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철도역 정보/설명문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66번째 줄: 266번째 줄:
|  
|  
|  
|  
|전산 상에서 역을 구분하는 데 쓰이는 코드를 입력합니다.
|전산 상에서 역을 구분하는 데 쓰이는 코드를 입력합니다. [http://www.letskorail.com/ebizprd/EbizPrdTicketPr11100/searchTnCode.do 코레일의 역 코드는 여기서 역명에 새겨져 있는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
|-
|코드이름
|코드이름

2015년 4월 23일 (목) 13:27 판

틀:틀 설명문서 안내

철도역전철역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틀입니다.

기본 사용법

{{철도역 정보
|역명 = 
|역명2 = 
|배경색 = 
|그림 = 
|그림설명 = 
|역번호 = 
|소재지 = 
|좌표 = 
|개업일 = 
|폐지일 = 
|관할 = 
|승강장 = 
|노선1 = 
|영업거리1 = 
|전역1 = 
|전거리1 = 
|후역1 = 
|후거리1 = 
|비고 = 
|주석 = 
}}

내용 설명

  • 역명: 제목 셀에 들어갈 역의 주역명을 적습니다.
    • 역명2: 부역명 등 역명을 여러 개 써야 할 때 사용합니다. 그 이상 필요한 경우는 <br /> 등으로 구분합니다.
  • 배경색: 제목 셀의 배경색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eeeeee이며, 일반적으로 운영 기관의 상징색이나 노선색을 사용합니다.
  • 그림: 역의 사진 등의 그림을 넣을 수 있습니다. '파일:' 등을 제외한 파일명만을 넣습니다.
    • 그림설명: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 그림크기: 그림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지정하지 않을 경우 290px로 지정됩니다.
  • 역번호: 역 또는 노선도에 공개되어 있는 역 번호입니다. 승차권 업무나 매표 업무와 관련된 내부 코드는 넣지 않습니다.
  • 소재지: 역의 주소입니다.
  • 좌표: 역이 위치한 곳의 좌표입니다. 틀:Tl 틀을 이용합니다.
  • 개업일: 역이 문을 연 날짜입니다. 보통 연혁에 나와 있는 영업 개시일로 봅니다.
  • 폐지일: 역이 문을 닫은 날짜입니다.
  • 관할: 역을 운영·관리하는 기관을 적습니다.
  • 승강장: 역 승강장의 형태입니다. -면 -선 식으로 적습니다. 구조가 복잡할 경우에는 본문에서 따로 기술합니다.
  • 노선n: 첫 번째 노선의 이름을 적습니다.
    • 영업거리n: 첫 번째 노선의 기점과 영업거리를 적습니다.
    • 전역n: 이 역의 기점 방향 다음 역을 적습니다.
    • 전거리n: 전역과의 역간 거리를 적습니다.
    • 후역n: 이 역의 종점 방향 다음 역을 적습니다.
    • 후거리n: 후역과의 역간 거리를 적습니다.
      • n의 값은 1에서 9까지입니다. 숫자만 바꿔 사용하면 됩니다.
  • 비고, 주석: 기타 역의 설명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합니다.

역명, 소재지는 필수이며 그 밖의 다른 항목은 모두 생략할 수 있습니다.

