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ranezyer/뻘/조선중앙3방송: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16번째 줄:
}}
}}


'''조선중앙3방송''' 또는 '''조선중앙제3방송''', 줄여서 '''제3방송'''은 [[북한]]의 [[유선방송|유선 음성방송]] ([[위키백과:케이블 라디오|케이블 라디오]])이다.<ref>순서가 어떻게 된 것인 지는 알 수 없지만, 제3방송은 조선중앙3방송 이외에도 케이블 라디오 전반을 통틀어 부르는 것으로 의미가 확대되었다.</ref>
'''조선중앙3방송''' 또는 '''조선중앙제3방송''', 줄여서 '''제3방송''' 또는 '''3방송'''은 [[북한]]의 [[유선방송|유선 음성방송]] ([[위키백과:케이블 라디오|케이블 라디오]])이다.
 
== 개요 ==
이북에서 말하는 '제1방송'은 [[조선중앙방송|(조선)중앙방송]], 제2방송은 [[평양방송]]<ref>시작은 (당시 이북의 과한 띄어쓰기를 반영하자면) '조선 중앙 제 2 방송'이었다. 이것이 조선로동당에게 운영권이 넘어가면서 평양방송으로 분리된 것.</ref>, 제3방송은 조선중앙3방송과 지방별/군부대별/직장별 유선방송<ref>순서가 어떻게 된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3방송은 조선중앙3방송 이외에도 까벨 (케이블)을 이용하는 음성방송 전반을 통틀어 부르는 것으로 의미가 확대되었다.</ref>인데, 북한의 방송원들 중에서조차도 평양방송이 중앙방송에서 분리된 것이라는 역사를 모르는 사람들은 '제2방송'이 무엇을 지칭하는 것인지를 모른다.


<!--
<!--
제1방송은 (조선)중앙방송, 제2방송은 평양방송, 제3방송은 조선중앙3방송과 지방별/군부대별/직장별 유선방송인데, 북한 주민들 중에서조차도 평양방송이 원래 중앙방송에서 떨어져나온 것이라는 역사를 모르는 사람들은 제2방송이 무엇을 지칭하는 것인 지를 모른다.
== 역사 ==


방송 내용에 대해서도 외부에 전혀 공개가 안 되다보니 [[휴민트|청취자에게 물어보는 방식]]으로밖에 알 수 없어 정보 수집 효율이 나쁜 편이며, 그마저도 조선중앙3방송의 전지역 공통 방송 시간 이외에는 지역별/군부대별/직장별 방송국이 자체적으로 편성을 꾸려나가므로 어느 한 지역의 휴민트를 통해 알아낸 내용이 타 지역의 방송 내용과 동일하다는 보장이 없<s>는 정도가 아니라 내용이 다를 확률이 100%이</s>다.
== 방송 내용 및 제3방송의 존재 이유 ==
-->
방송 내용에 대해서도 외부에 전혀 공개가 안 되다보니 [[간첩|현지의 청취자]]에게 물어보는 방식으로밖에 알 수 없어 정보 수집 효율이 나쁜 편이며, 그마저도 조선중앙3방송의 전지역 공통 방송 시간 이외에는 지역별/군부대별/직장별 방송국이 자체적으로 편성을 꾸려나가므로 어느 한 지역의 휴민트를 통해 알아낸 내용이 타 지역의 방송 내용과 동일하다는 보장이 없<s>는 정도가 아니라, 내용이 다를 확률이 100%이</s>다.
<!-- TODO: 존재 이유에 관해 서술. 외부에 알리기 싫은 지들 입장이나 사건사고 내용을 공유(...세뇌)하는 목적, 주민 동원 훈련 등을 비밀스럽게 지시하는 목적, 그리고 알람시계(...) -->


방송 스피커는 마치 한국 아파트의 안내방송 스피커마냥<ref>그러나 내장형이나 매립형은 아니고, 웬 오래된 학교 안내방송 스피커 비스무리한 상자 모양의 기기를 벽의 제일 위에 붙여놓는 방식이다.</ref> 모든 가구마다 하나씩 무조건 배치되는데, 이게 공짜가 아니라 '세외부담'으로서 직접 사거나 돈을 바쳐야 하는 것이다.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사람에 따라 증언이 다르다. 방송 송출선이 스피커 전기 공급까지 한다는 말도 있고, 스피커 전원을 켜고 끄는 기능만 있다는 사람도 있는 반면에 음량 조절은 가능해도 전원을 끄거나 음소거를 할 수는 없다는 사람도 있다.
== 수신 장치 ==
방송 스피커는 마치 한국 아파트의 안내방송 스피커마냥<ref>그러나 내장형이나 매립형은 아니고, 웬 오래된 학교 안내방송 스피커 비스무리한 상자 모양의 기기를 벽의 제일 위에 붙여놓는 방식이다.</ref> 모든 가구마다 하나씩 무조건 배치되는데, 이게 공짜가 아니라 '세외부담'으로서 입주자 또는 건설에 직간접적으로 동원되는 누군가가 직접 사거나 돈을 바쳐야 하는 것이다.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사람에 따라 증언이 다르다. 방송 송출선이 스피커 전기 공급까지 한다는 말도 있고, 스피커 전원을 켜고 끄는 기능만 있다는 사람도 있는 반면에 음량 조절은 가능해도 전원을 끄거나 음소거를 할 수는 없다는 사람도 있다.
 
