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블레스 (만화)/스토리

내용 누설 주의 이 부분 아래에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열람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시즌1

어느 건물의 방 안, 십자가 표시의 에서 어느 한 남성이 깨어난다. 그는 방 안을 둘러보더니 원거리에서 커튼에 손을 대지 않고 젖히는 시늉만으로 검은 커튼을 젖히고 베란다 문을 연다. 그는 베란다로 나가 햇살을 만끽한다. 그는 베란다 아래 거리를 보는 데 고등학교 등교 시간이라 많은 예란고등학생들이 거리를 걸어가고 있다. 그 모습을 본 그는 원래 검은 색의 옷에서 예란고의 흰 교복으로 옷을 변신시킨다.
예란고등학교 학생들이 가는 방향으로 무작정 가던 그. 갑자기 학생들이 뛰기 시작하는 데 그 중 붉은머리 남학생이 그를 보고는 우리 학교에서 처음 보는 학생이라고 생각한다.처음 보는 학생 맞다
시간이 흐른 후, 그는 예란고 정문에 도착하고 지각한 벌을 마지막까지 달게 받고 있던 붉은머리 남학생과 오늘 정문을 담당한 패도르[1] 교사와 마주치게 된다.
패도르 교사는 이제 학교에 온 그를 보며 말을 거나 그는 알 수 없는 외국말로 답한다. 그런 그를 보며 패도르 교사와 붉은 머리 남학생은 전학생이라고 생각한다. 패도르 교사는 한신우(붉은 머리 남학생)에게 그를 이사장실로 데려가라는 임무를 맡긴다. 신우는 그를 이사장실로 안내하고 자기 교실로 가고 그는 이사장실로 들어간다. 금발의 이사장은 서류를 보며 오늘은 전학생이 없는데?라며 중얼거리다 이사장실에 들어온 그를 보고 놀란다.
이사장(프랑켄슈타인)은 그(카디스 에트라마 디 라이제르)를 보고 무릎을 꿇으며 마스터라고 부른다. 그리고는 라이제르에게 를 대접해준다. 라이제르는 프랑켄슈타인의 대화로 자신이 820년 동안 수면기에 들었었다는 사실과 프랑켄슈타인을 비롯한 몇몇 이들이 실종된 자신을 찾으려 했으나 수백년 동안 찾지 못했음을 알게 된다. 라이제르는 프랑켄슈타인에게 문지기의 분위기가 제법이었다고 말한다. 그 말을 들은 프랑켄슈타인은 오늘 정문 담당인 패도르 교사를 떠올리고는 이 곳은 학교라고 알려주며 아이들이 교육을 받는 곳이라고 말해준다.
패도르 교사 반의 교실, 패도르 교사가 학생들에게 새 전학생 라이제르를 소개시켜 준다. 자신을 소개하라는 패도르 교사의 요청에 라이제르는 한국어 반말로 대답하고, 패도르 교사는 이사장이 했던 부탁[2]을 떠올리며 꾸욱 참는다. 패도르 교사의 지시대로 라이제르는 한신우 옆 자리인 만화 주인공이 교실에서 자주 앉게 되는 자리인 교실 창가 맨 뒷자리에 앉는다.
신우는 교과서를 가져오지 않아 원래 교과서가 없던 라이제르와 함께 노트북으로 필기하는 친구(우익한)와 같이 앉는다. 신우는 잘 생긴 라이제르의 외모로 인해 반 여학생들의 시선이 쏠리자 자신이 왜 그런 시선[3]을 받아야 하는지 억울하다며 책상 위에서 파닥거리고 때마침 수학 시간이어서 칠판에 수업 내용을 쓰고 있던 패도르 교사의 속 반응은 (신우 저 놈) 그냥 죽여버릴까하는 반응...
프랑켄슈타인은 라이제르가 깨어났던 장소에서 관을 보며 4개월 전 새로 지어진 건물이고 1개월 전 누군가가인수했다면서 모든 게 철저히 계획된 일이라며 독백. 하지만 마스터가 이 안에 잠들어 있었다는 사실은 아무도 몰랐을 거라며 관에 대한 조사 계획과 라이제르가 이 곳에서 깨어난 이유에 대해 조사 진행 중이다.


