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익명의 개인 혹은 단체에서 발명하였다. 사토시 나카모토가 발행한 비트코인을 시작으로 수많은 종류...)
 
잔글 (46.211.81.166(토론)의 편집을 Graphene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big>Cryptocurrency</big>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익명의 개인 혹은 단체에서 발명하였다. 사토시 나카모토가 발행한 [[비트코인]]을 시작으로 수많은 종류의 가상화폐들이 발매되고 있다.  
== 개요 ==
암호화폐(Cryptocurrency)는  '암호화'라는 뜻을 가진 'crypto-'와 통화, 화폐란 뜻을 가진 'currency'의 합성어로, 분산 장부(Distributed Ledger)에서 [[공개키 암호화]]를 통해 안전하게 전송하고, [[해시 함수]]를 이용해 쉽게 소유권을 증명해 낼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이다.


가상화폐의 기반 기술이 되는 것은 분산 암호화 장부 기술인 [[블록체인]]이라 할 수 있다.<ref name="sbs">[http://sbscnbc.sbs.co.kr/read.jsp?pmArticleId=10000879336 ‘가상화폐 ICO 금지’ 논쟁…해결의 실마리는?, SBSCNBC, 2017-10-26]</ref> 네트워크 상에서 화폐 발행과정<ref>화폐 발행이 흔히 이야기하는 '채굴'이다.</ref>은 블록체인에 따라 통제되며 모든 거래와 화폐 발행은 블록체인 상에서만 수행된다. 거래상 익명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범죄에도 많이 이용된다.<ref>[https://www.bcckorea.co/what-is-a-bit-coin/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비트커넥트 홈페이지]</ref>
일반적으로 암호화폐는 블록체인이나 DAG (Directed Acyclic Graph)을 기반으로 한 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 위에서 동작한다.


2017년 3월 말 기준으로 전 세계에 약 740여개의 가상화폐가 있으며 667개의 가상화폐가 거래되는 중이다.<ref>가상화폐 법적, 제도적 기반 마련해야, 이코노미스트, 1404호, 2017년 10월 16일 발행.</ref> 가상화폐의 대표격인 [[비트코인]]의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음에 따라 월가의 투자사들이 앞다퉈 가상화폐 투자에 나서고 있다.
== 역사 ==
최초의 암호화폐는 [[비트코인]]으로, 2008년 10월 31일에 공개된 논문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을 바탕으로 2009년 1월 3일에 첫 블록이 만들어졌다.


24시간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 등락폭이 크며 초고위험 투자 자산으로 분류된다.<ref name="brn">[http://www.boryeo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784 가상화폐란 무엇인가?, 보령뉴스, 김윤환기자, 2017-06-09]</ref>
비트코인이 처음으로 대중에게 알려진 2013년을 기점으로 다양한 매체에서 비트코인을 Virtual currency (가상 화폐, 가상 통화)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는데, 비트코인의 특성이 이 Virtual currency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에 탄생한 단어이다.


[[한국]]의 가상화폐 거래는 굉장히 활발한 편. 주요 가상화폐의 40% 가까이가 국내에서 거래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2016년 말부터 가상 화폐 규제를 위해 가상화폐를 를 제도권으로 편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2017년 9월 에는 말 정부 당국이 모인 '가상통화 관계기관 합동 TF’에서 가상화폐를 매개로 한 자금 모집, 즉 ICO를 전면 금지했다. ICO를 사칭한 금융 사기가 증가하는 추세고 ICO는 개인 투자자 보호조치가 전무한 상태기 때문. 다만 기존 가상화폐 거래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ref name="sbs" />
2011년 10월 7일에 첫 배포된 [[라이트코인]]을 시작으로 비트코인 코드베이스에서 몇 가지 수정을 거친 암호화폐들부터 비트코인에서 영감을 받은 많은 디지털 자산들이 탄생하게 되었는데, 이들이 비트코인의 대안/보조적 성격을 지닌다고 하여 알트코인이라고 불렀다.


==붐==
그러던 어느 날, [[비탈릭 부테린|어떤 천재]]가 닉 사보(Nick Szabo)가 1994년에 고안<ref>Smart Contracts: Building Blocks for Digital Markets [http://www.fon.hum.uva.nl/rob/Courses/InformationInSpeech/CDROM/Literature/LOTwinterschool2006/szabo.best.vwh.net/smart_contracts_2.html]</ref>한 스마트 컨트랙 - 디지털 형식으로 표현된 약속의 집합 - 을 블록체인에 적용한다는 발상을 해냈고, [[이더리움]]이 탄생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여러 비트코인의 가격이 폭등한 이유로는 [[워너크라이]]를 비록한 잇다른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워너크라이 감염 시 해지 조건으로 비트코인을 요구했으며 이에 따라 가격이 폭등했다는 것. 다만 가상화폐의 가격 폭등이 이전부터 꾸준했다는 지적도 있으며 가격 폭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ref>[http://www.sciencetimes.co.kr/?news=%EA%B0%80%EC%83%81%ED%99%94%ED%8F%90-%EA%B1%B0%EB%9E%98%EC%8B%9C%EC%8A%A4%ED%85%9C-%ED%98%81%EB%AA%85-%EA%B0%80%EC%A0%B8%EC%98%AC%EA%B9%8C 가상화폐 거래시스템 혁명 가져올까, 더사이언스타임즈, 유성민 IT 칼럼니스트, 2017.06.14]</ref>
 
