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인식)
13번째 줄: 13번째 줄:
그러나 실제로는 바람직한 여성상으로 일본 여성이 선택된 것이 아니라, 순종적 여성성만 강조되면서 다양한 관계 및 소비 행위들에 내재한 특수성과 차이들이 배제된 것이며,<ref name="hwang14" />{{rp|378}} [[여성혐오]]가 만들어 낸 인종적 판타지로 간주되기도 한다.<ref>{{저널 인용|저자=한희정|제목=이주여성에 관한 혐오 감정 연구|연도=2016|월=2|저널=한국언론정보학보|호=75|쪽=43-79}}</ref>{{rp|45}}
그러나 실제로는 바람직한 여성상으로 일본 여성이 선택된 것이 아니라, 순종적 여성성만 강조되면서 다양한 관계 및 소비 행위들에 내재한 특수성과 차이들이 배제된 것이며,<ref name="hwang14" />{{rp|378}} [[여성혐오]]가 만들어 낸 인종적 판타지로 간주되기도 한다.<ref>{{저널 인용|저자=한희정|제목=이주여성에 관한 혐오 감정 연구|연도=2016|월=2|저널=한국언론정보학보|호=75|쪽=43-79}}</ref>{{rp|45}}
== 인식 ==
== 인식 ==
[[한국일보]]가 2015년 6월 24일부터 30일까지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317명 중 92.7%가 '김치녀'를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ref>{{뉴스 인용|저자=조소희|제목=Q. 왜 2030 남성은 여성을 혐오하게 되었나?|url=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704000030|뉴스=부산일보|날짜=2015-07-03|확인날짜=2016-11-19}}</ref></ref>
[[한국일보]]가 2015년 6월 24일부터 30일까지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317명 중 92.7%가 '김치녀'를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ref>{{뉴스 인용|저자=조소희|제목=Q. 왜 2030 남성은 여성을 혐오하게 되었나?|url=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704000030|뉴스=부산일보|날짜=2015-07-03|확인날짜=2016-11-19}}</ref>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2015년 12월 21일 발표한, 성인 140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14.2%가 듣기 불편한 신조어로 '김치녀'를 꼽았다.<ref>{{뉴스 인용|저자=이세아|제목=불쾌한 신조어 1위 ‘OO충’...3위 ‘김치녀’|url=http://www.womennews.co.kr/news/view.asp?num=89651|뉴스=여성신문|날짜=2015-12-23|확인날짜=2016-11-17}}</ref>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2015년 12월 21일 발표한, 성인 140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14.2%가 듣기 불편한 신조어로 '김치녀'를 꼽았다.<ref>{{뉴스 인용|저자=이세아|제목=불쾌한 신조어 1위 ‘OO충’...3위 ‘김치녀’|url=http://www.womennews.co.kr/news/view.asp?num=89651|뉴스=여성신문|날짜=2015-12-23|확인날짜=2016-11-17}}</ref>


2015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13세 이상 35세 미만 남성 1200명,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3.7%가 '김치녀'를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반의어인 '개념녀'는 89.9%가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ref name="korwo2015">{{서적 인용|저자=안상수·김인순·이정현·윤보라|제목=남성의 삶에 관한 기초연구(Ⅱ): 청년층 남성의 성평등 가치 갈등 요인을 중심으로|연도=2015|위치=서울|출판사=한국여성정책연구원}}</ref>{{rp|97}} 또한, 전체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여성의 22.81%가 김치녀에 해당되고 23.58%가 개념녀에 해당될 것이라고 추정한 반면, 여성 응답자들은 여성의 22.81%가 김치녀에 해당되고 41.02%가 개념녀에 해당할 것이라고 추정하였다.<ref name="korwo2015" />{{rp|98}} 남성 응답자가 김치녀에 주로 느끼는 감정은 주로 혐오(37.5%), 경멸(26.8%), 분노(15.7%), 연민(10.8%) 순으로 높았지만 여성 응답자가 김치녀에 주로 느끼는 감정은 경멸(27.7%), 혐오(21.0%), 연민(21.0%), 분노(15.3%) 순으로 높았다.<ref name="korwo2015" />{{rp|124}}
2015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13세 이상 35세 미만 남성 1200명,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3.7%가 '김치녀'를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반의어인 '개념녀'는 89.9%가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ref name="korwo2015">{{서적 인용|저자=안상수·김인순·이정현·윤보라|제목=남성의 삶에 관한 기초연구(Ⅱ): 청년층 남성의 성평등 가치 갈등 요인을 중심으로|연도=2015|위치=서울|출판사=한국여성정책연구원}}</ref>{{rp|97}} 또한, 전체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여성의 22.81%가 김치녀에 해당되고 23.58%가 개념녀에 해당될 것이라고 추정한 반면, 여성 응답자들은 여성의 22.81%가 김치녀에 해당되고 41.02%가 개념녀에 해당할 것이라고 추정하였다.<ref name="korwo2015" />{{rp|98}} 남성 응답자가 김치녀에 주로 느끼는 감정은 주로 혐오(37.5%), 경멸(26.8%), 분노(15.7%), 연민(10.8%) 순으로 높았지만 여성 응답자가 김치녀에 주로 느끼는 감정은 경멸(27.7%), 혐오(21.0%), 연민(21.0%), 분노(15.3%) 순으로 높았다.<ref name="korwo2015" />{{rp|124}}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여성혐오]]
* [[여성혐오]]

