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광성보 | |
---|---|
광성보 안해루 |
|
건축물 정보 | |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23-1번지 일원 |
총면적 | 144,632 m2 |
문화재 정보 | |
종목 | 사적 제227호 |
지정일 | 1971년 12월 29일 |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의 강화도 동편에 위치한 강화 5진 7보 중 하나로 강화해협(염하)를 지키는 중요한 요새이다. 고려 시대 몽골의 침략에 대비해 쌓은 강화외성의 일부를 이용한 것으로 성벽을 조선 광해군 때 고쳐 쌓고 이후 효종 9년인 1658년에 현 위치에 광성보가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숙종 때는 일부를 돌로 고쳐서 쌓았으며, 용두돈대, 오두돈대, 화도돈대, 광성돈대 등 소속 돈대가 함께 건설되어 배속되었다.
이후 영조 21년인 1745년에 성을 고쳐 쌓으면서 성문을 만들고 성루의 이름을 안해루라 이름붙였다.
이곳은 1871년 신미양요 당시 가장 치열한 격전지였다. 당시 전투에서 조선군은 열세한 무기로 용감히 싸우다가 몇 명을 제외하고는 전원이 순국하였으며 문의 누각과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이 파괴되었다.
이후 폐허로 방치되어 오던 것을 1976년에 다시 복원하였으며, 광성보 경내에는 신미양요 때 순국한 어재연 장군의 쌍충비와 신미순의총 및 전적지를 수리하고 세운 강화전적지, 수리한 것을 기록한 비석[1] 등이 건립되었다.
부속 시설[편집 | 원본 편집]
- 성문
- 안해루 : 강화외성의 출입문 역할을 하는 성문
- 돈대
- 포대
- 광성포대(3개소)
- 우물
- 신미순의총
- 쌍충비각
사진[편집 | 원본 편집]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편집 | 원본 편집]
- 손돌목돈대 : 위치상으로는 광성보에 가깝지만 조선시대 편제상으로는 덕진진에 배속되어 있었다. 다만 현재는 입장 편의상 광성보쪽에서 입장하는 것이 일반적
- 강화시설관리공단-광성보
- 네이버 사전-광성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