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병: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291번째 줄: 291번째 줄:


== 차량 분류 ==
== 차량 분류 ==
육해공군의 차량 분류(면허 분류)가 다소 다른데, 공군의 분류 방법은 사회의 그것과 동일하다. 육군은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분하며 각각 레토나, 두돈반, 오톤 운전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해군은 육군에서 소형과 중형을 합쳐 "보통"으로 분류한다.
육해공군의 차량 분류(면허 분류)가 다소 다른데, 공군의 분류 방법은 사회의 그것과 동일하다. 육군은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분하며 각각 레토나, 두돈반, 오톤 운전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해군은 육군에서 소형과 중형을 합쳐 "보통"으로 분류한다. 육군의 면허와 사회 면허를 대응할 때 소형을 2종보통, 중형을 1종보통, 대형을 1종대형에 대응하나 병력수송을 했다면 중형도 1종대형과 매칭해준다. 군면허를 1종대형으로 교환하려면 3,000km 이상의 병력수송 이력이 필요하다.
 
* 소형
* 소형
*: 소형차량 운전병은 1/4톤 트럭 또는 12인승 이하 [[경차]], [[승용차]], [[승합차]] 운행이 가능하다. 5/4톤 이상 트럭 운행이 불가하여 [[5분전투대기부대|5대기]] 임무를 수행할 수 없다. 운행 가능한 차량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각 부대의 [[지휘관]] 차량을 운행하는 [[CP병]]이 되지 않는 이상 세차병, 행정계원, 배차계원으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다.  
*: 소형차량 운전병은 1/4톤 트럭 또는 12인승 이하 [[경차]], [[승용차]], [[승합차]] 운행이 가능하다. 5/4톤 이상 트럭 운행이 불가하여 [[5분전투대기부대|5대기]] 임무를 수행할 수 없다. 운행 가능한 차량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각 부대의 [[지휘관]] 차량을 운행하는 [[CP병]]이 되지 않는 이상 세차병, 행정계원, 배차계원으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다.  

2019년 8월 7일 (수) 21:33 판

Key Resolve.jpg

군대에서 운전을 임무로 하는 병사이다. 특기번호는 241이며(간부는 이걸로 부여됨), 소형(241.101), 중형(241.102), 대형(241.103)으로 나뉜다. 특수차량을 운행하는 241.104~109까지의 특기번호도 존재한다.

운전병이 되는 법

가장 일반적인 경우는 기술행정병으로 자원입대하는 것이다. 기술행정병 선발은 1차 평가, 2차 평가로 나뉘어지는데, 타 특기와 다르게 운전 특기는 평가항목이 운전면허뿐이다. 75점 만점에 1종대형 75점, 1종보통 72점, 2종보통 70점이 주어진다. 우선 1종대형면허 소지자는 인원이 적기 때문에 100% 합격이고, "동점자인 경우에는 생년월일이 빠른 순으로 선발한다"는 규칙에 따라 1종보통면허 소지자 중에서 생년월일 순으로 합/불이 갈린다.

즉, 2종보통면허 소지자는 지원은 가능하나 선발확률은 0%나 다름없다. 커트라인은 입영부대와 시기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입영하는 해에 22살이 되면 안정적이다. 그러나 2작사 예하 사단은 75점, 즉 1종대형면허에서 커트라인이 갈리기도 하므로 주의하기 바란다.(파란색 글씨)

