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우스 엑스 마키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Luft(토론)의 편집을 Lordproducer의 마지막 버전으로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뜻|데우스 엑스 마키나(BMS)}}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ref>'God from machine' 이라는 뜻의 [[라틴어]]. ἀπὸ μηχανῆς θεός 라는 그리스어를 직역한 것이다.</ref>는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비롯된 용어로,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기계장치(로 연출된) 신" 혹은 "기계 장치를 통해 온 신"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는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쓰인 무대 기법의 하나로 기중기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갑자기 신이 공중에서 나타나 위급하고 복잡한 사건을 해결하는 수법을 말하는데에서 연유한다. 데우스(Deus)는 신을  마키나(Machina)는 기계장치를 뜻한다.
== 의미 ==
갑자기 절대적인 힘을 가진 존재가 개입해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는 상황을 마음대로 바꿔버리는 클리셰 혹은 그 역할을 하는 극중 장치


{{토막글}}
당시 그리스의 연극에선 이러한 클리셰가 많았다.
{{인용문2|
*이야기가 알아서 잘 흘러간다
*이야기가 잘 흘러가면서 갈등이 격화된다
*갑자기 뜬금없이 하늘에서 배우가 기계 장치를 타고 내려와선 "나는 올림푸스에서 내려온 신이다"라고 하더니 악인을 벌하고 모든 상황을 해결해버린다
*??????
*[[PROFIT]]!}}


Deus ex machina.<ref>'God from machine' 이라는 뜻의 [[라틴어]]. ἀπὸ μηχανῆς θεός 라는 그리스어를 직역한 것이다.</ref> 기계 장치의 신. {{ㅊ|[[투명드래곤]]}}
딱 봐도 [[이뭐병]]에 가까운 상황. 아리스토텔레스가 이 [[이뭐병]]스러운 클리셰를 까기위해 사용한 개념이 바로 데우스 엑스 마키나다.


== 개요 ==
우리나라에선 상당히 생소한 개념이었으나 [[진중권]]이 [[디 워]]를 비판하면서 이 단어를 사용해 유명해졌다.<ref>그러나 [[디 워]]의 선한 이무기는 '절대적인 능력'이 없고 뜬금없이 튀어나온 것도 아니어서 적절한 용례가 아니라는 비판도 많다</ref>


갑자기 치트 캐릭터가 등장하거나, 개연성이 없는 갑작스러운 사건이 발생해 이야기의 흐름을 바꿔버리는 것을 일컫는다.
== 데우스 엑스 마키나에 해당하는 것 ==
일단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한다.
*데우스 엑스 마키나에 해당하는 장치는 그 누구도 대적할 수 없는 절대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데우스 엑스 마키나에 해당하는 장치는 갑자기 뜬금없이 그리고 툭 튀어나와야 한다. 앞에서 단 한번도 이 장치가 나올 것이라는 예고나 복선이 없고 언급도 없어야한다.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갑툭튀하더니 아무도 해결하지 못하던 문제가 해결된다.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등장해서 문제가 해결되더니 이야기가 갑자기 끝나버린다.


이 말이 만들어질 당시인 고대 그리스에서는, 연극에서 무대장치를 탄 배우가 내려와서 "나는 올림푸스에서 온 신이다." 라고 말하더니 나쁜 놈들을 모두 벌 주고 하늘로 돌아가버리는 전개가 흔히 있었다. 이 전개에 <del>현대 한국 드라마의 시청자들이 느끼는 바와 같이</del> 화가 난 [[아리스토텔레스]]가 이런 [[클리셰]]를 비판한 것이 기원이다.
그러니까 군대의 행보관은 '해당하지 않음'이다. <s>아마 [[말년 병장]]들은 이해 못하겠지만</s>


