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미하마: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생물 분류 정보
{{생물 분류 정보
|이름    = 피그미하마
|이름    = 피그미하마
|그림    = [[파일:Hexaprotodon liberiensis in Edinburgh Zoo.JPG|섬네일]]
|그림    = Hexaprotodon liberiensis in Edinburgh Zoo.JPG
|그림설명 =  
|그림설명 = 피그미하마,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동물원
|학명    = ''Choeropsis liberiensis''
|학명    = ''Choeropsis liberiensis''
|명명    = Morton, 1849
|명명    = Morton, 1849
42번째 줄: 42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 auto;"
{| style="margin: auto;"
| [[파일:Zwergflusspferd - Pygmy Hippopotamus - Hexaprotodon liberiensis.jpg|x500px]]
| [[파일:Zwergflusspferd - Pygmy Hippopotamus - Hexaprotodon liberiensis.jpg|x500px|피그미하마 한 쌍, 독일 뒤스부르크 동물원]]
|}
|}
'''피그미하마'''(Pygmy hippopotamus)는 소목 하마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으로, 하마과에 속한 동물 중 [[하마]]와 더불어 유이하게 현존하는 종이다.
'''피그미하마'''(Pygmy hippopotamus)는 소목 하마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으로, 하마과에 속한 동물 중 [[하마]]와 더불어 유이하게 현존하는 종이다. 다른 말로는 애기하마, 또는 [[난쟁이하마]]라고도 불린다.
 
외형적으로는 하마와 유사하지만 발가락은 네 개 있는데 하마와 달라서 물갈퀴가 없다. 위턱의 앞니는 두 쌍으로 하마와 같으나 아래턱은 하마가 두 쌍인 데 비하여 1쌍밖에 없다. 몸의 털은 거의 없고 체색은 하마의 다갈색에 대하여 회흑색이다.
 
평균적인 피그미하마의 크기는 몸길이 150~175cm, 어깨높이는 75~100cm, 꼬리 길이 약 15cm에 몸무게는 180~275kg으로 하마에 비하면 덩치가 절반 수준으로 작다.
== 분류 및 진화 ==
{{참고|하마#분류 및 진화}}
본래 피그미하마를 처음으로 학계에 기재한 새뮤얼 조지 모턴은 피그미하마를 하마속으로 분류하고 '''히포포타무스 미노르'''(''Hippopotamus minor'')라는 학명을 붙였지만, 훗날 하마속과 충분히 차이점이 뚜렷하다고 판단하여 별도의 속인 코에롭시스로 재명명되었다. 1977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셜리 코린든은 피그미하마가 같은 하마과에 속해 있던, 아시아에 살던 하마과 종류인 헥사프로토돈속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하마속에 속한 하마들 가운데 피그미하마와 가장 가깝다고 여겨지는 것은 근세에 자취를 감춘 난쟁이하마 3종 가운데 하나인 '''마다가스카르난쟁이하마'''(''Hippopotamus madagascariensis'')이다. 마다가스카르난쟁이하마는 피그미하마처럼 보금자리로 개활된 강가보다 고지대에 우거진 삼림지를 선호하는, 육상생활에 가까운 생활양식을 보였었다. 이 종은 500년 전을 전후로 하여 절멸한 것으로 보인다.


몸길이 1.5~1.8m, 꼬리길이 약 15 cm, 어깨높이 75~100 cm, 몸무게 180~250kg이다. 발가락은 네 개 있는데 하마와 달라서 물갈퀴가 없다. 위턱의 앞니는 두 쌍으로 하마와 같으나 아래턱은 하마가 두 쌍인 데 비하여 1쌍밖에 없다. 몸의 털은 거의 없고 체색은 하마의 다갈색에 대하여 회흑색이다.
== 발견 및 진화 ==
== 생태 ==
== 생태 ==
애기하마는 산림의 습지대에서 단독으로 생활하면서 풀이나 과실 등을 먹는다.
피그미하마는 하마보다 육상 생활에 적응되어 있으며, 수렴 진화의 영향으로 하마보다는 맥의 행동과 더 유사하다. 하마는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사회적 생물이지만, 피그미하마는 홀로 생활하거나 소규모의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무리의 구성원은 대체로 어미와 새끼로 구성되어 있다. 피그미하마는 다른 개체들끼리 만나면 싸우기보다는 서로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현장에서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수컷 피그미하마의 영역 범위는 1.85㎢ 이상인 반면, 암컷의 영역 범위는 0.4~0.6㎢ 정도 된다.
 