2015년 차량운전(241.100) 기술행정병 커트라인
입영부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육군훈련소 940910 940603 940602 940516 940728 950113 940316 950430 940606
102보충대 950503 941030 941225 941115 940707 950209 950302 950516 950428
1사단 950225 940324 940825 930416 940829 950307 950218 950119 950305
3사단 950614 950218 950125 941014 950104 950130 950426 950512 950616
5사단 950611 950202 941212 950111 940910 950301 950414 950519 950528
6사단 950621 950321 950108 950117 950318 950401 950514 950619
8사단 950204 941016 941025 941029 950212 950401
9사단 950302 930614 930102 940504 940609 941010 950304 940929 950302
17사단 930512 920422 900228 910105 910913 930726 930723 930408 930531
20사단 950319 941201 940902 950226 950221 950225 950321
25사단 950504 950116 941011 940429 941211 950404 950322 950323
26사단 950209 940904 941114 940606 941213 950312 950426
28사단 950525 950129 950103 940816 941117 950202 950224 950425 950509
30사단 950116 940327 931227 940926 941013 940530 941130
51사단 940314 930818 940130 930312 921229 940822 940830 941108
55사단 940402 921102 930824 901003 920205 930505 940812 930423 940317
수기사 950106 940509 940818 940307 940223 950217 950213 950214 950306
31사단 920811 940108 950315 951005 950218 950721 951106 950525 950829
32사단 940423 921221 910122 910909 931111 940220 940404
35사단 951027 920530 951109 940711 941014
37사단 940531 930714 931021 930520 930728 920403 940504 940130 941013
39사단 940714 940204 900422 920903 940609 940125 950706 921125
50사단 920729 920609 940330 911230 951004 951023 960105 950825
53사단 940319 940610 881113 941120 920813 920730

운전병으로 선발이 되면 육군훈련소 또는 사단 신병교육대대에서 5주간의 기초군사훈련을 이수한 후, 1군 지역은 제1야전수송교육단(강원도 홍천), 2작사 지역은 제2수송교육단(경상북도 경산), 3군 지역은 제3야전수송교육단(경기도 가평)에서 운전교육을 받고 자대배치를 받는다.

그 외에도 기초군사훈련 과정에서 운전 특기를 받고 입대훈련병이 각종 사유로 탈락한 경우, 해당 TO를 채우기 위해 신병교육대대에서 1종보통 이상의 면허를 갖고 있는 훈련병을 대상으로 운전기량을 평가하여 운전 특기를 부여한다. 이는 운전병으로 들어온 훈련병이 탈락해야지만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가능성은 희박하다. 다른 경우로는 운전병이 급하게 필요한 자대에서 소총수수송교육단으로 파견을 보내 군면허를 취득하게 하여 운전병으로 운용하기도 한다. 이 역시 흔치는 않은 경우이므로 기술행정병 지원을 통해 운전 특기를 받고 입대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차량 분류

육해공군의 차량 분류(면허 분류)가 다소 다른데, 공군의 분류 방법은 사회의 그것과 동일하다. 육군은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분하며 각각 레토나, 두돈반, 오톤 운전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해군은 육군에서 소형과 중형을 합쳐 "보통"으로 분류한다. 육군의 면허와 사회 면허를 대응할 때 소형을 2종보통, 중형을 1종보통, 대형을 1종대형에 대응하나 병력수송을 했다면 중형도 1종대형과 매칭해준다. 군면허를 1종대형으로 교환하려면 3,000km 이상의 병력수송 이력이 필요하다.

  • 소형
    소형차량 운전병은 1/4톤 트럭 또는 12인승 이하 경차, 승용차, 승합차 운행이 가능하다. 5/4톤 이상 트럭 운행이 불가하여 5대기 임무를 수행할 수 없다. 운행 가능한 차량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각 부대의 지휘관 차량을 운행하는 CP병이 되지 않는 이상 세차병, 행정계원, 배차계원으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다.
  • 중대형
    중형차량 운전병은 5톤 이하 트럭, 경차, 승용차, 승합차 운행이 가능하다. 소형, 중형, 대형 운전병 중 그 수가 가장 많고 무난하게 여러 임무를 수행한다. 대형차량 운전병은 버스를 비롯한 모든 차량 운행이 가능한데, 오톤이 마구 굴러다니는 포병같은 케이스가 아니면 다른 차량 운행 없이 버스를 전담하는 경우가 많다.
    소형보다는 중형, 중형보다는 대형이 운행할 수 있는 차량이 많기 때문에 부대에서는 중형, 대형 운전병을 늘리려고 한다. 이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소형, 중형 운전병에게 재교육을 하여 면허를 업그레이드할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대형 면허를 취득하면 사회에서 1종대형 면허로 갱신이 가능하므로 운전병 입장에서도 나쁘지 않은 기회이다. 간단한 시내운행이라도 맡기기 위해서 정비병에게 소형 면허를 취득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 특수면허
    구난과 견인(트레일러)으로 구분되며 명칭은 사회의 그것과 대동소이하다. 구난은 구난차가 있으면 한명쯤 면허가 있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견인은 견인포를 끌고다니는 포병이나 HET를 끌고다니는 보급수송대대 정도에서 볼 수 있다.

