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취형 승강장: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케이큐 +게이큐))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1\|([^}]+)\}\} +<big>\1</big>))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1|절취형 승강장}}<br />Bay Platform / 切欠きホーム / Zungenbahnsteig / Zakspoor
<big>절취형 승강장</big><br />Bay Platform / 切欠きホーム / Zungenbahnsteig / Zakspoor
[[파일:Platform10.png|섬네일|절취형 승강장의 형태]]
[[파일:Platform10.png|섬네일|절취형 승강장의 형태]]


11번째 줄: 11번째 줄:
* [[조치원역]]: 일본식의 절취형 구조는 아니지만, 과거 [[충북선]]용 승강장을 기존 승강장 뒤편에 종단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현재는 미사용.
* [[조치원역]]: 일본식의 절취형 구조는 아니지만, 과거 [[충북선]]용 승강장을 기존 승강장 뒤편에 종단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현재는 미사용.
* [[영주역]]: 조치원역과 비슷하게 [[경북선]]용 승강장이 존재한다. 현재는 미사용.
* [[영주역]]: 조치원역과 비슷하게 [[경북선]]용 승강장이 존재한다. 현재는 미사용.
*[[위례선]]의 [[복정역]](112역)이 [https://blog.naver.com/ianhan/222427639561 절취형 승강장으로 지어질 예정]이다.


=== 일본 ===
=== 일본 ===
주로 간선철도에 접속하는 지선 또는 단거리 동차용으로 쓰는 선로에 이 절취형 승강장을 쓰는 경우가 많다.
주로 간선철도에 접속하는 지선 또는 단거리 동차용으로 쓰는 선로에 이 절취형 승강장을 쓰는 경우가 많다.
* [[케이힌 급행전철]] [[게이큐카마타역]] : 막다른 선로가 아닌 건넘선 분기를 붙인 좀 변칙적인 구조지만 2번 및 5번 승강장이 이 구조를 채택하였다.
* [[케이힌 급행전철]] [[게이큐가마타역]] : 막다른 선로가 아닌 건넘선 분기를 붙인 좀 변칙적인 구조지만 2번 및 5번 승강장이 이 구조를 채택하였다.
* [[JR 시코쿠]] [[도쿠시마역]] : 1번 승강장이 이 구조이다.  
* [[JR 시코쿠]] [[도쿠시마역]] : 1번 승강장이 이 구조이다.
 


[[분류:철도 승강장]]
[[분류:철도 승강장]]

2024년 1월 20일 (토) 17:50 기준 최신판

절취형 승강장
Bay Platform / 切欠きホーム / Zungenbahnsteig / Zakspoor

절취형 승강장의 형태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절취형 승강장은 철도 플랫폼의 구조로, 승강장의 일부를 잘라내어 선로를 설치해 짦은 열차가 추가로 시종착할 수 있도록 만들어놓은 구조의 승강장이다. 일종의 변칙적인 구조의 승강장 구조로, 대개 지선열차의 착발 내지는 해당 역 시종착 역차의 착발 용도로 쓰이며, 구조상 승강장 신설이 어렵거나 공간적 제약이 큰 경우에 쓰인다.

이와같은 구조는 동선이 길어지고, 각 선로에 충분한 유효장을 갖추기 어려우며, 배선이 난잡해지는 단점이 있지만, 대대적인 승강장 및 여객통로(과선교, 지하통로) 확충 없이도 선로를 추가할 수 있으며, 특히 배치에 따라서는 수직이동 없이 같은 평면상에서 승하차 및 환승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설계상 잘 반영할 경우 1면의 승강장으로 3개의 착발선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평면교차 및 입환 없이 승강장 반복운전을 시킬 수도 있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한국[편집 | 원본 편집]

일본[편집 | 원본 편집]

주로 간선철도에 접속하는 지선 또는 단거리 동차용으로 쓰는 선로에 이 절취형 승강장을 쓰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