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남성과의 관계에 있어 '비합리적'이거나 '개념 없는' 행태를 보이는 여성<ref name="hwang14" />{{rp|376}}
* 남성과의 관계에 있어 '비합리적'이거나 '개념 없는' 행태를 보이는 여성<ref name="hwang14" />{{rp|376}}
* 성적으로 문란하면서 소비사치를 일삼고 남성의 경제력에 기생하려는 속성을 모두 갖춘 한국여성<ref name="um16" />{{rp|207}}
* 성적으로 문란하면서 소비사치를 일삼고 남성의 경제력에 기생하려는 속성을 모두 갖춘 한국여성<ref name="um16" />{{rp|207}}
연구자들은 온라인 게임에서 소속 국가를 나타내기 위해 음식을 사용하는데서 유래했거나,<ref>{{저널 인용|저자=김수아|연도=2015|월=10|제목=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저널=페미니즘 연구|권=15|호=2|쪽=279-317}}</ref>{{rp|297}} 한국을 나타내는 용어로 [[김치]]를 선택하여 한국 여성의 특징을 구분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용어에 '김치'가 삽입되었다고 분석한다.<ref name="um16" />
연구자들은 온라인 게임에서 소속 국가를 나타내기 위해 음식을 사용하는데서 유래했거나,<ref name="um16" />{{rp|204}} 한국을 나타내는 용어로 [[김치]]를 선택하여 한국 여성의 특징을 구분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용어에 '김치'가 삽입되었다고 분석한다.<ref>{{저널 인용|저자=김수아|연도=2015|월=10|제목=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저널=페미니즘 연구|권=15|호=2|쪽=279-317}}</ref>{{rp|297}}


== 용례 ==
== 용례 ==
=== 경제적 측면에 대한 비난 ===
<!-- 전반부 추가예정 -->
개그 프로그램에서 김치녀 코드가 등장하기도 한다.<ref>{{뉴스 인용|저자=하재근|제목=채널 어디를 돌려도 여성은 ‘민폐 김치녀’|url=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153682|뉴스=시사저널|날짜=|확인날짜=2016-11-22}}</ref> 2015년 1월 11일 방송된 [[개그콘서트]]의 '사둥이는 아빠 딸' 코너에서 한 연기자는 "꼭 김치 먹는 데 성공해서 ‘김치녀’가 되겠다"며 "오빠 나 명품 백 사줘. 신상으로"라고 말했다.<ref>{{뉴스 인용|저자=정유경|제목=개그콘서트는 일베콘서트?…‘김치녀’ ‘부엉이’ 등 부적절한 표현 논란|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73162.html#csidx895afaf91f1edc9b1a5135ef3358306|뉴스=한겨레|날짜=2015-01-12|확인날짜=2016-11-22}}</ref> [[웃음을 찾는 사람들]]의 '남자끼리' 코너는 여자친구에게 곤란해하는 남자를 주위 남자들이 힘을 합쳐 위기를 모면하게 하는 것이 주된 내용인데, 이때 여자는 [[된장녀]] 또는 김치녀 캐릭터로 그려진다.<ref>{{뉴스 인용|저자=이정연|제목=‘웃찾사-남자끼리’ 여성 혐오 논란|url=http://sports.donga.com/3/all/20151026/74419419/3|뉴스=스포츠동아|날짜=2015-10-27|확인날짜=2015-11-22}}</ref>
=== 김치녀가 아닌 여성 ===
=== 김치녀가 아닌 여성 ===
김치녀가 한국 여성을 전반적으로 비하하는 말임은 연구자들에게 지적되어 왔지만, 일부 '김치녀' 사용자들은 자신이 비난하는 건 한국 여성의 일부일 뿐이라고 말한다.<ref name="kim2015">{{저널 인용|저자=김수아·김세은|제목='좋아요'가 만드는 '싫어요'의 세계|연도=2016|월=6|저널=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권=31|호=2|쪽=5-44}}</ref>{{rp|24}} 이들이 말하는 대표적인 예시는 '개념녀'로, 여성은 '김치녀'와 '개념녀'라는 이분법으로 구분되며, 이는 여성을 성녀와 창녀로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성녀-창녀 콤플렉스]]가 한국적으로 변용된 것이다.<ref name="kim2015" />{{rp|24-25}} 개념녀와 같이 김치녀와 반대되어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용어는 김치녀의 '나쁜' 특징을 버린 탈김치녀나, 일본 여성을 가리키는 스시녀 등이 있다.<ref name="um16" />{{rp|212}}<ref>{{저널 인용|저자=윤보라|제목=일베와 여성 혐오|저널=진보평론|연도=2013|월=9|호=57|쪽=33-56}}</ref>{{rp|52}} 스시녀가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그들의 성격이 온순, 순종적이고 남성에게 경제적 부담을 끼치지 않는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ref name="um16" />{{rp|212-213}}
김치녀가 한국 여성을 전반적으로 비하하는 말임은 연구자들에게 지적되어 왔지만, 일부 '김치녀' 사용자들은 자신이 비난하는 건 한국 여성의 일부일 뿐이라고 말한다.<ref name="kim2015">{{저널 인용|저자=김수아·김세은|제목='좋아요'가 만드는 '싫어요'의 세계|연도=2016|월=6|저널=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권=31|호=2|쪽=5-44}}</ref>{{rp|24}} 이들이 말하는 대표적인 예시는 '개념녀'로, 여성은 '김치녀'와 '개념녀'라는 이분법으로 구분되며, 이는 여성을 성녀와 창녀로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성녀-창녀 콤플렉스]]가 한국적으로 변용된 것이다.<ref name="kim2015" />{{rp|24-25}} 개념녀와 같이 김치녀와 반대되어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용어는 김치녀의 '나쁜' 특징을 버린 탈김치녀나, 일본 여성을 가리키는 스시녀 등이 있다.<ref name="um16" />{{rp|212}}<ref>{{저널 인용|저자=윤보라|제목=일베와 여성 혐오|저널=진보평론|연도=2013|월=9|호=57|쪽=33-56}}</ref>{{rp|52}} 스시녀가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그들의 성격이 온순, 순종적이고 남성에게 경제적 부담을 끼치지 않는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ref name="um16" />{{rp|212-213}}