부대별 특징

보병대대 운전병

대대급에는 수송부를 둘 수 없으나, 대대에 운행이 있을 때마다 운전병이 연대에서 대대까지 왔다갔다 하는 것은 말도 안 되기 때문에 연대 수송대에서 운전병을 파견하여 대대에 상주하도록 한다.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첫째로는 일정 기간마다 번갈아가며 운전병을 파견하는 유형이다. 이 경우 대대 병사들과는 아저씨 관계를 유지하게 되고, 선후임 관계도 없고, 자대가 아니라는 이유로 각종 작업에서 열외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매우 편하게 지낼 수 있다. 그러나 둘째로 파견기간을 전역일까지로 하여 영구파견을 보내는 유형도 많다. 이 경우 인사권은 대대로 위임하게 되므로, 휴가, 진급, 징계 등의 업무가 대대에서 처리된다. 일단 엄밀한 소속은 연대 수송대이지만, 전역일까지 대대에서 생활하게 되므로 그냥 자대가 대대로 옮겨졌다고 보는 편이 타당하다. 이 문단에서는 영구파견으로 대대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유형에 대하여 서술하겠다.

본부중대에 속하게 되며, 운행이 없을 때는 군수과에서 업무를 수행한다. 배차계원을 따로 둘 정도로 편제에 여유가 있지 않기 때문에, 그때그때 운행이 없는 운전병(주로 5대기)이 배차를 작성하고, 수송에 관련된 행정업무도 처리한다. 배차는 연대 수송대에 신청하면 연대 자체 배차와 각 대대 배차들을 종합하여 연대 군수과장의 결재를 얻게 된다. 대대 자체적으로 배차 처리가 불가하므로 대대 운전병들과 연대 군수장교 및 배차계원은 서로 뗄레야 뗄 수 없는 애증의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죄송한데 배차가 바뀌어서.. !@~@!~!####!~ 흔한 운전병과 군수장교의 통화내용 군수과에서 군수과장 또는 보급관의 지시를 받는터라 군수과의 업무를 상당수 함께 수행하게 된다. 매일같이 차에 기름을 넣으려면 3종은 가장 먼저 친숙하게 익히게 되고, 2·4종과 함께 창고정리를 하거나 5·7종과 함께 무기손질을 하는 경우도 많다.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 싶으면 아예 창고 열쇠나 심지어는 무기고 열쇠까지도 운전병한테 혼자 들려보내서 일을 시키기도 한다. 무기고는 반드시 간부와 함께 출입해야 하지만 현실은..

연대에 비해 장비와 시설이 열악하다. 세차를 제대로 하기도 어렵고, 주유기가 없어 드럼통을 직접 굴리고 펌프로 뽑아내어 주유해야 한다. 200L 드럼통을 처음에는 혼자 못 들지만 짬이 차면 찰수록 점점 가벼워져서 혼자서도 거뜬히 들어올린다. 드럼통을 혼자 들 수 있어야 짬 찼다고 인정해준다 정비시설도 전무하여 일일정비(즉 차량점호)를 제외한 예방정비는 연대에 위탁처리하고 있다. 어차피 연대로 가는 운행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에, 연대 갈 일 있을때 주차를 정비고에 해버린다. 연대까지의 운행도 버거운 경우(주로 전투차량)를 위해 주기적으로 이동정비도 실시한다. 연대 간부와 정비병이 트럭에 수리공구를 한가득 싣고 와 차량을 정비하고 돌아간다. 그렇기 때문에 대대 운전병은 정비에 대한 부담은 크게 없는 편이다. 정 급하면 주임원사나 보급관에게 맡기면 척척 고쳐준다.

