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우절/사례

< 만우절
Hikineet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4월 1일 (토) 16:23 판

여기서는 만우절의 사례를 기록한다. 예는 실제 일어난 듯한 것처럼 쓰고, 설명은 주석을 사용한다.

사이트

2016년

한국어

  • 리브레 위키에서는 namu와 조합간 양도 계약이 체결되어 나무위키리브레위키 협동조합 가족이 되었다.(특수:고유링크/333414)
  • 백괴사전에서는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 제12조 1항에 의거 사이트가 일시적으로 차단되었다. 문단 마지막의 '.'가 백괴사전으로 들어가는 링크이다.
  • 나무위키에서는 α·β·γ판 리그베다 위키 스킨의 모습으로 나오며, 러브라이브!의 μ’s를 나무위키 왼쪽에 집어넣었다.[1]

일본어

  • 2ch에서는 2ch의 대문을 한국어로 번역하였고, 대문 사진으로 돼지 모습을 띄었다.

다국어

  • 구글에서는
    • 구글 카드보드 플라스틱을 소개했다.
    • 안드로이드의 지도 앱에서 검색에 나오는 Funky Town을 누르면 페그맨 동영상을 보여준다.
    • 구글 재팬에서는 구글 일본어 키보드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화 했다. 문제는 쓸데없이 고퀄이라 직접 만들어볼 수 있는 설계도와 코드도 공개했다.[1]
    • 지메일에 마이크 드롭을 추가했다가 버그 때문에 내려갔다.

2017년

한국어

  • 리브레 위키와 나무위키의 스킨이 서로 바뀌었다.

기업·기관

2014년

미국

  • 구글과 포켓몬컴퍼니(일본 업체)는 세계 각지 구글맵(구글지도)에 숨은 야생 포켓몬을 모두 잡는 사람을 구글이 '포켓몬 마스터'로 특채해주기로 하였다. [2]

2016년

대한민국

게임

2016년

다국어

각주

  1. μ’s의 활동이 끝나는 날이라 넣은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