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난사 사건

트리비아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5월 13일 (수) 19:47 판 (→‎여담)

틀:사건사고 진행중

개요

2015년 5월 13일 10시 44분 서울 서초구 내곡동의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52사단 예하 송파·강동 예비군 훈련장에서 예비군 최 모 씨가 총기를 난사한 사건.

사건 내용

용의자 최 모 씨는 2박 3일간의 예비군 훈련을 받기 위해 5월 12일에 입소했다. 13일 사격 훈련에서 10발들이 탄창을 건네받고 1번 사로로 들어갔다. 사로 뒤로는 다음 순번의 예비군들이 대기하고 있었다. 최 모 씨는 1발을 영점 사격한 뒤 뒤로 돌아 부사수 예비군을 쏘고 주변 2~5사로 예비군들에게 7발을 난사했다. 이로인해 주변 예비군 4명이 부상당했고 용의자는 총기 난사 후 자살하였다. 범행 총기는 K-2였으며, 부상자들은 삼성의료원, 국군수도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1] 등으로 후송되었다. 삼성의료원으로 후송된 예비군의 경우 머리에 관통상을 입어 수술 중에 있으며 강남세브란스로 후송된 예비군은 얼굴 부위에 부상을 입고 총알 제거 수술을 받고 있다고 한다. 다행스럽게도 강남세브란스에 후송된 예비군은 목숨에 지장이 없다고 한다.[1] 부상자 중 두 명은 의식이 없는 상태라고 한다.[2] [3]

언론보도에 따르면 사고 훈련장은 총기가 고정되어있지 않았으며 영점사격 시에 실사격 시 사용하는 총탄까지 같이 지급한 것으로[2] 드러났다. 사격훈련 현장의 사로는 20개이지만 관리인원은 대위 3명과 병사 6명 등 총 9명 뿐이라고 한다. 사건 당시 최 모 씨와 가장 근접해있던 현역병은 3~4사로 쪽으로 최 모 씨와 거리가 있었음이 밝혀졌다.

해당 사건은 10시 30분 경 일어났으나 언론보도 된 것은 11시 이후로, 사건 은폐시도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국방부에서는 이번 사건을 의혹없이 조사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또한 해당 훈련장에서는 사건 이후에도 다른 교장에서 사격을 포함한 훈련이 진행되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4][3]

피해자들의 피격 부위를 보면 난사가 아니라 한 명에게 한 발씩 조준 사격을 했다는 정황이 보인다. 확인된 피격 부위는 각각 흉부(우측 폐), 목(관통상), 얼굴(좌측 볼-우측 안와)로 모두 상반신 중에서도 급소 부위이다.[5]

사건 경과

  • 2015년 5월 13일 10시 44분 총기 난사 발생
  • 11시 34분 총 사망자 1명, 부상자 4명, 중태 2명.
  • 12시 53분 총 사망자 2명 부상자 3명
    • 중태 1명 삼성의료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치료 중 사망.
  • 3시 30분 국방부 브리핑. 사건을 의혹없이 조사하겠다. 희생자에게 애도 표시[6]
  • 4시 5분 총 사망자 2명 부상자 3명 중태 1명, 부상자 중 2명 의식불명

전문가들의 분석

이 문단은 2015년 5월 13일에 수정되었습니다. 아직 사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알려지지않아 전문가들의 분석이 옳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용의자인 최 모 씨가 군 시절 B급 관심병사였음을 미루어 사회나 조직에 대한 부적응자였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또한 잘 모르는 사람들 대다수를 대상으로 한 점, 피해자들의 상체를 조준한 점 등을 보아 '분노형 범죄'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김수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사회적 불신감이 큰 상황에서 국방의 의무로 부름받은 것이 트리거가 될 수도 있다고 보았다. 이웅혁 건국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이러한 범죄 양상이 해외의 캠퍼스 총기 난사와 비슷하다고 진단했다. 김재진 강남세브란스 정신과 교수는 용의자의 충돌조절장애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7]

여담

예비군 훈련 중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고가난 210연대 근처에 211연대가 있었으며, 싸이장석원이 향방작계 훈련을 위해 211연대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발생 20분 전 스케줄로 부득이하게 조퇴하여 무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8] 예비군을 조퇴한 것이 특혜가 아니냐는 말까지 있었지만 빠진 시간만큼 훈련을 받는다고 밝혔다. [9] 군대를 두번 갔다 온것도 모잘라서 훈련도 두번...

최 모 씨는 군 시절 B급 관심병사였으며 우울증 치료 기록과 인터넷 중독 증상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각주

  1. 다른 기사에서는 영동세브란스로 기재되어 있다. 둘은 같은 병원이다.
  2. 다만 영점사격시 실탄지급은 매우 당연한 것이므로 실탄지급 자체가 잘못된 것은 아니다.
  3. 이걸 두고도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인명사고가 났으면 우선 훈련을 중단하고 안전관리나 정신적 충격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해야 한다는 의견과 그래도 정해진 훈련은 해야하지 않겠냐는 의견 두 가지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