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 1회권

Mykim5902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3월 4일 (월) 00:26 판 (새 문서: 분류:승차권 RF권은 도시철도·광역철도에서 RFID 기술을 이용하는 승차권 중 교통카드를 제외한 1회용 승차권의 총칭이다. 부산 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RF권은 도시철도·광역철도에서 RFID 기술을 이용하는 승차권 중 교통카드를 제외한 1회용 승차권의 총칭이다. 부산 도시철도를 제외한 한국 도시철도들은 종이승차권을 버리고 RF권으로 전환했다.

  • 카드형 RF 1회권 (1회용 교통카드)
    Kjh38000 10536.jpg
    2009년 수도권 전철에서 기존의 자성승차권 체제를 버리고 차세대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채택한 방식이다. 발매기만 조금 고생하면 역무 자동화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자동 개집표기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어 비용절감에 유리하나, 이용자 입장에서는 보증금을 별도로 뜯기니 기분이 좋지 않고, 나갈 때 반납하지 않으면 보증금을 고스란히 날리니 불편하다.
  • 토큰형 RF 1회권
    부김1회권.jpg
    수도권 전철을 제외한 도시철도·광역철도에서 채택한 종이승차권의 대체제. 토큰형 RF권은 입장할 때는 교통카드처럼 찍고, 나갈 때는 교통카드 태그영역 옆에 있는 토큰 투입구에 넣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운영 입장에서는 개집표기 유지보수 소요가 생기고 분실·도난으로 인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나, 이용자 입장에서는 기존 종이승차권처럼 사용할 수 있어 직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