2016년 11월 22일 (화) 15:20 판

틀:차별비하

개요

김치녀는 2011년 이후 유행하기 시작한 용어로, 한국 여성을 비하하는 말이며,[1][2] 커뮤니티 사이트 일베저장소에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3]:63[4] 연구자들은 김치녀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남성과의 관계에 있어 '비합리적'이거나 '개념 없는' 행태를 보이는 여성[1]:376
  • 성적으로 문란하면서 소비사치를 일삼고 남성의 경제력에 기생하려는 속성을 모두 갖춘 한국여성[2]:207

연구자들은 온라인 게임에서 소속 국가를 나타내기 위해 음식을 사용하는데서 유래했거나,[2]:204 한국을 나타내는 용어로 김치를 선택하여 한국 여성의 특징을 구분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용어에 '김치'가 삽입되었다고 분석한다.[5]:297

용례

경제적 측면에 대한 비난

개그 프로그램에서 김치녀 코드가 등장하기도 한다.[6] 2015년 1월 11일 방송된 개그콘서트의 '사둥이는 아빠 딸' 코너에서 한 연기자는 "꼭 김치 먹는 데 성공해서 ‘김치녀’가 되겠다"며 "오빠 나 명품 백 사줘. 신상으로"라고 말했다.[7] 웃음을 찾는 사람들의 '남자끼리' 코너는 여자친구에게 곤란해하는 남자를 주위 남자들이 힘을 합쳐 위기를 모면하게 하는 것이 주된 내용인데, 이때 여자는 된장녀 또는 김치녀 캐릭터로 그려진다.[8]

김치녀가 아닌 여성

김치녀가 한국 여성을 전반적으로 비하하는 말임은 연구자들에게 지적되어 왔지만, 일부 '김치녀' 사용자들은 자신이 비난하는 건 한국 여성의 일부일 뿐이라고 말한다.[9]:24 이들이 말하는 대표적인 예시는 '개념녀'로, 여성은 '김치녀'와 '개념녀'라는 이분법으로 구분되며, 이는 여성을 성녀와 창녀로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성녀-창녀 콤플렉스가 한국적으로 변용된 것이다.[9]:24-25 개념녀와 같이 김치녀와 반대되어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용어는 김치녀의 '나쁜' 특징을 버린 탈김치녀나, 일본 여성을 가리키는 스시녀 등이 있다.[2]:212[10]:52 스시녀가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그들의 성격이 온순, 순종적이고 남성에게 경제적 부담을 끼치지 않는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2]:212-213