2016년 11월 19일 (토) 13:51 판

틀:차별비하

개요

김치녀는 2011년 이후 유행하기 시작한 용어로, 한국 여성을 비하하는 말이다.[1][2] 연구자들은 김치녀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남성과의 관계에 있어 '비합리적'이거나 '개념 없는' 행태를 보이는 여성[1]:376
  • 성적으로 문란하면서 소비사치를 일삼고 남성의 경제력에 기생하려는 속성을 모두 갖춘 한국여성[2]:207

연구자들은 온라인 게임에서 소속 국가를 나타내기 위해 음식을 사용하는데서 유래했거나,[3]:297 한국을 나타내는 용어로 김치를 선택하여 한국 여성의 특징을 구분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용어에 '김치'가 삽입되었다고 분석한다.[2]

용례

김치녀가 아닌 여성

김치녀가 한국 여성을 전반적으로 비하하는 말임은 연구자들에게 지적되어 왔지만, 일부 '김치녀' 사용자들은 자신이 비난하는 건 한국 여성의 일부일 뿐이라고 말한다.[4]:24 이들이 말하는 대표적인 예시는 '개념녀'로, 여성은 '김치녀'와 '개념녀'라는 이분법으로 구분되며, 이는 여성을 성녀와 창녀로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성녀-창녀 콤플렉스가 한국적으로 변용된 것이다.[4]:24-25 개념녀와 같이 김치녀와 반대되어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용어는 탈김치녀, 스시녀 등이 있다.[2]:212 '스시녀'는 일본 여성을 가리키는 말로, 스시녀가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그들의 성격이 온순, 순종적이고 남성에게 경제적 부담을 끼치지 않는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2]:212-213

전에 뉴스에서 보니까 ‘김치녀’라는 게 ‘스시녀’의 반대말로 나온 거더라고요? 근데 진짜 일본여자들은 남자한테 순종적이라고 들은 것 같아요. 완전 한국여자랑 다른 거죠. 한국여자들은 데이트 비용은 무조건 남자들이 다 지불해야 하고, 무조건 남자들이 다 해 줘야 되고 해준다고 고마운 것도 모르고, 자기가 혼자 할 줄 아는 것도 일단 남자한테 시키고 보잖아요.[1]:378

그러나 실제로는 바람직한 여성상으로 일본 여성이 선택된 것이 아니라, 순종적 여성성만 강조되면서 다양한 관계 및 소비 행위들에 내재한 특수성과 차이들이 배제된 것이며,[1]:378 여성혐오가 만들어 낸 인종적 판타지로 간주되기도 한다.[5]:45

인식

한국일보가 2015년 6월 24일부터 30일까지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317명 중 92.7%가 '김치녀'를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6]

잡코리아알바몬이 2015년 12월 21일 발표한, 성인 140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14.2%가 듣기 불편한 신조어로 '김치녀'를 꼽았다.[7]

2015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13세 이상 35세 미만 남성 1200명,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3.7%가 '김치녀'를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반의어인 '개념녀'는 89.9%가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8]:97 또한, 전체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여성의 22.81%가 김치녀에 해당되고 23.58%가 개념녀에 해당될 것이라고 추정한 반면, 여성 응답자들은 여성의 22.81%가 김치녀에 해당되고 41.02%가 개념녀에 해당할 것이라고 추정하였다.[8]:98 남성 응답자가 김치녀에 주로 느끼는 감정은 주로 혐오(37.5%), 경멸(26.8%), 분노(15.7%), 연민(10.8%) 순으로 높았지만 여성 응답자가 김치녀에 주로 느끼는 감정은 경멸(27.7%), 혐오(21.0%), 연민(21.0%), 분노(15.3%) 순으로 높았다.[8]:124

같이 보기

외부 링크

각주

  1. 1.0 1.1 1.2 1.3 황슬하·강진숙 (2014년 7월). 온라인 여성혐오 담론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28 (4): 356-388.
  2. 2.0 2.1 2.2 2.3 2.4 엄진 (2016년 6월). 전략적 여성 혐오와 그 모순. 《미디어, 젠더 & 문화》 31 (2): 193-236.
  3. 김수아 (2015년 10월).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페미니즘 연구》 15 (2): 279-317.
  4. 4.0 4.1 김수아·김세은 (2016년 6월). '좋아요'가 만드는 '싫어요'의 세계.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1 (2): 5-44.
  5. 한희정 (2016년 2월). 이주여성에 관한 혐오 감정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75): 43-79.
  6. 조소희. “Q. 왜 2030 남성은 여성을 혐오하게 되었나?”, 《부산일보》, 2015년 7월 3일 작성. 2016년 11월 19일 확인.
  7. 이세아. “불쾌한 신조어 1위 ‘OO충’...3위 ‘김치녀’”, 《여성신문》, 2015년 12월 23일 작성. 2016년 11월 17일 확인.
  8. 8.0 8.1 8.2 안상수·김인순·이정현·윤보라 (2015). 《남성의 삶에 관한 기초연구(Ⅱ): 청년층 남성의 성평등 가치 갈등 요인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