피그미하마는 하루의 대부분을 강에 숨어 지낸다. 이들은 새로운 장소로 이동하기 전에 며칠 동안 연속적으로 같은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며, 일부 피그미하마는 강둑에 형성된 땅굴을 은신처로 이용한다. 피그미하마가 직접 굴을 파는 것인지, 또는 굴을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지 관찰된 적은 없지만, 혹멧돼지와 같은 다른 우제류 동물들이 파놓은 굴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애기하마는 하마에 비해 지상의 생활에 적응했음을 보여주지만 여전히 피부를 적시거나 체온을 낮추는데는 물에 의존한다. 짝짓기나 출산은 땅과 물에서 일어날수 있다.
애기하마는 하마에 비해 지상의 생활에 적응했음을 보여주지만 여전히 피부를 적시거나 체온을 낮추는데는 물에 의존한다. 짝짓기나 출산은 땅과 물에서 일어날수 있다.
=== 식단 ===
=== 식단 ===
애기하마는 초식성으로, 숲에 있는 고사리, 넓은잎, 풀, 과일등을 먹는다.
[[파일:Pigmy Hippo 037.jpg|250px|섬네일|야채를 먹는 피그미하마]]
하마와 마찬가지로 피그미하마는 해질녘에 먹이를 먹기 위해 물 밖으로 나오며, 울창한 숲 속 초목을 돌아다니기 위해 개별적으로 뚫어놓은 길에 의존한다. 배변을 하는 동안 꼬리를 힘차게 흔들어 배설물을 더 퍼뜨려 흔적을 표시한다. 피그미하마는 먹이를 찾는 데 하루에 약 6시간을 보낸다.
 
피그미하마는 가능한 눈에 보이는 모든 식물을 먹이로 삼는다. 피그미하마의 주식은 대부분 양치식물, 활엽식물 및 숲 바닥에 떨어진 과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친척인 하마의 식단보다 영양 면에서 품질이 높다. 그러나 반수생 초식동물이지만 육상 생활에 적응되어 있어 식단에서 수생 식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많지 않으며, 서식지 내에서 풀이 드물기 때문에 또한 거의 먹지 않는다.
 
=== 번식 및 생애주기 ===
=== 번식 및 생애주기 ===
임신기간은 201-210일, 한배에 3-5kg의 새끼를 한 마리 낳는다. 애기하마는 무색 투명한 점액을 분비한다. 수명은 20-40년이다.
[[파일:Pygmy-Hippopotamus-Lisbon-zoo.jpg|290px|섬네일|목욕을 즐기는 피그미하마 가족]]
== 인간과의 관계 및 보존 ==
야생 피그미하마의 번식 행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는 동물원에서 관찰된 피그미하마의 행동을 관찰된 것이다. 고로 사육 중에 발생하는 인위적인 조건이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조건과 다를 수 있다.
수가 많지 않고 야행성이기 때문에 애기하마는 야생에서 연구하기가 어려운 종이다.
 
피그미 하마의 성적 성숙은 3~5세 사이에 일어난다. 현재까지 보고된 가장 어린 출산 연령은 스위스 바젤 동물원의 피그미 하마로 생후 3년 3개월에 새끼를 낳았다. 암컷 피그미하마의 발정 주기는 평균 35.5일로 발정 자체는 24~48시간 동안 지속된다.
 
피그미하마는 짝짓기를 위해 서로 부부 관계를 형성하지만, 이 관계가 얼마나 지속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는다. 동물원에서는 일부일처제로 번식한다. 교미는 육지나 물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한 쌍은 발정 기간 동안 1~4번 짝짓기를 한다. 사육 상태에서 피그미하마는 1년 내내 잉태되고 태어날 수 있다. 임신 기간은 190~210일 사이이며, 간혹 쌍둥이를 낳은 것이 보고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한 마리의 새끼가 태어난다.


