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호명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젠더 호명(gender interpellation)젠더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 호명을 뜻한다.

대한민국의 젠더 호명 변천[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에서는 192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대한민국 내 젠더 호명의 변천을 다룬다. 일제 강점기 및 미군정기에는 대한민국이 존재하지 않았지만 편의상 합친다.

여성 호명[편집 | 원본 편집]

1920년대[편집 | 원본 편집]

  • 신여성
  • 모던 걸: 1927년경부터 유행한 용어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중반까지의 여학생이나 신규 여성 직업군이 모던 걸로 불렸다. 예시로 '가솔린 걸', '버스 걸', '엘리베이터 걸', '카페 걸' 등이 있다.[1]
  • 직업여성: 직업여성이라는 말이 처음 등장한 때는 1920년대 후반이다. 직업여성은 유흥업에 종사하는 여성을 뜻하기도 하지만, 일제 강점기에는 말 그대로 직업을 가진 여성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2] 박정희 정권은 농촌의 젊은 미혼 여성을 산업노동력으로 활용하려고 했다. 1960년 28.0%이던 여성 노동 참여율은 1975년 46.7%로 증가했다.[3] '직업남성'이라는 지칭은 드물다.

1940년대[편집 | 원본 편집]

  • 양갈보
  • 양공주

1950년대[편집 | 원본 편집]

  • 자유부인
  • 유엔사모
  • 아프레 걸
  • 전후파 여성
  • 전쟁미망인

196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70년대[편집 | 원본 편집]

  • 공순이: 여성 공장 노동자를 지칭하며, 남성 공장 노동자를 가리키는 비칭인 공돌이와 대응된다.[4] 한편 남성 노동자에게 '산업역군'이라는 별칭이 붙었지만,[1] 여성 노동자에게는 긍정적인 별칭을 찾기 어렵다. 1970년대 희곡에서는 남성중심적인 민중담론의 영향으로, 공순이가 연민의 대상으로 다루어졌으나 민중의 주체세력으로 함께 하는 것은 부인되었다.[5]
  • 호스티스: '호스테스'로도 불리지만 맞춤법에 어긋난다. 표준국어대사전은 '호스티스'를 "카페나 바 따위의 술집에서 술 시중을 드는 여자."로 정의하지만, 1959년에 관광안내인이 '미스 호스테스'로 선정되었다는 기사가 존재하며,[6] 1961년에는 존 F. 케네디의 부인 재클린을,[7] 1964년에는 인디라 간디를,[8] 1966년에는 육영수를 호스티스로 지칭한 기사를 발견할 수 있다.[9] 따라서 호스티스를 꼭 술집 여자로만 지칭해온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 복부인: 부동산 투기에 빠진 중산층 주부를 일컫는다.[1] 1978년 동아일보에서 "복덕방에는 단골고객인 치맛바람, 즉 복부인들이 있다. 투기를 위해 복덕방을 무상출입하는 상류층부인들을 가리키는 신조어라고 한다."라 하면서 이 용어를 한국 신문 최초로 소개했다.[10]
  • 새마을 부녀

2000년대 이후[편집 | 원본 편집]

  • 월드컵녀
  • 몸짱 아줌마 : 2003년 딴지일보
  • 누드
  • 개똥녀: 2005년에 등장한 신조어로, 6월 5일 서울 지하철 2호선에서 한 20대 여성이 지하철 내에서 애완견의 배설물을 치우지 않고 내린 것을 한 네티즌이 인터넷 게시판에 올린 것이 전파되면서 유래했다.[11] 워싱턴 포스트에서도 '개똥녀'를 'Dog poop girl'이라고 언급하면서 '규범을 위반한 사람들을 찾아내 디지털 주홍글씨로 낙인찍는다(tracking down norm violators and branding them with digital scarlet letters)'라고 비판하였다.[12][13] "ㅇㅇ녀"의 시발점으로 간주되고 있다.[1][14]
  • 된장녀:
  • 강사녀: 2006년 학원 강사로 일하던 여성이 해외 유학 시절에 포르노 영화에 출연한 여성이 불구속 입건되었는데, 11월 30일 이 사건이 기사화되어 욕설은 물론이고 그가 출연한 동영상과 개인정보가 무차별적으로 배포되었다.[15][16]
  • 엘프녀:
  • 군삼녀: 2007년 한 20대 여성이 아침 방송 인터뷰 설문조사에서 "2년은 너무 짧고요, 3년이면 좋을 것 같아요. 나라 지키려고 군대 가는 건데 18개월 해서 뭘 배우겠어요"라고 발언하였다. 이 일이 전파되면서 당사자는 온갖 비난을 받았으며, 개인정보 또한 유출되었다.[1][17]
  • 신상녀:
  • 알파맘:
  • 루저녀: 2009년
  • 명품녀:
  • 패륜녀:
  • 지하철 반말녀:
  • 김치녀:
  • 맘충:

미분류[편집 | 원본 편집]

  • 훈녀
  • 꽃미녀
  • 완소녀
  • 차도녀/까도녀

남성 호명[편집 | 원본 편집]

미분류[편집 | 원본 편집]

  • 김치남
  • 한남충
  • 군바리
  • 씹치남
  • 꽃미남
  • 김치맨
  • 공돌이
  • 메트로섹슈얼
  • 위버섹슈얼
  • 완소남: 완전히 소중한 남자
  • 훈남: 잘생기고 정이 많은 남자
  • 걸조: 걸어다니는 조각
  • 짐승돌: 짐승아이돌의 합성
  • 차도남, 까도남: 차가운 도시 남자, 까칠한 도시 남자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1.0 1.1 1.2 1.3 1.4 주창윤 (2011년 5월). 젠더 호명과 경계 짓기.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299-314.
  2. 최규진 (2011년 6월). 직업여성, 또는 ‘걸’ 그룹. 《내일을 여는 역사》 (43): 278-317.
  3. 김미숙 (2006년 4월). 한국 여성노동력의 성격변화와 노동정책: 1960-2000. 《한국인구학》 29 (1): 133-156.
  4. 「工順이」는 과연 타락했는가”, 1974년 2월 11일 작성. 2015년 12월 17일 확인.
  5. 김옥란 (2003년 4월). 1970년대 희곡에 나타난 민중담론과 여성성. 《한국극예술연구》 17: 267-294.
  6. 10秒內에國籍分別 七個國語하는觀光案內孃”, 1959년 9월 4일 작성. 2015년 12월 18일 확인.
  7. 白堊館에들어간 巴里의名料理師”, 1961년 5월 25일 작성. 2015년 12월 23일 확인.
  8. 話題의女性 印度의 女性運動과 인디라·간디女史”, 1964년 6월 22일 작성. 2015년 12월 18일 확인.
  9. 즐거움·괴로움大統領과함께”, 1966년 12월 19일 작성. 2015년 12월 18일 확인.
  10. 횡설수설”, 1978년 2월 2일 작성. 2015년 12월 15일 확인.
  11. 네티즌, 개똥녀 ‘나 몰라’ 집중성토”, 2005년 6월 6일 작성. 2015년 12월 13일 확인.
  12. Krim, Jonathan, “Subway Fracas Escalates Into Test Of the Internet's Power to Shame”, 2005년 7월 7일 작성. 2015년 12월 15일 확인.
  13. 손영동. “윤일병 가해자 '신상털기' 공분(公憤)인가, 공격인가”, 2014년 8월 13일 작성. 2015년 12월 15일 확인.
  14. 황슬하 · 강진숙 (2014년 7월). 온라인 여성호명 담론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28 (4): 356-388.
  15. 포르노 출연 '강사녀' 무자비한 사이버테러”, 2006년 12월 2일 작성. 2015년 12월 17일 확인.
  16. 권호. “이번엔 '강사녀' … 또 사이버 테러”, 2006년 12월 2일 작성. 2015년 12월 17일 확인.
  17. 개똥녀ㆍ된장녀 이어 '군삼녀' 떴다”, 2007년 3월 15일 작성. 2015년 12월 17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