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어투 수정)
2번째 줄: 2번째 줄:


[[한국]]의 공용어이자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바로 이 [[언어]].  
[[한국]]의 공용어이자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바로 이 [[언어]].  
[[언어유형학]]적으로 [[교착어]]인 한국어는 [[조사 (문법)|조사]](후치사) 등으로 문법 구조를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동사, 형용사의 활용이 매우 다양하여 학습자들로 하여금 깊은 빡침을 유발한다.
[[언어유형학]]적으로 [[교착어]]인 한국어는 [[조사 (문법)|조사]](후치사) 등으로 문법 구조를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동사, 형용사의 활용이 매우 다양하여 학습자들을 굉장히 혼란스럽게 한다.


[[언어계통학]], [[비교언어학]]적으로는 [[고립어 (언어계통학)|고립어]], 즉 다른 언어와의 친족관계가 발견되지 않은 언어이다. 무려 1억 명이 사용하는 한국어는 전세계에서 가장 화자 수가 많은 고립어이다.
[[언어계통학]], [[비교언어학]]적으로는 [[고립어 (언어계통학)|고립어]], 즉 다른 언어와의 친족관계가 발견되지 않은 언어이다. 무려 1억 명이 사용하는 한국어는 전세계에서 가장 화자 수가 많은 고립어이다.

2015년 4월 17일 (금) 02:29 판

한국어, 또는 조선말대한민국북한에서 사용하는 언어이다.

한국의 공용어이자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바로 이 언어. 언어유형학적으로 교착어인 한국어는 조사(후치사) 등으로 문법 구조를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동사, 형용사의 활용이 매우 다양하여 학습자들을 굉장히 혼란스럽게 한다.

언어계통학, 비교언어학적으로는 고립어, 즉 다른 언어와의 친족관계가 발견되지 않은 언어이다. 무려 1억 명이 사용하는 한국어는 전세계에서 가장 화자 수가 많은 고립어이다.

한글과의 혼동

한글과 헷갈리는 사람이 많은 듯하다. 한글문자고, 한국어는 언어로,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긴 하지만 엄연히 별개의 것이다. 예를 들면 "아이 엠 어 보이"는 한글로 쓰였지만 영어이고, "Annyeonghaseyo"는 로마자로 쓰였지만 한국어 문장이다. 따라서 엄밀히 말하자면 한글날에 한국어 맞춤법을 논하는 것은 핀트가 약간 어긋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