생존을 위협하는 최대 요소는 서식지 파괴로, 서식하고 있던 삼림 지대가 농장 개간을 목적으로 부서지고 벌목되어 터전이 사라지고 있다. 또한 밀렵과 부시미트를 얻기 위한 사냥, 천적과 내전에 의한 희생 역시 위협적이다. 라이베리아에서 피그미하마는 고기를 얻으려는 목적으로 남획당하기도 한다.
물에서만 새끼를 낳고 짝짓기를 하는 하마와 달리, 피그미하마는 육지와 물 모두에서 짝짓기를 하고 새끼를 낳을 수 있다. 어린 피그미하마는 태어나자마자 즉시 수영할 수 있다. 갓 태어난 피그미 하마의 무게는 4.5~6.2kg이며 수컷은 암컷보다 약 0.25kg 정도 더 무겁다. 피그미 하마는 생후 6개월에서 8개월 사이에 완전히 젖을 뗀다. 새끼는 젖을 떼기 전 어미가 먹이를 찾기 위해 물을 떠날 때 같이 동행하는 대신 어미가 먹이를 구해 올 때까지 스스로 물 속에 몸을 숨긴다. 어미는 하루에 세 번 정도 은신처로 돌아와 새끼에게 젖을 먹으라고 울음소리로 신호를 보내며, 새끼가 젖을 빨 때는 옆으로 누워서 자세를 취한다.
 
== 인간과의 관계 ==
=== 발견 ===
오래 전부터 유럽인들에게 그 존재가 알려진 하마와 달리, 피그미하마는 19세기까지만 해도 서부아프리카 외에서는 그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다. 관찰이 어려운 밤에 활동한다는 것과 인간의 활동이 힘든 우거진 숲에 서식한다는 점으로 인해 자국 내에서도 세부적인 내용이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라이베리아에서는 물소로 오인받기도 했다.
 
피그미하마에 대한 초기 현장 보고에서는 이 동물을 야생 돼지로 오인했다. 이 종의 두개골 몇 개는 라이베리아의 몬로비아에 거주하는 동안 미국의 자연 과학자 새뮤얼 조지 모턴에게 보내졌다. 모턴은 1843년에 처음으로 이 종을 설명했다. 최초의 완전한 표본은 1870~1880년대에 요한 뷔티코퍼 박사에 의해 라이베리아 동물군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의 일환으로 수집되었다. 표본들은 네덜란드 라이덴에 있는 자연사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 위협 및 보존 ===
피그미하마는 현재 IUCN 적색 목록에 '''위기'''(EN) 등급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야생에서 약 3,000마리 정도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가 많지 않고 야행성인데다 서식지가 내전 등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해 있어 야생에서 연구하기가 어려운 종으로 손꼽히며, 보존 사업을 진행하기도 어렵다.
 
야생에 남아 있는 피그미하마 개체군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은 서식지 파괴로, 이들의 서식지인 삼림 지대가 벌목, 정착 및 농장 개간을 목적으로 벌목이 이루어지면서 피그미하마의 터전이 사라지고 있다. 또한 서식지인 숲이 줄어들면 그만큼 피그미하마의 번식 가능한 개체군이 더 파편화되어 잠재적인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라이베리아에서 피그미하마는 고기를 얻기 위해 불법으로 사냥당하고 있다. 이들의 고기는 멧돼지고기처럼 질이 좋다고 한다. 하마의 이빨과 달리, 피그미 하마의 이빨은 밀렵꾼들에게 있어서 아무런 가치가 없다. 서아프리카의 내전이 피그미하마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적어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 동물원 ===
피그미하마는 1911년 유럽의 동물원에 성공적으로 정착했다. 이들은 처음에 독일로 보내졌고 그 다음에는 뉴욕시의 브롱크스 동물원으로 보내졌고 거기서도 번성했다. 오늘날 피그미하마에 대해 알려진 정보들은 동물원에 정착한 피그미하마들의 생태를 연구한 것이다.
 
