북 반성 진주
6100 6300 6500 6900 7500 8000 8900 9700

인프라[편집 | 원본 편집]

주차장[편집 | 원본 편집]

  • 동대구역 제1주차장
    • 동대구역 제2주차장 동측에 위치
    • 민간 사업자 주차장이므로 요금이 다소 높은 편이다. 30분당 2,000원을 징수하며 코레일이 운영하는 제2주차장의 저렴한 추가요금이나 각종 주차요금 할인등을 기대할 수 없다.
    • 주차장 면적도 다소 협소한 편이며, 출구는 무인징수 시스탬을 운용하고 있다. 비싼 주차비에도 불구하고 제2주차장이 언제나 미어터지고, 아예 입구에서 만차 안내판을 세워두고 길면 30분 이상 대기하는 상황인지라 배웅이나 마중시간을 맞추기에 시간이 촉박한 운전자들은 하는 수 없이 제1주차장을 찾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제1주차장의 협소한 주차수용능력으로 인하여 이 비싼 주차장도 줄서서 들어가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 혼잡한 시간대에는 주차장에 관리요원이 나와서 차량 출입을 조절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멋모르고 무작정 주차장에 들어갔다가 주차공간을 찾지 못하고 하염없이 뺑뺑이를 도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으니 주의.
  • 동대구역 제2주차장
    • 동대구로 육교 하부에 위치, 주소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550
    • 30분 기본요금 1000원, 30분 초과시 10분마다 300원씩 추가, 1일 주차요금 13,000원
    • 문의전화 : 053-951-7066, ※참고사항 : 이 번호로는 제2주차장 관련 문의만 가능

대구대중교통 상황이 의외로 불편한 편이며, 도시철도 동대구역을 제외하면 시내버스도 동대구역의 규모에 걸맞지 않게 노선도 적고, 배차간격도 길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승용차를 이용하는 상황에, 엎친데 덮친격으로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공사를 이유로 주변 도로에 핼게이트가 열렸고, 동대구역 주변이 온통 공사판으로 어수선한 상황에 그나마 제대로 운영되는 제2주차장은 빈자리를 찾기 어렵다. 추후 환승센터가 완공되면 대규모 주차장이 해당 시설에 갖춰지게 되겠지만, 아무래도 신세계가 운영하는 민자 사업의 특성상 공영주차장 수준의 저렴한 주차비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이다. 이런 주차관련 불편함은 대구시에서 면밀히 검토하여 동대구역 주변의 대중교통을 개선하는 등 주차장 문제를 완화시킬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렌트카[편집 | 원본 편집]

  • 24시간 대여 90,000원
  • 문의번호 : 053-944-7788

카셰어링[편집 | 원본 편집]

  • 제2주차장 인근에 위치
  • 소형차 : 시간당 7,700원, 24시간 이용시 77,000원
  • 준중형차 : 시간당 8,700원, 24시간 이용시 87,000원
  • 유류비는 소형차, 준중형차 동일하게 Km당 190원씩 청구
  • 문의번호 : 1644-0520

KTX 특송[편집 | 원본 편집]

TMO[편집 | 원본 편집]

북쪽 출구로 나가서 오른쪽에 위치한다. 리모델링을 한 번 거쳤기 때문에 내부는 깔끔하고, 환승 대기하는 장병들을 위해 음료수와 인터넷 PC를 제공한다. 2010년대 초반에 내부 리모델링을 위해 사무실을 폐쇄하고 대합실 내 창구를 하나 빌려 TMO를 운영했다.

코레일 라운지[편집 | 원본 편집]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2016년 12월 개장을 목표로 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건설중인 상황이라 역사 주변은 물론이고, 역사내 승강장 곳곳이 공사중인 어수선한 분위기다. 특히 KTX를 취급하는 상행선 10, 11번 승강장도 고가도로 공사와 관련하여 1~6호차, 17호차 이후의 승강장의 대부분을 가벽으로 막아두고 공사를 진행중이라 매우 비좁은 상태이다. 또한 공사가 진행되는 주간에는 온갖 중장비 소음이 역사 내외를 막론하고 우렁차게 울려퍼진다(...)
  • 롯데리아가 제1맞이방과 제2맞이방에 각각 1개씩 총 2개가 존재한다. 제2맞이방에 위치한 롯데리아가 상대적으로 한가한 편이니 여유롭고 조용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맞이방 롯데리아가 제격이다.

연계교통[편집 | 원본 편집]

사건사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지금은 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건설 진행중이어서 볼 수 없는 모습이다.
  2. 철도청 고시 제113호 (1969년 6월 4일)
  3. 무궁화호 1692열차
  4. 과거 존재했었던 동대구발 서울행 KTX의 플랫폼으로 활용되었으나 해당 KTX는 사라졌고, 2016년 3월 현재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공사를 거치며 승강장을 일부 폐쇄하고 고가도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5. 무궁화호 1672, 1674열차
  6. 6.0 6.1 토일 한정운행
  7. 7.0 7.1 금토일 한정운행
Wikipedia-ico-48px.png
이 사용자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동대구역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