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천

틀:토막글

사마천

사마천(司馬 遷,기원전 145년 - 기원전 86년)은 동양 역사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중국 최초의 정사, 사기(史記)를 집필한 인물이다. 궁형을 당하는 치욕을 무릎쓰고 사기를 완성하려는 집념으로 유명하다. 현실은 고자의 대명사

젊은 시절

사마천의 아버지는 사마담(司馬談)으로, 태사령으로 재임하며 역법과 황실의 전적을 관리했다. 그는 봉선 의식에 참여하지 못하여 분을 참지 못하고 죽었다고 한다. 사마담은 죽으면서 아들에게 자신이 편찬하고 있던 사서(史書)를 완성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고 한다.

봉선은 황제가 직접 하늘에 지내던 제사 중 하나인데, 자신이 하늘과 직접 대화할 수 있을만큼 훌륭한 군주라는 자신감의 표명이었다. 진시황이 최초로 거행한 후 무제, 광무제 등 명군 혹은 태평성대를 이룬 황제가 아니면 거행하는 일이 거의 없었다. 봉선에 참여한다는 것은 이런 명군의 두터운 신임을 받는 신하라는 의미였다. 이런 명예를 놓쳤으니, 홧병으로 죽을 만 하다.뭐?

사마천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 태사령 직에 제수되었다. 그는 태사령 직책을 수행하면서도 틈틈이 아버지가 남긴 미완성의 사서를 계속 집필해가고 있었다.

이릉을 변호하다

이런 그의 삶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을 사건이 일어난다. 바로 이릉의 항복이다.

흉노 전쟁이 한창이던 시기, 이릉은 흉노 본대에 맞서 싸워 선우가 친히 이끄는 군대를 상대로 신적인 전과를 올리다가 지구전 끝에 투항하였다. 이릉은 당시 5천명의 보병만 가지고 8만에 가까운 흉노를 여러 차례 격파하다가 지구전 끝에 항복했다. 생각해보면 정말 무시무시한 전과를 올린 것이다. 그러나 한무제는 이릉이 얼마나 불리한 조건에서 싸웠는지는 고려하지 않고 그저 이릉이 졌고, 항복했다는 사실만으로 분기탱천해 있었다. 황제의 분노는 매서웠고, 아무도 감히 이릉을 변호하지 못했다. 차라리 죽었어야 한다, 항복을 했으니 역적이 분명하다, 이런 이야기들만 쏟아지고 있었다.

이 때 이릉을 변호하고 나선 한 사람의 인물이 바로 사마천이었다. 사마천은 이릉이 이처럼 말도 안되는 싸움에서 죽을 힘을 다하여 싸웠으니 오히려 그 용기를 칭찬해야 하며, 흉노에게 항복한 것은 아마도 다시 공을 세워 한으로 돌아오기 위해서일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일로 사마천은 역린을 건드린 셈이 되었다. 한무제의 매서운 분노는 곧 그에게 쏟아졌다. 무제는 그를 태사령 벼슬에서 파직되고 하옥한다. 그리고 사마천에게 역적을 변호한 죄로 사형이 선고된다.

사실 이는 무제의 노골적인 "이광리 밀어주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 정확하다. 이광리는 무제의 애첩의 오빠(...). 그는 무능한 군인은 아니었던 듯 하나, 당시는 이릉과 함께 출전했다 대패한 상태. 이 상태에서 이릉을 옹호하고, 그의 군공을 칭찬한 사마천의 행위는 이광리를 깎아내리는 것처럼 비춰졌던 것이다. 한편, 이릉의 패배의 직접적 원인이었던 지원군 철군은 한무제 본인의 결정이었다. 즉 이릉의 패배가 어쩔 수 없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황제에게 "너님이 잘못해서 멀쩡한 장수가 적한테 항복했음"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았다는 뜻.

고자되기 VS 사기 집필하기

어쩄거나 사형을 선고받은 그 앞에는 세 가지 길만이 남아있었다. 이대로 사형을 당하든가, 거액의 벌금을 내고 용서를 받든가, 궁형을 받아 고자가 되거나. 사마천은 아버지의 유언인 사기 완결을 위해 궁형을 선택했고 결국 고자가 되고 말았다...

사기를 완성하다

말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