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템킨호 반란: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1905년, 제정 러시아 흑해함대 소속 전함 포템킨에서 사병처우 및 급식에 대한 불만으로 발생한 수병들의 선상반란 사건. <del>미 해군 항공...)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1905년, 제정 러시아 흑해함대 소속 전함 포템킨에서 사병처우 및 급식에 대한 불만으로 발생한 수병들의 선상반란 사건.
1905년, 제정 러시아 흑해함대 소속 전함 포템킨에서 사병처우 및 급식에 대한 불만으로 발생한 수병들의 선상반란 사건.
<del>미 해군 항공모함에서 군대리아를 배식하면 일어나는 사건</del>
<del>미 해군 항공모함에서 군대리아를 배식하면 일어나는 사건</del>



2015년 7월 22일 (수) 18:57 판

1905년, 제정 러시아 흑해함대 소속 전함 포템킨에서 사병처우 및 급식에 대한 불만으로 발생한 수병들의 선상반란 사건.

미 해군 항공모함에서 군대리아를 배식하면 일어나는 사건

당시 상황 및 배경

사건이 발발한 1905년 6월은 러일전쟁이 끝나가고 있던 시기였다. 쓰시마 해전으로 러시아 발틱함대가 괴멸당했지만, 포템킨 호는 흑해함대 소속 전함으로, 다르다넬스-보스포로스 해협의 통과 문제 등으로 인해 흑해함대가 일본 원정에 참여하지 못하면서 평상적인 임무와 훈련 업무를 소화중이었다.

러시아 내부는 피의 일요일 사건으로 전국적으로 시위와 파업이 일어나는 중으로 러시아 정부가 이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서 불만은 가중되고 시위는 확산일로였다. 여기에 전쟁에서 사실상 패전했다는 분위기까지 겹치면서 정부에 대한 불만은 극도로 쌓여갔다.

해군의 경우, 당대 주요국가 중 수병에 대한 처우가 가장 안 좋기로 악명높았고, 귀족 출신들이 주로 고급장교직을 독차지하면서 귀족과 평민이라는 계급갈등 요소까지 잠복해 있었다. 특히, 전쟁으로 예산이 부족해지면서 전투에 투입되지 않은 후방부대에 대한 예산은 넉넉하지 못했다.

과정

1905년 6월 27일[1] 전함 포템킨은 훈련을 위해 어뢰정 N267과 함께 오데사를 출항한 상태였다. 점심시간이 되자 취사반을 통해 급식이 실시되었는데, 수병들은 기겁하며 급식을 거부하고 집단으로 소요를 일으키기 시작한다.

소요의 이유는 단 하나, 고기에 구더기가 득실거렸기 때문이다!

단순히 고기에 구더기가 득실거린 것이 불만 폭발의 이유는 아니었다. 원래 보관문제로 해군은 항해중에 썩은 고기를 먹는 일이 비교적 흔했다. 문제는 포템킨이 오데사를 출항한 것은 그 전 날인 6월 26일이었고, 이 날 배식된 고기는 6월 26일에 오데사에서 산 거다! 즉, 처음부터 썩은 고기를 샀을 가능성이 매우 높고 정황상 장교들이 뒷돈으로 꿀걱했을 공산이 높았던 것이다.이래서 먹는거 갖고 장난치면 안된다.

이 소요에 불을 지핀 것은 군의관으로 식초로 소독해 쳐먹어 쉐키들아를 시전한다.(...) 당연히 사병들의 반발은 커져만 갔고, 이에 함장 예브게니 골리코프가 나서서 고기를 육상으로 보내 검수하겠다고 약속하여 무마될 수 있었다. 그러나 함장의 이러한 노력을 부장 이폴리트 길리아로프스키는 함장의 온건책에 반기를 들고, 함장이 사건을 무마하고 떠난 뒤 독단으로 사병들에게 급식을 강요하며 소금과 물로 헹궈서 먹으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며 군의관을 말을 반복하고 급식을 거부하면 처벌하겠다고 위협했다.

