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독/일본어: 두 판 사이의 차이

< 난독
41번째 줄: 41번째 줄:
== 동식물에 관련된 난독 어휘 ==
== 동식물에 관련된 난독 어휘 ==
현재 카타가나로'만' 표기하는 외래종의 한자명칭은 제외하였다.
현재 카타가나로'만' 표기하는 외래종의 한자명칭은 제외하였다.
* 海豚 (이루카) : =[[돌고래]]. 원래는 "이루카"라는 발음만 있었으나, 중국에서의 표기법을 받아들여서 저렇게 되었다. 江豚, 海猪라는 표기법도 있다.
* 海老 (에비) : =[[새우]]. '바다의 늙은이'이라는 뜻인데, 새우 특유의 등이 굽어있는 모습 + 긴 수염의 이미지 콜라보로 만들어진 것이다.
* 海老 (에비) : =[[새우]]. '바다의 늙은이'이라는 뜻인데, 새우 특유의 등이 굽어있는 모습 + 긴 수염의 이미지 콜라보로 만들어진 것이다.
* 蝸牛 (카타츠무리) : =[[달팽이]]. 한국식 한자로는 '와우'라 읽는다. <s>[[WOW|와우?]]</s>
* 蝸牛 (카타츠무리) : =[[달팽이]]. 한국식 한자로는 '와우'라 읽는다. <s>[[WOW|와우?]]</s>

2017년 7월 16일 (일) 02:19 판

일본어는 기본적으로 표음문자인 가나와 표의문자인 한자를 병용하여 사용하는 괴랄맞은 언어이다. 가나는 정형화 된 5개 모음과 13개 자음의 조합 (및 일부 이중모음과 2개의 폐음절) 만으로 이루어져 있고, 딱 3가지를 제외[1]하면 난독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외국어 학습자에게 있어서는 익숙해지기만 하면 그야말로 꿀같은 문자이다. 그래봤자 한글보다 어렵다.

그러나 그런 특성이 되려 수많은 동음이의어를 낳아버리는 부작용을 만들었고, 때문에 한자를 반드시 써야만 작문 및 독해가 가능한[2] 올가미를 만들고 말았다. 그나마 현대에 만들어지는 신조어 등은 가타가나로 표기하고 있으니 됐지만, 문제는 옛부터 전해내려오는 표기(역사적 가나 표기법을 포함하여)는 뾰족한 대책을 내놓기도, 내놓지 못하기도 하는 아이러니에 빠졌다는 것이다.

본 문서는 난독에 해당하는 어휘를 기본적으로 테마별로, 그 이하로는 고쥬온즈(五十音図)순으로 나열하였다. 단, 光(ライト, 라이토)처럼 외국어로 지어낸 난독이라던가 누가봐도 완벽한 DQN 네임 같은 경우, 그리고 단지 난이도가 높기만 한 어휘(掌, 타나고코로/테노히라[3]) 등은 제외한다.

읽기에 따라 뜻 자체가 달라지는 어휘

  • 八幡 (야와타/하치만) : 야와타는 교토 부 남쪽의 요도강 합류지역에 자리한 지역명(야와타 시)이고, 하치만은 신토(神道)에 존재하는 종파 중 하나(하치만구)이면서 과거 일본에서 쓰이던 인명이기도 하다.
  • 日向 (히나타/무코/휴가) : 기본적으로 히나타(※양지라는 뜻)라고 읽는 어휘이다. 그런데 교토 부 서남부에는 무코 시가 있고, 미야자키 현 동북부에는 휴가 시가 있다. 모두 똑같이 저 한자를 쓴다.