== 예시 ==
== 예시 ==
* '''수많은 지나가던 누군가'''
* '''수도 없이 많은 옛날 이야기에 나오는 신들'''
* '''[[아시발꿈]]'''
* '''끝도 없이 많은 이야기에서 튀어나오는 기적'''
*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메데이아]]> 의 결말부에서 복수를 마친 주인공 메데이아가 신이 보낸 용이 끄는 수레 <s>모양을 한 기중기</s> 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와 [[이아손]]을 비난하며 떠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이를 뜬금없는 구성이라며 깠다.
*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메데이아]]> 의 결말부에서 복수를 마친 주인공 메데이아가 신이 보낸 용이 끄는 수레 <s>모양을 한 기중기</s> 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와 [[이아손]]을 비난하며 떠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이를 뜬금없는 구성이라며 깠다.
* [[최종병기 활]] - 호랑이
{{주석}}
[[분류:그리스의 연극]]
[[분류:클리셰]]

2022년 3월 23일 (수) 11:42 기준 최신판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1]는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비롯된 용어로,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기계장치(로 연출된) 신" 혹은 "기계 장치를 통해 온 신"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는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쓰인 무대 기법의 하나로 기중기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갑자기 신이 공중에서 나타나 위급하고 복잡한 사건을 해결하는 수법을 말하는데에서 연유한다. 데우스(Deus)는 신을 마키나(Machina)는 기계장치를 뜻한다.

의미[편집 | 원본 편집]

갑자기 절대적인 힘을 가진 존재가 개입해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는 상황을 마음대로 바꿔버리는 클리셰 혹은 그 역할을 하는 극중 장치

당시 그리스의 연극에선 이러한 클리셰가 많았다.

  • 이야기가 알아서 잘 흘러간다
  • 이야기가 잘 흘러가면서 갈등이 격화된다
  • 갑자기 뜬금없이 하늘에서 배우가 기계 장치를 타고 내려와선 "나는 올림푸스에서 내려온 신이다"라고 하더니 악인을 벌하고 모든 상황을 해결해버린다
  • ??????
  • PROFIT!

딱 봐도 이뭐병에 가까운 상황. 아리스토텔레스가 이 이뭐병스러운 클리셰를 까기위해 사용한 개념이 바로 데우스 엑스 마키나다.

우리나라에선 상당히 생소한 개념이었으나 진중권디 워를 비판하면서 이 단어를 사용해 유명해졌다.[2]

데우스 엑스 마키나에 해당하는 것[편집 | 원본 편집]

일단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한다.

  • 데우스 엑스 마키나에 해당하는 장치는 그 누구도 대적할 수 없는 절대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데우스 엑스 마키나에 해당하는 장치는 갑자기 뜬금없이 그리고 툭 튀어나와야 한다. 앞에서 단 한번도 이 장치가 나올 것이라는 예고나 복선이 없고 언급도 없어야한다.
  •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갑툭튀하더니 아무도 해결하지 못하던 문제가 해결된다.
  •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등장해서 문제가 해결되더니 이야기가 갑자기 끝나버린다.

그러니까 군대의 행보관은 '해당하지 않음'이다. 아마 말년 병장들은 이해 못하겠지만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수많은 지나가던 누군가
  • 수도 없이 많은 옛날 이야기에 나오는 신들
  • 아시발꿈
  • 끝도 없이 많은 이야기에서 튀어나오는 기적
  •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메데이아> 의 결말부에서 복수를 마친 주인공 메데이아가 신이 보낸 용이 끄는 수레 모양을 한 기중기 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와 이아손을 비난하며 떠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이를 뜬금없는 구성이라며 깠다.
  • 최종병기 활 - 호랑이

각주

  1. 'God from machine' 이라는 뜻의 라틴어. ἀπὸ μηχανῆς θεός 라는 그리스어를 직역한 것이다.
  2. 그러나 디 워의 선한 이무기는 '절대적인 능력'이 없고 뜬금없이 튀어나온 것도 아니어서 적절한 용례가 아니라는 비판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