1927년 파이어스톤 타이어회사의 하비 새뮤얼 파이어스톤은 미국 대통령 캘빈 쿨리지에게 "빌리(Billy)"라는 이름의 피그미 하마를 선물했다. 쿨리지는 빌리를 미국 국립동물원에 기증했고, 훗날 빌리는 오늘날 미국 동물원에 있는 대부분의 피그미하마들의 선조가 되었다.
 
국내에서 피그미하마는 유일하게 서울동물원의 제2아프리카관에서 볼 수 있다.


== 기타 ==
== 기타 ==
66번째 줄: 102번째 줄:
** 주 타이쿤 2에서는 아프리카 어드벤쳐 확장팩에서 추가로 사육 가능한 동물들 중 하나로 나온다.
** 주 타이쿤 2에서는 아프리카 어드벤쳐 확장팩에서 추가로 사육 가능한 동물들 중 하나로 나온다.
** 플래닛 주에서는 [[톰슨가젤]], [[코모도왕도마뱀]]과 함께 디럭스 에디션을 구입하면 추가로 사육 가능한 3종의 동물들 중 하나로 나온다. 게임 상에서는 [[덤불멧돼지]]와 합사하면 합사 보너스를 얻는다.
** 플래닛 주에서는 [[톰슨가젤]], [[코모도왕도마뱀]]과 함께 디럭스 에디션을 구입하면 추가로 사육 가능한 3종의 동물들 중 하나로 나온다. 게임 상에서는 [[덤불멧돼지]]와 합사하면 합사 보너스를 얻는다.
== 참고 자료 ==
* [https://blog.naver.com/finezoos/220749187310 서울대공원에만 사는 희귀동물 '피그미하마']
{{퍼온문서|피그미하마||일부}}
{{퍼온문서|피그미하마||일부}}
{{각주}}
[[분류:하마과]]
[[분류:하마과]]
[[분류:IUCN 적색 목록 위기종]]
[[분류:IUCN 적색 목록 위기종]]

2024년 4월 26일 (금) 21:58 판

피그미하마
Hexaprotodon liberiensis in Edinburgh Zoo.JPG
피그미하마,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동물원
학명
Choeropsis liberiensis
Morton, 1849
생물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경우제목(Cetartiodactyla)
하마과(Hippopotamidae)
피그미하마속(Choeropsis)
피그미하마(C. liberiensis)
아종 라이베리아피그미하마(C. l. liberiensis)
나이지리아피그미하마(C. l. heslopi)
보전 상태
멸종위기등급 위기.png
피그미하마 한 쌍, 독일 뒤스부르크 동물원

피그미하마(Pygmy hippopotamus)는 소목 하마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으로, 하마과에 속한 동물 중 하마와 더불어 유이하게 현존하는 종이다. 다른 말로는 애기하마, 또는 난쟁이하마라고도 불린다.

외형적으로는 하마와 유사하지만 발가락은 네 개 있는데 하마와 달라서 물갈퀴가 없다. 위턱의 앞니는 두 쌍으로 하마와 같으나 아래턱은 하마가 두 쌍인 데 비하여 1쌍밖에 없다. 몸의 털은 거의 없고 체색은 하마의 다갈색에 대하여 회흑색이다.

평균적인 피그미하마의 크기는 몸길이 150~175cm, 어깨높이는 75~100cm, 꼬리 길이 약 15cm에 몸무게는 180~275kg으로 하마에 비하면 덩치가 절반 수준으로 작다.

분류 및 진화

본래 피그미하마를 처음으로 학계에 기재한 새뮤얼 조지 모턴은 피그미하마를 하마속으로 분류하고 히포포타무스 미노르(Hippopotamus minor)라는 학명을 붙였지만, 훗날 하마속과 충분히 차이점이 뚜렷하다고 판단하여 별도의 속인 코에롭시스로 재명명되었다. 1977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셜리 코린든은 피그미하마가 같은 하마과에 속해 있던, 아시아에 살던 하마과 종류인 헥사프로토돈속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하마속에 속한 하마들 가운데 피그미하마와 가장 가깝다고 여겨지는 것은 근세에 자취를 감춘 난쟁이하마 3종 가운데 하나인 마다가스카르난쟁이하마(Hippopotamus madagascariensis)이다. 마다가스카르난쟁이하마는 피그미하마처럼 보금자리로 개활된 강가보다 고지대에 우거진 삼림지를 선호하는, 육상생활에 가까운 생활양식을 보였었다. 이 종은 500년 전을 전후로 하여 절멸한 것으로 보인다.