결국 이러한 대응이 수병들의 분노를 폭발시켜, 수병들이 함내 무기고를 장악한 후 궐기하여 주요 장교들이 피살당하거나 항복하면서 배가 수병들에 의해 접수되었다. 사건 잘 무마시켰는데 고문관 부장땜시 괜히 같이 희생된 함장 골리코프 대령을 포함해 사병들의 분노를 유발시킨 부장과 군의관이 모두 죽었고, 그들을 따르던 장교진도 다수가 살해되었다. 이후 동행하던 어뢰정 N267에서도 이에 호응하는 반란이 일어나 수병들이 접수했다.

이후 수병들은 적기를 게양하고 병사위원회를 조직한 후 오데사 항으로 가서 군 주둔지에 몇 차례 포격을 가하여 정부를 충격과 공포로 몰아넣었다. 흑해함대는 포템킨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흑해함대 나머지 함정들에게 출동명령을 내렸으나 오히려 포함 1척이 반란에 가담하고 나머지 함정들도 수병들의 불온한 움직임이 포착되는 등 개판오분전으로 흘러갔다.

문제는 포템킨 내부에 있었다. 피꺼솟한 사병들이 집단으로 들고 일어나 배를 접수한 거까진 좋은데 그 이후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나 목표가 없었고, 물자도 부족한 상황에 놓였다. 결국 자연스레 내부갈등이 발생했고, 그 와중에 보급물자 획득을 위한 교섭차 상륙했던 일부 리더급 병사들이 사살되거나 체포되었고 동행하던 어뢰정 N267이 먼저 이탈해 정부군에 투항하면서 포템킨의 고립은 심해졌다.

이에 병사들은 회의를 통해 항복하면 짜르가 우릴 살려줄 리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 하고 흑해연안의 국가 중 가장 가까웠던 루마니아의 이스마일 항으로 가 7월 7일 배를 자침시킨 뒤 루마니아에 망명하는 것으로 반란은 끝났다.

후일담

  • 루마니아는 이웃강대국 러시아를 두려워하여 망명한 사병 중 다수를 러시아로 송환하였다. 러시아는 리더급들을 모조리 사형에 처하고 나머지 대부분을 시베리아나 형무소로 보냈다. 루마니아에 잔류를 허가받은 사병들도 안습한게, 1906년에 루마니아에서 사회주의의 영향을 받은 농민봉기가 일어나자 괜히 이 사병들까지 연루되어서 감옥에 끌려갔다.(...) 대신 루마니아 감옥에 갇힌 사병들 중 생존자들은 후일 러시아 혁명 이후 모국으로 귀국할 수 있었다.
  • 러일전쟁으로 해군력을 몽땅 말아먹은 러시아는 자침시킨 포템킨을 건져내서 현역에 복귀시키는 근성을 발휘한다.(...)
  • 후일 소련은 러시아 혁명의 기원이라며 이 사건을 매우 높게 평가한다. 물론 실상은 개차반 사병대우에 원인을 둔 대규모 선상반란 중 하나일 뿐이지만.
  • 소련에서 이를 소재로 한 선전영화를 만들었는데 1925년작 전함 포템킨이 그것이다. 시대가 시대다보니 당연히 흑백, 무성영화지만 상당한 수작. 계단에서 떨어지는 유모차 장면은 영화계의 레전드다. 한국에서는 공산권 선전영화라며 방영되지 못했고, 민주화가 된 90년대에나 정식으로 들어올 수 있었다.

각주

  1. 당시 제정러시아에서 쓰던 율리우스력으로 6월 14일이다. 19세기 후반~20세기 초 러시아 현대사에서 가장 혼동되기 쉬운 것이 바로 역법 차이에 따른 시간 문제이다.

틀: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