지명/역명에 관련된 난독 어휘

홋카이도

간토 (토호쿠, 호쿠리쿠, 도카이도)

간사이 (추부, 킨키, 츄고쿠, 시코쿠)

  • 我孫子 (아비코) : 인명이기도 하고 지명이기도 하다. 앞과 뒤의 글자는 상관없으나, 孫을 왜 '비'라고 읽는지가 혼란되는 부분.
  • 私市 (키사이치) : 와타시이치, 나는 시장이다 오사카 부 카타노 시에 자리한 지역. 이곳 이름을 따온 키사이치역케이한 전철 카타노선의 종착역이기도 하다.
  • 太秦 (우즈마사) : 교토 시 서북부에 자리한 지역명. 秦(마사)도 그렇지만, 太(우즈) 부분이 특히나 읽기 예시로 잘 나오지 않는 난독이다. 또한 渦巻(우즈마키)의 '우즈'와도 하등의 관계가 없다.
  • 柴島 (쿠니지마) : 한큐 센리선 쿠니지마 역.
  • 十三 (쥬소) : 오사카 요도가와 구 쥬소. (더불어 한큐 고베선, 다카라즈카선, 교토선이 모두 만나는 환승역) 기본적으로 숫자로서는 '쥬산'이라 읽는다. 그런데 인명 중에서 十三을 '쥬조(じゅうぞう)'라고 읽는 방식도 있어서 혼란에 부채질을 더하고 있다(...)
  • 難波 (난바, 나니와) : 오사카 시 미나미 지역의 중심지. 과거 저 글자는 나니와라고 읽었으나, 지금은 浪速로 표기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변했다. 때문에 難波는 정상이 되고, 浪速쪽은 난독을 이어받는 꼴이 되었다.

큐슈/류큐

인명에 관련된 난독 어휘

  • 伊右衛門 (이에몽) : 伊(이)+右衛門(우에몽)이다. 그런데 중간에 발음하기 어려운 う가 탈락되어 그냥 '이에몽'이라 읽는다. 난독 어휘 중에서는 초급에 속한다. 참고로 21세기인 지금은 인명으로는 잘 안쓰고[4] 녹차 이름으로 더 알려진 편(...)
  • 五十嵐 (이가라시) : '五十(이소)'라고 읽는 것도 마이너하지만, 어째선지 '五十(이소) + 嵐(아라시) = 五十嵐 (이가라시)'(...)라는 방법으로 이루어진 성씨. '소'가 탈락된 것까진 이해하겠는데 왜 '아'가 '가'로 바뀌는지는 알 수 없다.
  • 五十六 (이소로쿠) : '五十(이소)' 부분이 마이너하지만 일본 제국의 해군 장관인 야마모토 이소로쿠가 밀알못 혹은 역알못이라도 들어본 적이 있을 정도의 제법 유명인인지라 읽는 방식은 꽤 알려진 편이다.
  • 小鳥遊 (타카나시) : 홋카이도 지역의 성씨로, 매가 없어서(鷹無, =타카나시) 작은 새(小鳥)들이 자유롭게 뛰논다(遊)고 하여 붙여진 것인데, 본래 난독 1위급에 해당하던 성씨였으나 서브컬쳐계에서는 워킹!!, 아빠 말 좀 들어라! 등으로 인해 알려진 성씨이다. 하지만 사실 그 전부터 유래가 기묘한데다 희귀 성씨인지라 TV 프로그램으로 자주 다뤄져와서 알려지기는 가장 잘 알려져 있기도 했다.
  • 九十九 (츠쿠모) : 츠쿠모가미에서 유래된 성씨이다. 이 항목에서는 꽤 간단하게 서술되어 있지만, 99라고 쓰는 이유에 대해선 사실 여러가지 설이 있다. 은근 역사가 있는 표기법이지만 그래도 상당히 괴랄한 표기법인 건 사실이다.
  • 一 (니노마에) : 진짜로 존재하는 괴상한 성씨로, 숫자 2 앞에 1이 있다고 해서 붙인 것이다(...) 이쯤되면 난독보다는 DQN네임 급.
  • 服部 (핫토리) : "하라베"라고도 읽을 수 있으나, 어찌된 영문인지 핫토리라고 읽히는 성씨. "핫토리 한조"나 명탐정 코난의 "핫토리 헤이지" 등을 통해 알려진 성씨이다.
  • 八月朔日 (호즈미) : 벼(穂)를 수확하여 쌓아올리는(積)때가 음력 8월 초하루라 하여 붙여진 것. 후술할 와타누키와 명명법이 비슷하다. 참고로 '월일'을 뺀 '八朔'는 핫사쿠라고 읽는다(...)
  • 月見里 (야마나시) : 달을 가릴만한 산이 없다고(山なし) 하여 달 보기 좋은 동네라는 한문을 붙여준 것. 하필이면 도도부현 중 야마나시 현(山梨県)이 있어서 더더욱 헷갈리는 난독어휘.
  • 四月一日 (와타누키) : 봄이 오는 4월 초하루에 날씨가 따뜻하니 옷 속의 솜을 뺀다고 해서 붙여준 것이다. 서브컬쳐에서는 XXX홀릭을 통해 알려진 성씨다.