생태

피그미하마는 하마보다 육상 생활에 적응되어 있으며, 수렴 진화의 영향으로 하마보다는 맥의 행동과 더 유사하다. 하마는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사회적 생물이지만, 피그미하마는 홀로 생활하거나 소규모의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무리의 구성원은 대체로 어미와 새끼로 구성되어 있다. 피그미하마는 다른 개체들끼리 만나면 싸우기보다는 서로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현장에서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수컷 피그미하마의 영역 범위는 1.85㎢ 이상인 반면, 암컷의 영역 범위는 0.4~0.6㎢ 정도 된다.

피그미하마는 하루의 대부분을 강에 숨어 지낸다. 이들은 새로운 장소로 이동하기 전에 며칠 동안 연속적으로 같은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며, 일부 피그미하마는 강둑에 형성된 땅굴을 은신처로 이용한다. 피그미하마가 직접 굴을 파는 것인지, 또는 굴을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지 관찰된 적은 없지만, 혹멧돼지와 같은 다른 우제류 동물들이 파놓은 굴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애기하마는 하마에 비해 지상의 생활에 적응했음을 보여주지만 여전히 피부를 적시거나 체온을 낮추는데는 물에 의존한다. 짝짓기나 출산은 땅과 물에서 일어날수 있다.

식단

야채를 먹는 피그미하마

하마와 마찬가지로 피그미하마는 해질녘에 먹이를 먹기 위해 물 밖으로 나오며, 울창한 숲 속 초목을 돌아다니기 위해 개별적으로 뚫어놓은 길에 의존한다. 배변을 하는 동안 꼬리를 힘차게 흔들어 배설물을 더 퍼뜨려 흔적을 표시한다. 피그미하마는 먹이를 찾는 데 하루에 약 6시간을 보낸다.

피그미하마는 가능한 눈에 보이는 모든 식물을 먹이로 삼는다. 피그미하마의 주식은 대부분 양치식물, 활엽식물 및 숲 바닥에 떨어진 과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친척인 하마의 식단보다 영양 면에서 품질이 높다. 그러나 반수생 초식동물이지만 육상 생활에 적응되어 있어 식단에서 수생 식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많지 않으며, 서식지 내에서 풀이 드물기 때문에 풀 또한 거의 먹지 않는다.

번식 및 생애주기

목욕을 즐기는 피그미하마 가족

야생 피그미하마의 번식 행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는 동물원에서 관찰된 피그미하마의 행동을 관찰된 것이다. 고로 사육 중에 발생하는 인위적인 조건이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조건과 다를 수 있다.

피그미 하마의 성적 성숙은 3~5세 사이에 일어난다. 현재까지 보고된 가장 어린 출산 연령은 스위스 바젤 동물원의 피그미 하마로 생후 3년 3개월에 새끼를 낳았다. 암컷 피그미하마의 발정 주기는 평균 35.5일로 발정 자체는 24~48시간 동안 지속된다.

피그미하마는 짝짓기를 위해 서로 부부 관계를 형성하지만, 이 관계가 얼마나 지속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는다. 동물원에서는 일부일처제로 번식한다. 교미는 육지나 물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한 쌍은 발정 기간 동안 1~4번 짝짓기를 한다. 사육 상태에서 피그미하마는 1년 내내 잉태되고 태어날 수 있다. 임신 기간은 190~210일 사이이며, 간혹 쌍둥이를 낳은 것이 보고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한 마리의 새끼가 태어난다.