운행이 없으면 군수과에서 잉여거리게 되다보니 짬이 낮으면 상당히 눈치를 받게 된다. 짬이 차도 간부 눈치가 보이기 때문에 세차한다는 명목으로 수송부로 가서 짱박힐 때가 많다.

독립대대·연대 운전병

독립대대와 연대는 독자적인 수송부를 둘 수 있기 때문에, 보병대대보다 인력 관리가 자유로운 편이다.

연대는 보병대대에 운전병을 내려줘야 하기도 하지만, 대대에 없는 특수 차량(민수 차량 등)을 할당받기 때문에 타부대로의 파견 업무가 잦다. 간혹 노후되어 운영비를 많이 먹는 특수 차량을 예하부대에 짬처리해버리고 담당 운전병을 조교로 파견한다.

포병대대에서는 소총수 취급이다. 농담이 아니라 포병부대에서 가장 많은 특기가 중·대형운전이기 때문에, 작업 수요가 발생하면 운전병에게 제일 먼저 맡기고, 위병소 경계근무도 운전병에게 가장 먼저 떨어지는 등…. 다음날 운행 있는데 근무 떨어지면 근무 바꿔줄 사람 찾아다니느라 발바닥에 불이 난다. (배차 명령은 수송관이 내고 근무 명령은 행보관이 내기 때문에 이렇게 명령이 꼬이는 일이 이따금씩 생긴다) 거기다가 자주포 부대에서는 해당 사항이 없지만, 견인포 부대라면 포를 방열할 때 트럭이 필요하다…. 그렇다. 견인포 부대라면 2.5톤 트럭이 전투장비가 된다.

생활

출타를 하지 않는 이상 부대 바깥을 거의 나갈 수 없는 타 병사들에 비해, 거의 매일같이 부대 안밖을 드나들 수 있어 사회와의 단절감이 덜 느껴진다. 또한 선탑 간부가 업무를 보는 동안 차량에서 라디오를 들으며 낮잠을 자면 정말 꿀이다. 졸음운전 방지를 위하여 운행 중 라디오 청취나 목적지에서 낮잠을 자는 것은 오히려 선탑 간부가 권장한다. 하지만 선임이 뒤에 타고 있다면?? 선임이 먼저 자자고 한다 바깥 매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짬이 낮으면 양담배 셔틀로 전락하기도 한다.

운행이 잡히면 선탑 간부가 과속을 눈감아주는지를 중요하게 여긴다. 고속도로 못지 않게 쭉쭉 뻗어 있고 교통량도 없어 한산한 국도에서 80km/h로 정속주행하면 졸음운전과 처절한 사투를 벌이게 된다. 이는 선탑 간부도 예외가 아니라서, 버티다 못해 잠들어버리는 경우가 대다수. 때문에 90~100km/h 정도의 과속은 대부분 허용해주고, 과속카메라[1] 위치를 선탑 간부가 다 꿰고 있다.

그러나 업무를 보기보다는 선탑 자체를 땡땡이의 수단으로 사용하려는 간부라면 특히 말년 중위일수록 이러한 성향이 강하다 목적지에 최대한 늦게 도착해야 하기 때문에 절대 과속을 금지한다. 운전병은 멀쩡한데 오히려 선탑 간부가 잠온다고 휴게소에서 자고 가자고 먼저 청하는 경우도 잦다. 배차 담당도 바보는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간부에게는 최대한 선탑을 안 주려고 한다.

각주

  1. 군 차량이 단속카메라에 찍히면 상급 부대에서 공문이 날아온다. 선탑 간부와 운전병이 털리는 건 확정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