문화에 관련된 난독 어휘

  • 옛날식 달력(和風月名, 일본 음력)의 1월(정월) ~ 12월(섣달)을 나타내는 어휘 중,
    如月(키사라기, 2월)、弥生(야요이, 3월)、師走(시와스, 12월)
  • 案山子 (카카시) : 허수아비.

동식물에 관련된 난독 어휘

현재 카타가나로'만' 표기하는 외래종의 한자명칭은 제외하였다.

  • 海豚 (이루카) : =돌고래. 원래는 "이루카"라는 발음만 있었으나, 중국에서의 표기법을 받아들여서 저렇게 되었다. 江豚, 海猪라는 표기법도 있다.
  • 海老 (에비) : =새우. '바다의 늙은이'이라는 뜻인데, 새우 특유의 등이 굽어있는 모습 + 긴 수염의 이미지 콜라보로 만들어진 것이다.
  • 蝸牛 (카타츠무리) : =달팽이. 한국식 한자로는 '와우'라 읽는다. 와우?
  • 蒲公英 (탄포포) : =민들레. 한국식 한자로는 '포공영'이라 읽는데, 한약재로 쓰인다.
  • 海苔 (노리) : =김 (식품).
  • 薔薇 (바라) : =장미. 문자 그대로 '쇼비'라고도 읽을 수 있지만 99%는 바라라고 읽는다. 학습되지 않은게 난독 한국에서도 장미는 한자로 저렇게 쓴다. 대륙에서 바로 수입된 단어이기 때문.
  • 百舌鳥 (모즈) : =지빠귀. 지역명이기도 하다. 지빠귀는 다른 새 흉내를 잘 낸다고 하여 백가지 혀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를 붙인 것이다.
  • 百合 (유리) : =백합 (꽃). 여기서 '유'는 단음이다. 대륙에서 그대로 수입한 단어이다.

각주

  1. は와 へ를 조사로 쓸 때 わ와 え로 읽는 것, 장음시 う↔お의 변화
  2. 메이지 유신 이후 유학파 신학(新學)자들이 일본어 속 한자가 일본의 발전에 반드시 장애물이 될 것이라며 오오 선견지명 오오 가나만으로 표기하거나 아예 로마자로만 표기하려는 시도를 했으나, 모두 실패하고 한자 갯수만 줄이는 것(신체자, 일명 '상용 한자'의 제정)으로 결말을 냈다. 문제는 그 상용 한자만으로도 표기하는데 부족해서 늘렸다는 거지만.
  3. 양쪽 모두 정식으로 한자읽기 사전에 등재된 훈독법이다(...)
  4. '衛門(에몽)'이라는 어휘가 뭔가 에도 시대의 무장같다는 인상이 있다. 덧, 도라에몽의 '에몽'도 저 이름에서 가져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