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참모의장

-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5월 3일 (일) 13:03 판 (문자열 찾아 바꾸기 - "오래 (되|된|될|됨|됩|돼|됐)" 문자열을 "오래$1" 문자열로)

설명

합동참모본부의 의장으로 대한민국 국군이나 미군에서 최선임 제복군인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영어의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를 번역한 것이다. 한국에선 국방참모총장을 쓰는 방안도 생각했지만 헌법 89조에서 합동참모의장으로 정해놓았다.

1990년 이전까지는 군령권이나 군정권이 없이 명예직이었다. 육군참모총장을 국군의 최선임 군인으로 생각했다. 합동참모의장은 직속부대도 얼마 없었다. 그러다가 1990년에 각 군 참모총장으로부터 군령권을 갖고 오면서 군인 가운데 최고 작전 지휘관이 되었다. 육군의 야전군사령관이나 해공군의 작전사령관은 합참의장에게 지휘를 받고 국군의 정보업무나 해외무관 업무 등도 합참에서 관리한다. 그 덕분에 최선임 제복군인이 되었다.

미국에서는 통합전투사령관들이 작전권을 행사하기 때문에 합참은 각 군 참모총장들과 같이 참석하는 자문기관의 성격이 강하다. 그래도 영향력은 상당히 강해서 군사외교나 군사정책의 기조를 내비치는데 합참의장들의 역할이 크다. 사실 이는 대통령이 어느 기관을 신뢰하냐하고도 관계가 깊다.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의 참모나 국무장관, 국방장관과 같은 내각, 혹은 합참 쪽 등에서 정책적인 뒷받침을 얻게 되는데 대통령이 어느 기관을 더 선호하냐에 따라 갈린다. 버락 후세인 오바마의 경우 군 경력이 없던 탓에 국방문제에서 군을 존중해주려는 느낌을 많이 보이려 했고 그 때문에 마이크 멀린이나 마틴 뎀프시 같은 합참의장들의 조언을 많이 들었다. 그래서 국무장관이나 국방장관들과 좀 갈등이 있었다고.

한국의 합참의장

2013년부터 38대 합참의장인 최윤희 제독이 맡고 있다. 대한민국의 제복군인 가운데 유일하게 국회의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한다. 지휘관 흉장을 달지 않는데 합참의장은 대통령의 참모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합참의장

2011년부터 마틴 뎀프시 육군대장이 18대 합참의장을 맡고 있다. 임기가 보통 4년이라 한국보다 합참 역사는 오래됐지만 합참의장의 숫자는 적다. 한국의 합참과 달리 미국의 합참에는 각 군 참모총장들도 참석한다. 한국과 달리 각 군의 최선임 군정기관이 본부가 아니라 department급이기 때문이다.[1] 그 때문에 참모총장들도 합참의 구성원이 된다.

일본의 통합막료장

1954년부터 2006년까지는 통합막료회의의장이란 표현을 썼다. 2006년에 통합막료장으로 표현을 바꿨다. 2014년부터 가와노 가쓰토시 해군대장이 재직 중이다.

  1. department of the army, department of navy 등은 과거에는 육군성, 해군성이라 번역했으나 현재의 한국 직제에서는 성을 쓰지 않는다. 북한의 경우엔 내각에 성을 쓴다. 부로 번역하는 경우도 있고 한국의 직제와 비슷하게 청으로 번역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