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함수

기함수(函數)는 정의역 내의 임의의 실수(혹은 복소수) [math]\displaystyle{ x }[/math]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f(x) = - f(-x) }[/math]를 만족하는 함수 [math]\displaystyle{ f:D \rightarrow\mathbb{C} }[/math]를 의미한다.

기함수의 성질[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f,\,g }[/math]가 기함수, [math]\displaystyle{ h }[/math]우함수일 때

  • [math]\displaystyle{ f\pm g }[/math]는 기함수이다.
    [math]\displaystyle{ \left(f+g\right)\left(-x\right)=f\left(-x\right)+g\left(-x\right)=-f\left(x\right)-g\left(x\right)=-\left(f+g\right)\left(x\right) }[/math]
  • [math]\displaystyle{ f\cdot g }[/math]는 우함수, [math]\displaystyle{ f\cdot h }[/math]는 기함수이다.
    [math]\displaystyle{ \left(fg\right)\left(-x\right)=f\left(-x\right)g\left(-x\right)=f\left(x\right)g\left(x\right)=\left(fg\right)\left(x\right) }[/math]
    [math]\displaystyle{ \left(fh\right)\left(-x\right)=f\left(-x\right)h\left(-x\right)=-f\left(x\right)h\left(x\right)=-\left(fh\right)\left(x\right) }[/math]
  • [math]\displaystyle{ 1/f }[/math]는 기함수이다.
    [math]\displaystyle{ \left(1/f\right)\left(-x\right)=1/f\left(-x\right)=-1/f\left(x\right)=-\left(1/f\right)\left(x\right) }[/math]
  • [math]\displaystyle{ f/g }[/math]는 우함수, [math]\displaystyle{ f/h,\,h/f }[/math]는 기함수이다.
    위의 두 성질을 사용하면 증명된다.
  • 도함수 [math]\displaystyle{ f\prime }[/math]은 우함수이다.
    [math]\displaystyle{ f\left(x\right)=-f\left(-x\right) }[/math]의 양변을 미분하면, [math]\displaystyle{ f'\left(x\right)=f'\left(-x\right) }[/math].
  • [math]\displaystyle{ \int_{-a}^af\left(x\right)\mathrm{d}x=0 }[/math]
    [math]\displaystyle{ \int_{-a}^0f\left(x\right)\mathrm{d}x=-\int_0^{-a}f\left(x\right)\mathrm{d}x=\int_0^{-a}f\left(-x\right)\mathrm{d}x }[/math]에서, [math]\displaystyle{ -x=t }[/math]로 치환하면, [math]\displaystyle{ \mathrm{d}x=-\mathrm{d}t }[/math]이고, 적분 범위는 0에서 [math]\displaystyle{ a }[/math]까지 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int_0^{-a}f\left(-x\right)\mathrm{d}x=-\int_0^af\left(t\right)\mathrm{d}t=-\int_0^af\left(x\right)\mathrm{d}x }[/math]이고, 곧 [math]\displaystyle{ \int_{-a}^af\left(x\right)\mathrm{d}x=\int_{-a}^0f\left(x\right)\mathrm{d}x+\int_0^af\left(x\right)\mathrm{d}x=-\int_0^af\left(x\right)\mathrm{d}x+\int_0^af\left(x\right)\mathrm{d}x=0 }[/math]

고등학교 수학 수준에서 보면 기함수는 좌표평면상에서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기함수의 예[편집 | 원본 편집]

  • 홀수 차수인 다항함수[1]와 그 역수를 함수값으로 하는 분수 함수.
  • 삼각함수[math]\displaystyle{ \sin x,\,\tan x,\,\cot x,\,\csc x }[/math]가 기함수이다.

각주

  1. 여기서 기함수라는 말이 유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