<!--
== 방송국 ==
* 중앙방송국
* 지방별 방송국
* 군부대별/직장별 방송국
-->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남북 방송통신 간접교류 협력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13년 11월
*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남북 방송통신 간접교류 협력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13년 11월
* 한국방송통신학회. <남북 방송통신 산업 협력 활성화 정책 수립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방송통신위원회 지정 2008-02), 방송통신위원회 / 한국전파진흥원, 2008년 12월
* 한국방송통신학회. <남북 방송통신 산업 협력 활성화 정책 수립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방송통신위원회 지정 2008-02), 방송통신위원회 / 한국전파진흥원, 2008년 12월
-->


== 같이 보기 ==
* [[조선중앙방송]]
* [[평양방송]]
* [[위키백과:케이블 라디오|케이블 라디오 <sub>(위키백과 문서)</sub>]]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nowiki>[[분류:북한의 방송]][[분류:케이블 방송]]</nowiki>

2024년 2월 4일 (일) 09:31 판

조선중앙3방송
채널 정보
소유 조선중앙방송위원회
나라 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언어 문화어
시작 05:00? (방송국별로 다름)
종료 22:30? (방송국별로 다름)
호출부호 없음
주파수 없음
웹사이트 없음
유선 음성방송 (외부에 방송내용 비공개)

조선중앙3방송 또는 조선중앙제3방송, 줄여서 제3방송 또는 3방송북한유선 음성방송 (케이블 라디오)이다.

개요

이북에서 말하는 '제1방송'은 (조선)중앙방송, 제2방송은 평양방송[1], 제3방송은 조선중앙3방송과 지방별/군부대별/직장별 유선방송[2]인데, 북한의 방송원들 중에서조차도 평양방송이 중앙방송에서 분리된 것이라는 역사를 모르는 사람들은 '제2방송'이 무엇을 지칭하는 것인지를 모른다.

방송 내용에 대해서도 외부에 전혀 공개가 안 되다보니 현지의 청취자에게 물어보는 방식으로밖에 알 수 없어 정보 수집 효율이 나쁜 편이며, 그마저도 조선중앙3방송의 전지역 공통 방송 시간 이외에는 지역별/군부대별/직장별 방송국이 자체적으로 편성을 꾸려나가므로 어느 한 지역의 휴민트를 통해 알아낸 내용이 타 지역의 방송 내용과 동일하다는 보장이 없는 정도가 아니라, 내용이 다를 확률이 100%이다.

수신 장치

방송 스피커는 마치 한국 아파트의 안내방송 스피커마냥[3] 모든 가구마다 하나씩 무조건 배치되는데, 이게 공짜가 아니라 '세외부담'으로서 입주자 또는 건설에 직간접적으로 동원되는 누군가가 직접 사거나 돈을 바쳐야 하는 것이다.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사람에 따라 증언이 다르다. 방송 송출선이 스피커 전기 공급까지 한다는 말도 있고, 스피커 전원을 켜고 끄는 기능만 있다는 사람도 있는 반면에 음량 조절은 가능해도 전원을 끄거나 음소거를 할 수는 없다는 사람도 있다.


참고자료

  •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남북 방송통신 간접교류 협력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13년 11월
  • 한국방송통신학회. <남북 방송통신 산업 협력 활성화 정책 수립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방송통신위원회 지정 2008-02), 방송통신위원회 / 한국전파진흥원, 2008년 12월

같이 보기

주석

  1. 시작은 (당시 이북의 과한 띄어쓰기를 반영하자면) '조선 중앙 제 2 방송'이었다. 이것이 조선로동당에게 운영권이 넘어가면서 평양방송으로 분리된 것.
  2. 순서가 어떻게 된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3방송은 조선중앙3방송 이외에도 까벨 (케이블)을 이용하는 음성방송 전반을 통틀어 부르는 것으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3. 그러나 내장형이나 매립형은 아니고, 웬 오래된 학교 안내방송 스피커 비스무리한 상자 모양의 기기를 벽의 제일 위에 붙여놓는 방식이다.

[[분류:북한의 방송]][[분류:케이블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