모든 변수 설명

{{철도역 정보
|역명 = 
|역명2 = 
|배경색 = 
|그림 = 
|그림설명 = 
|그림크기 = 
|그림2 = 
|그림설명2 = 
|그림크기2 = 
|역번호 = 
|소재지 = 
|좌표 = 
|개업일 = 
|폐지일 = 
|관할 = 
|종별 = 
|등급 = 
|코드 = 
|코드이름 = 
|승강장 = 
|단위 = 
|노선1 = 
|영업거리1 = 
|전역1 = 
|전거리1 = 
|전대체1 = 
|후역1 = 
|후거리1 = 
|후대체1 = 
|전역1-1 = 
|전거리1-1 = 
|전대체1-1 = 
|후역1-1 = 
|후거리1-1 = 
|후대체1-1 = 
|노선2 =
|영업거리2 =
|전역2 =
|전거리2 =
|전대체2 =
|후역2 =
|후거리2 =
|후대체2 =
|전역2-1 = 
|전거리2-1 = 
|전대체2-1 = 
|후역2-1 = 
|후거리2-1 = 
|후대체2-1 = 
|노선3 =
|영업거리3 =
|전역3 =
|전거리3 =
|전대체3 =
|후역3 =
|후거리3 =
|후대체3 =
|전역3-1 = 
|전거리3-1 = 
|전대체3-1 = 
|후역3-1 = 
|후거리3-1 = 
|후대체3-1 = 
|노선4 =
|영업거리4 =
|전역4 =
|전거리4 =
|전대체4 =
|후역4 =
|후거리4 =
|후대체4 =
|전역4-1 = 
|전거리4-1 = 
|전대체4-1 = 
|후역4-1 = 
|후거리4-1 = 
|후대체4-1 =
|노선5 =
|영업거리5 =
|전역5 =
|전거리5 =
|전대체5 =
|후역5 =
|후거리5 =
|후대체5 =
|전역5-1 = 
|전거리5-1 = 
|전대체5-1 = 
|후역5-1 = 
|후거리5-1 = 
|후대체5-1 =
…
|노선9 =
|영업거리9 =
|전역9 =
|전거리9 =
|전대체9 =
|후역9 =
|후거리9 =
|후대체9 =
|전역9-1 = 
|전거리9-1 = 
|전대체9-1 = 
|후역9-1 = 
|후거리9-1 = 
|후대체9-1 =
|비고 = 
|주석 = 
}}
변수명 기본값 필수 설명
역명 역의 주역명을 표기합니다.
역명2 역의 부역명 등을 입력합니다. 괄호는 입력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할 경우에는 입력해야 합니다.
배경색 제목 셀의 배경색을 지정합니다. 단일 노선일 경우 노선색을, 한 운영 주체 내 접속역일 경우 회사색을 입력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기본값을 입력하거나 삭제해야 합니다.
그림 역의 사진이나 구조도 등의 그림을 입력합니다. ‘파일:’등을 제외한 파일명만을 입력합니다.
그림2
그림설명 그림의 아래에 덧붙여질 설명을 입력합니다. 각각 변수에 있는 숫자와 일치하는 숫자의 그림 아래에 표시됩니다.
그림설명2
그림크기 290px 그림의 크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은 290픽셀이며, 이 크기를 넘으면 틀이 깨질 수 있습니다.
그림크기2
관할 역을 운영하는 기관을 입력합니다. 위탁 운영일 경우는 위탁 기관도 입력합니다.
소재지 역의 소재지(주소)를 입력합니다. 단위가 큰 순서대로 입력하며, 국가명은 생략합니다.
좌표 역의 좌표를 {{Coor dms}}({{좌표도분초}})를 사용하여 입력합니다.
개업일 역이 처음 영업을 시작한 날짜를 입력합니다.
폐지일 역이 공식적으로 폐지된 날짜를 입력합니다.
역번호
역 번호 수도권 전철 1호선: 132
서울 지하철 2호선: 201

역번호가 있는 경우 입력합니다. 단일 노선의 역인 경우 역번호만, 다른 노선과의 접속역일 경우 앞에 노선명을 표기한 뒤 입력합니다.

종별 역의 종별을 입력합니다. 폐역일 경우에는 ‘폐역’을 입력합니다.
등급 역의 등급을 입력합니다.
코드 전산 상에서 역을 구분하는 데 쓰이는 코드를 입력합니다. 코레일의 역 코드는 여기서 역명에 새겨져 있는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코드이름 역 코드 코드의 이름을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면 2선

승강장의 개수를 입력합니다, ‘○면 ×선’의 형식으로 입력하며, 승강장이 없는 통과선은 세지 않습니다.

단위 (km) 거리표·주변역 부분에서, 주변역까지의 거리에 사용될 단위를 지정합니다. 지정하지 않으면 km가 사용됩니다.
노선1 거리표·주변역 부분에 처음 나올 노선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영업거리1 노선1의 기점에서 이 역까지의 영업 거리를 적습니다. 단위 등도 입력해야 합니다.
전역1 이전 역의 역명을 입력합니다. 링크는 자동으로 걸리지 않습니다.
전거리1 이전 역까지의 거리를 적습니다. 단위는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전대체1 전역1 대신 표시될 내용을 입력합니다. 전역1보다 우선하지 않습니다.
후역1 다음 역의 역명을 입력합니다. 링크는 자동으로 걸리지 않습니다.
후거리1 다음 역까지의 거리를 적습니다. 단위는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후대체1 후역1 대신 표시될 내용을 입력합니다. 전역1보다 우선하지 않습니다.
노선1-1, 영업거리1-1, 전역1-1, 전거리1-1, 전대체1-1, 후역1-1, 후거리1-1, 후대체1-1 응암역과 같이 같은 노선 사이에 갈림이 있을 경우에 사용합니다.
노선2, 영업거리2, 전역2, 전거리2, 전대체2, 후역2, 후거리2, 후대체2, 노선2-1, 영업거리2-1 등에 대해서는 각각 노선1 등의 사용법을 참조하세요.
비고 그 외에 이 틀에서 설명해야 할 만한 사항을 입력합니다.
주석 ¹등으로 표시한 사항에 대해 주석을 달 때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