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무왕: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n| )*\[\[ *분류 *: *\d\d\d년 사망 *\]\](\n| )* +\n))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
|-
|}
|}
무왕(武王)(580~641)(재위 기간 600~641)은 백제의 제 30대 왕이다. [[서동설화]]의 주인공이기도 하며<ref>허나 서동설화의 진위 여부에 대해선 논란이 있다.</ref> [[동성왕]] 이후 백제의 중흥기를 다시 이끌었다는 평가를 듣는다.
'''무왕'''(武王, 580년~641년, 재위 기간 600년~641년)은 [[백제]]의 제30대 왕이다. [[서동설화]]의 주인공이기도 하며<ref>다만 서동설화의 진위 여부에 대해선 논란이 있다.</ref> [[동성왕]] 이후 백제의 중흥기를 다시 이끌었다는 평가를 듣는다. 백제의 수도를 익산으로 옮기기를 시도했지만 이는 귀족들의 반대로 인해 무마되었다.
 
== 출신 성분 ==
== 출신 성분 ==
불분명하다. [[위덕왕]]의 아들 또는 서자, 손자일 거라는 설과 [[법왕]]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다. [[삼국유사]]의하면 과부가 마을의 용과 정을 통해 무왕을 낳았다고 전해지나 이런 류의 신화가 다 그렇듯 지도자의 신비로움을 강조하기 위해 만들어낸 설화이다.
불분명하다. [[위덕왕]]의 아들 또는 서자, 손자일 거라는 설과 [[법왕]]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과부가 마을의 [[용]]과 정을 통해 무왕을 낳았다고 전해지나 이런 류의 신화가 다 그렇듯 지도자의 신비로움을 강조하기 위해 만들어낸 설화이다.


== 업적 ==
== 업적 ==

2022년 9월 4일 (일) 00:08 기준 최신판

백제의 역대 국왕
29대 법왕 부여선 30대 무왕 부여장 31대 의자왕 부여의자

무왕(武王, 580년~641년, 재위 기간 600년~641년)은 백제의 제30대 왕이다. 서동설화의 주인공이기도 하며[1] 동성왕 이후 백제의 중흥기를 다시 이끌었다는 평가를 듣는다. 백제의 수도를 익산으로 옮기기를 시도했지만 이는 귀족들의 반대로 인해 무마되었다.

출신 성분[편집 | 원본 편집]

불분명하다. 위덕왕의 아들 또는 서자, 손자일 거라는 설과 법왕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과부가 마을의 과 정을 통해 무왕을 낳았다고 전해지나 이런 류의 신화가 다 그렇듯 지도자의 신비로움을 강조하기 위해 만들어낸 설화이다.

업적[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다만 서동설화의 진위 여부에 대해선 논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