물에서만 새끼를 낳고 짝짓기를 하는 하마와 달리, 피그미하마는 육지와 물 모두에서 짝짓기를 하고 새끼를 낳을 수 있다. 어린 피그미하마는 태어나자마자 즉시 수영할 수 있다. 갓 태어난 피그미 하마의 무게는 4.5~6.2kg이며 수컷은 암컷보다 약 0.25kg 정도 더 무겁다. 피그미 하마는 생후 6개월에서 8개월 사이에 완전히 젖을 뗀다. 새끼는 젖을 떼기 전 어미가 먹이를 찾기 위해 물을 떠날 때 같이 동행하는 대신 어미가 먹이를 구해 올 때까지 스스로 물 속에 몸을 숨긴다. 어미는 하루에 세 번 정도 은신처로 돌아와 새끼에게 젖을 먹으라고 울음소리로 신호를 보내며, 새끼가 젖을 빨 때는 옆으로 누워서 자세를 취한다.

인간과의 관계

발견

오래 전부터 유럽인들에게 그 존재가 알려진 하마와 달리, 피그미하마는 19세기까지만 해도 서부아프리카 외에서는 그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다. 관찰이 어려운 밤에 활동한다는 것과 인간의 활동이 힘든 우거진 숲에 서식한다는 점으로 인해 자국 내에서도 세부적인 내용이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라이베리아에서는 물소로 오인받기도 했다.

피그미하마에 대한 초기 현장 보고에서는 이 동물을 야생 돼지로 오인했다. 이 종의 두개골 몇 개는 라이베리아의 몬로비아에 거주하는 동안 미국의 자연 과학자 새뮤얼 조지 모턴에게 보내졌다. 모턴은 1843년에 처음으로 이 종을 설명했다. 최초의 완전한 표본은 1870~1880년대에 요한 뷔티코퍼 박사에 의해 라이베리아 동물군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의 일환으로 수집되었다. 표본들은 네덜란드 라이덴에 있는 자연사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위협 및 보존

피그미하마는 현재 IUCN 적색 목록에 위기(EN) 등급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야생에서 약 3,000마리 정도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가 많지 않고 야행성인데다 서식지가 내전 등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해 있어 야생에서 연구하기가 어려운 종으로 손꼽히며, 보존 사업을 진행하기도 어렵다.

야생에 남아 있는 피그미하마 개체군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은 서식지 파괴로, 이들의 서식지인 삼림 지대가 벌목, 정착 및 농장 개간을 목적으로 벌목이 이루어지면서 피그미하마의 터전이 사라지고 있다. 또한 서식지인 숲이 줄어들면 그만큼 피그미하마의 번식 가능한 개체군이 더 파편화되어 잠재적인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라이베리아에서 피그미하마는 고기를 얻기 위해 불법으로 사냥당하고 있다. 이들의 고기는 멧돼지고기처럼 질이 좋다고 한다. 하마의 이빨과 달리, 피그미 하마의 이빨은 밀렵꾼들에게 있어서 아무런 가치가 없다. 서아프리카의 내전이 피그미하마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적어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동물원

피그미하마는 1911년 유럽의 동물원에 성공적으로 정착했다. 이들은 처음에 독일로 보내졌고 그 다음에는 뉴욕시의 브롱크스 동물원으로 보내졌고 거기서도 번성했다. 오늘날 피그미하마에 대해 알려진 정보들은 동물원에 정착한 피그미하마들의 생태를 연구한 것이다.

1927년 파이어스톤 타이어회사의 하비 새뮤얼 파이어스톤은 미국 대통령 캘빈 쿨리지에게 "빌리(Billy)"라는 이름의 피그미 하마를 선물했다. 쿨리지는 빌리를 미국 국립동물원에 기증했고, 훗날 빌리는 오늘날 미국 동물원에 있는 대부분의 피그미하마들의 선조가 되었다.

국내에서 피그미하마는 유일하게 서울동물원의 제2아프리카관에서 볼 수 있다.

기타

  • 피그미하마는 주 타이쿤 2플래닛 주에서 전시 가능한 동물 중 하나로 나온다.
    • 주 타이쿤 2에서는 아프리카 어드벤쳐 확장팩에서 추가로 사육 가능한 동물들 중 하나로 나온다.
    • 플래닛 주에서는 톰슨가젤, 코모도왕도마뱀과 함께 디럭스 에디션을 구입하면 추가로 사육 가능한 3종의 동물들 중 하나로 나온다. 게임 상에서는 덤불멧돼지와 합사하면 합사 보너스를 얻는다.

참고 자료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피그미하마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