전에 뉴스에서 보니까 ‘김치녀’라는 게 ‘스시녀’의 반대말로 나온 거더라고요? 근데 진짜 일본여자들은 남자한테 순종적이라고 들은 것 같아요. 완전 한국여자랑 다른 거죠. 한국여자들은 데이트 비용은 무조건 남자들이 다 지불해야 하고, 무조건 남자들이 다 해 줘야 되고 해준다고 고마운 것도 모르고, 자기가 혼자 할 줄 아는 것도 일단 남자한테 시키고 보잖아요.[1]:378

그러나 실제로는 바람직한 여성상으로 일본 여성이 선택된 것이 아니라, 순종적 여성성만 강조되면서 다양한 관계 및 소비 행위들에 내재한 특수성과 차이들이 배제된 것이며,[1]:378 여성혐오가 만들어 낸 인종적 판타지로 간주되기도 한다.[11]:45

인식

한국일보가 2015년 6월 24일부터 30일까지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317명 중 92.7%가 '김치녀'를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12]

잡코리아알바몬이 2015년 12월 21일 발표한, 성인 140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14.2%가 듣기 불편한 신조어로 '김치녀'를 꼽았다.[13]

2015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13세 이상 35세 미만 남성 1200명,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3.7%가 '김치녀'를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반의어인 '개념녀'는 89.9%가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14]:97 또한, 전체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여성의 22.81%가 김치녀에 해당되고 23.58%가 개념녀에 해당될 것이라고 추정한 반면, 여성 응답자들은 여성의 22.81%가 김치녀에 해당되고 41.02%가 개념녀에 해당할 것이라고 추정하였다.[14]:98 남성 응답자가 김치녀에 주로 느끼는 감정은 주로 혐오(37.5%), 경멸(26.8%), 분노(15.7%), 연민(10.8%) 순으로 높았지만 여성 응답자가 김치녀에 주로 느끼는 감정은 경멸(27.7%), 혐오(21.0%), 연민(21.0%), 분노(15.3%) 순으로 높았다.[14]:124

같이 보기

외부 링크

각주

  1. 1.0 1.1 1.2 1.3 황슬하·강진숙 (2014년 7월). 온라인 여성혐오 담론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28 (4): 356-388.
  2. 2.0 2.1 2.2 2.3 2.4 엄진 (2016년 6월). 전략적 여성 혐오와 그 모순. 《미디어, 젠더 & 문화》 31 (2): 193-236.
  3. 양정혜 (2015년 6월). 일간베스트 저장소 (일베) 이용자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태도. 《한국사회과학연구》 34 (1): 53-82.
  4. 이슬기. “[단독] 김치녀·삼일한…‘일베’ 용어가 일상 속으로”, 《서울신문》, 2015년 7월 15일 작성. 2016년 11월 22일 확인.
  5. 김수아 (2015년 10월).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페미니즘 연구》 15 (2): 279-317.
  6. 하재근. “채널 어디를 돌려도 여성은 ‘민폐 김치녀’”, 《시사저널》. 2016년 11월 22일 확인.
  7. 정유경. “개그콘서트는 일베콘서트?…‘김치녀’ ‘부엉이’ 등 부적절한 표현 논란”, 《한겨레》, 2015년 1월 12일 작성. 2016년 11월 22일 확인.
  8. 이정연. “‘웃찾사-남자끼리’ 여성 혐오 논란”, 《스포츠동아》, 2015년 10월 27일 작성. 2015년 11월 22일 확인.
  9. 9.0 9.1 김수아·김세은 (2016년 6월). '좋아요'가 만드는 '싫어요'의 세계.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1 (2): 5-44.
  10. 윤보라 (2013년 9월). 일베와 여성 혐오. 《진보평론》 (57): 33-56.
  11. 한희정 (2016년 2월). 이주여성에 관한 혐오 감정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75): 43-79.
  12. 조소희. “Q. 왜 2030 남성은 여성을 혐오하게 되었나?”, 《부산일보》, 2015년 7월 3일 작성. 2016년 11월 19일 확인.
  13. 이세아. “불쾌한 신조어 1위 ‘OO충’...3위 ‘김치녀’”, 《여성신문》, 2015년 12월 23일 작성. 2016년 11월 17일 확인.
  14. 14.0 14.1 14.2 안상수·김인순·이정현·윤보라 (2015). 《남성의 삶에 관한 기초연구(Ⅱ): 청년층 남성의 성평등 가치 갈등 요인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