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기(信號機)는 철도 신호에서 기관사에게 운전 방법을 전달하는 시설이다. 신호기 자체는 운전 방법을 전달할 뿐이고, 신호보안장치(ATS 등등)가 신호기의 전달을 강제하는 수단이다.
도로의 그것은 신호등이라고 하나, 법령상 표기나 일본식 표기는 둘 다 신호기인 것으로 미루어보았을 때 철도 쪽은 표현이 굳어친 채 내려온 것으로 보인다.
목적별 구분[편집 | 원본 편집]
상치 신호기[편집 | 원본 편집]
이하의 신호기는 한 지점에 상시적으로 설치되어 운영되는 신호기들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폐색 신호기
- 폐색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기. 보통 다음 정거장에서 멀수록 높은 번호를 매긴다.
- 중계 신호기(원방 신호기)
- 장내·출발·폐색·엄호 등 전방의 신호기에 무슨 신호가 현시되어 있는지 중계하는 신호기. 자동폐색식 이외의 구간에서는 원방신호기(distance signal)라고 불리는데, 이는 주신호기와 색상·형상이 구분되는 종속 신호기인데다 정지 신호 현시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엄호 신호기
- 폐색 도중 평면교차 등의 이유로 열차 운행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해당 지점에 설치하는 신호기.
- 장내 신호기
- 정거장 내의 진입 여부를 전달하는 신호기.
- 출발 신호기
- 정거장에 정차중인 열차의 출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기. 정지 외의 모든 신호가 출발을 의미하는 신호로, 출발 신호가 현시되면 출발신호기반응표지에 백색이 현시된다.
- 유도 신호기
- 장내 신호기에 진행 신호를 현시할 수 없는 경우(열차가 이미 점유해 있거나, 과주 여유가 확보되지 않는 등), 해당 열차에 대해 유도를 받아 진입할 수 있게 허가하는 신호기이다. 복합열차의 분리, 결합을 취급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신호이다.
- 입환 신호기
- 구내에서 입환을 목적으로 현시하는 신호기. 주신호기 하단이나 지면에 설치되며 2현시로 되어 있다.
임시신호기[편집 | 원본 편집]
임시신호기는 설비의 고장 또는 선로 작업 등의 이유로 평상시처럼 운행할 수 없는 경우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름은 신호기이지만 실제로는 현시내용이 바뀌지 않는 표지판내지 등화 처럼 생긴 물건으로, 임시로 설치, 철거되며 목적이 표지류와 달리 운행 조건을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신호기로 분류한다.
- 서행예고신호기
- 신호기 앞 상당지점에 서행신호기가 있음을 예고하는 신호기이다. 백색 삼각형에 흑백이 삼각형으로 교차하는 형상을 그려넣은 모양이며, 아래에 제한속도를 기재한 사각 판을 부착한다.
- 서행신호기
- 서행지점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기이다. 백색 테두리를 가진 등황색 원 형태로, 아래에 제한속도가 기재된 사각 판을 부착한다.
- 서행해제신호기
- 서행지점의 끝을 알리는 신호기이다. 열차의 후부가 이 신호기를 지났을 때 정상 속도로 복귀할 수 있다. 백색 테두리를 가진 녹색 원 형태이다.
형식별 구분[편집 | 원본 편집]
- 완목식
- 색등식
- 특정 색등을 밝혀 신호를 판별한다. 현시할 수 있는 패턴 갯수에 따라 3현시, 4현시, 5현시 등으로 구별된다.
- 단등식 신호기
- 색등신호기의 초기에는 여러 개의 등화를 쓰지 않고 1개의 백색등에 색유리(렌즈)를 교체해 현시 식으로 신호를 현시하였다. 렌즈 교체 메커니즘이 신뢰성이 떨어지는데다, 신호등의 고장을 검지하는게 불가능해서 현재는 표지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LED가 등장한 이후에는 다색 LED를 사용하여 기계적 고장 없이 신호를 표시할 수 있게되어, 중요도가 비교적 떨어지는 중계신호 등에 사용하고 있다.
- 다등식 신호기
- 현재 쓰이는 신호기로, 색상 별로 여러 개의 등화를 설치한 방식이다. 다등식은 등화 불량을 판정하여 불량이 인식되면 정상 등화로만 밝힐 수 있는 신호로 변경하거나, 아예 신호 현시를 중단한다. 등화의 배치 등은 국가에 따라 달라진다.
- 등열식
- 여러 개의 등화를 배치해서, 등화의 배열 방식에 의해 신호를 판별한다. 완목식 신호기를 흉내내어 입환신호기, 중계신호기에 사용하거나 진로표시기에 사용된다.
부속품[편집 | 원본 편집]
- 식별표지
- 표지의 일종으로 복수의 신호기가 병렬해 있을때 각각의 신호기명 및 선로명을 주기하는 표지이다. 검정 바탕에 숫자 및 글자가 새겨진 검정 사각형 모양으로 출발신호기에 보통 부착되며, 발광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경우 정지 외의 신호 부여시 착오 방지를 위해 점멸한다.
- 진로표시기
- 전방의 분기기가 어느 선로로 분기되어 있는지 현시한다. 등화 형식과 문자 형식이 있는 데, 대개 문자 형식을 채용한다.
- 반응표지
- 승강장에 설치된 표지로 출발신호기와 연동되어 점등된다. 열차 승무원(차장 등)에게 출발 신호 현시를 중계해 주어 출입문 개폐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승강장 성격에 따라 양면의 발광면에 방향별 출발 신호를 각각 할당하거나, 전체 반응등을 특정 방향 출발 신호에 할당할 수 있다. 한국에선 백색등화를 사용한다.
- RA & CD Indicator
- 영국에서 볼 수 있다. 플랫폼 스태프가 조작하는 지시기로, RA(right away)는 "발차 준비 완료"이고 CD(close doors)는 "출입문 닫아도 좋음"이다. 출발신호기와 별개로 역무원의 전호를 전달한다.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신호기(KR S-02020), 국가철도공단, 2017.07.26.
각주
- ↑ US852092A Electrically-controlled semaphore-signal., 미국 특허청, Google Patents. 1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