가상화폐 채굴로 인해 그래픽카드의 품귀 현상도 한때 빚어졌었다.<ref>[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d=01315286616096856&mediaCodeNo=257&OutLnkChk=Y 찬바람 부는 가상화폐 채굴‥“품귀 그래픽카드, 이젠 재고 쌓인다”, 이데일리, 안승찬 기자, 2017-10-26]</ref> 하지만 직접 가상화폐를 채굴하면 전기값도 나오지 않아 수지가 맞지 않는다(...) 때문에 좀비PC를 이용하여 가상화폐를 채굴하는 범죄가 성행하고 있다.
 
 
==전망==
일부는 장밋빛 미래를 예측하기도 하지만 일부는 한 때의 붐일 뿐이라고 평가한다.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측에선 가상화폐는 희소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자산]]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비트코인]] 같은 경우 총량이 2100만개 정도로 한정되어 있으며 가상 거래 등을 위해 꾸준한 [[수요]]가 있다. 때문에 [[금]]처럼 희소성이 높아 좋은 가치 저장을 위한 수단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ref name="MK">KT, 넥슨, 두나무 진출 타진 "나도요~", 매경이코노미 1930호, 명순영 기자</ref>
 
하지만 [[금]]과는 달리 활용처가 부족하며 가상화폐의 대표주자인 [[비트코인]]이 주로 [[탈세]]와 해외 불법 송금을 위해 악용된다는 점, 해킹과 대규모 소송 가능성이 상시 존재한다는 점 등을 근거로 가상화폐의 미래를 어둡게 보는 사람들도 여럿 존재한다.<ref name="MK" /> 그들은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들이 현재 강세를 보이는 것은 [[화폐]]로서의 유용성이 아닌 투기적 목적 때문이라는 점을 지적한다.<ref name="cho">[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14/2017091401316.html 가상화폐, 엇갈리는 전망..."사기" VS "기술혁신", 조선비즈, 안소영 기자, 2017.09.14]</ref>
 
 
==거래소==
 
가상화폐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거래소도 있다. 한국의 1위 가상화폐 거래소는 '빗썸'으로 이 외에도 코인원, 코빗 등 여러 가상화폐 거래소가 존재한다. 2017년 가상화폐 투자 붐으로 인해 가상화폐 거래소가 거액에 인수되고 있으며 가상화폐 거래 플랫폼도 여럿 출시되고 있다.
 
중국은 자국 내 가상화폐 거래소에 모두 운영 중단 명령을 내렸으며 코인 공개(ICO)를 금지했다. 한마디로 새 가상화폐 발행 및 자금 조달이 불가능해졌다는 것.<ref name="cho" />
 
*[https://www.bithumb.com/ 빗썸]
*[https://www.korbit.co.kr/ 코빗]
*[https://coinone.co.kr/ 코인원]
 
[[비트코인]] 항목에도 거래소에 대한 설명이 있다.
 
==종류==
 
가상화폐의 원조인 비트코인을 제외한 다른 모든 가상화폐를 알터코인(Alternative Coin)이라 부른다.<ref name="brn" />
*[[비트코인]] : 가상화폐의 시조. 2009년 1월 처음 생겼다.
*이더리움
*비트커넥트


{{주석}}
{{주석}}
 
{{암호화폐}}
[[분류:화폐]]
[[분류:암호화폐| ]]

2022년 4월 7일 (목) 08:41 기준 최신판

Cryptocurrency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암호화폐(Cryptocurrency)는 '암호화'라는 뜻을 가진 'crypto-'와 통화, 화폐란 뜻을 가진 'currency'의 합성어로, 분산 장부(Distributed Ledger)에서 공개키 암호화를 통해 안전하게 전송하고, 해시 함수를 이용해 쉽게 소유권을 증명해 낼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이다.

일반적으로 암호화폐는 블록체인이나 DAG (Directed Acyclic Graph)을 기반으로 한 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 위에서 동작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최초의 암호화폐는 비트코인으로, 2008년 10월 31일에 공개된 논문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을 바탕으로 2009년 1월 3일에 첫 블록이 만들어졌다.

비트코인이 처음으로 대중에게 알려진 2013년을 기점으로 다양한 매체에서 비트코인을 Virtual currency (가상 화폐, 가상 통화)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는데, 비트코인의 특성이 이 Virtual currency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에 탄생한 단어이다.

2011년 10월 7일에 첫 배포된 라이트코인을 시작으로 비트코인 코드베이스에서 몇 가지 수정을 거친 암호화폐들부터 비트코인에서 영감을 받은 많은 디지털 자산들이 탄생하게 되었는데, 이들이 비트코인의 대안/보조적 성격을 지닌다고 하여 알트코인이라고 불렀다.

그러던 어느 날, 어떤 천재가 닉 사보(Nick Szabo)가 1994년에 고안[1]한 스마트 컨트랙 - 디지털 형식으로 표현된 약속의 집합 - 을 블록체인에 적용한다는 발상을 해냈고, 이더리움이 탄생했다.

각주

  1. Smart Contracts: Building Blocks for Digital Market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