프랑켄슈타인은 이사장실에서 라이제르에게 마스터가 깨어난 곳에 다녀왔었다고 알린다. 그 곳 건물의 주인은 누구인지 모르겠다며 정체를 숨기기를 원하는 누군가가 특정한 목적을 위해 그 건물을 인수한 듯하다는 것, 그 관에 마스터께서 잠드셨다는 건 몰랐을 거라는 것, "'그들'"이 연관되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추가로 말한다.라이제르는 "'그들'"도 (자신이 수면에 든 사이에) 많이 변했겠다고 말하고 프랑켄슈타인은 라이제르의 말을 이어받아 '그들'도 더욱 은밀하고 거대해졌다며 인간들의 세력이 예전보다 훨씬 강해졌고 인간들은 수많은 발전을 해왔다고 말한다.
라이제르는 프랑켄슈타인에게 수업은 좋았는데 자신의 능력[4]에 이상이 생긴 거 같다고 말한다. 그 말을 들은 프랑켄슈타인은 충격을 먹으며 역시 오랜 수면기의 부작용 때문이었냐고 말한다. 라이제르는 '수학'이라는 수업이었다고 얘기한다. 프랑켄슈타인은 그 말을 듣고 아무리 정신을 연결할 수 있다해도 복잡한 암산과 수학 공식들을 대입해서 푸는 게 이해되실리 없다고 생각. 라이제르는 문지기를 하던 선생이 가르치던 수업이었다며 역시 범상치가 않다고 얘기하고 수학의 위엄 프랑켄슈타인은 이걸 어떻게 설명드려야 하는지 곤란해한다.


밤, 어느 남성이 방에 있던 관이 사라져 있는 걸 보고[5] 당황해하며 뒤에 있는 남성 2명검은 조직? 에게 며칠 전까지만 해도 관이 분명 있었다며 시간을 달라고 애걸복걸한다. 뒤에 있는 남성들 중 덩치 큰 남성이 (요 녀석) 먹어도 되냐고 묻고 옆의 동료는 허락. 덩치 큰 남성은 살려달라고 비는 남성을 붙잡아 송곳니를 드러내며 그 남성의 목을 깨문다. 옆의 동료, 입 주변에 흉터가 있는 회색머리의 남성은 중간에빼돌린 관을 쉽게 찾아서 생각보다 일찍 끝날 줄 알았는데 더욱 골치 아파졌다고 말한다. 덩치 남성은 피를 다 빤 시체를 바닥에 떨군다. 덩치 남성은 회색머리 남성에게 시체 처리하냐며 위에선 부작용으로 인해 소란스러워지는 걸 싫어할 거라고 말하고 회색머리 남성은 그냥 냅두라고 대답한다.
다시 낮, 예란고 점심 시간, 신우는 점심값이 없는 라이제르에게 점심을 사주겠다며 교실 밖으로 나서고 점심값이 없던 익한도 신우에게 얻어 먹기 위해 따라나선다.
학교 식당에 들어선 신우, 라이제르, 익한. 식당에서 식사 중이던 여학생들의 시선이 일제히 라이제르에게로 꽂힌다. 신우는 주방에서 요리하는 아줌마들에게 라면 3그릇을 주문한다.
식당 식탁에 앉은 신우는 라이제르에게 라면을 권한다. 라이제르는 신우가 나무 젓가락을 떼는 걸 보며 뱀파이어가 말뚝의 심판을 받는 걸 떠올린다... 신우는 라이제르에게 라면이랑 같이 먹을 땐 김치라며 김치도 권한다. 김치를 맛본 라이제르는 사람들이 뱀파이어에게 뱀파이어가 기피하는 마늘을 던지며 퇴치하는 광경을 떠올리며 독살이냐고 말하는데... 도중에 열심히 라면을 폭풍 흡입 중인 신우와 익한은 라이제르의 말을 못 듣는다... 라이제르는 신우를 보다 다시 라면을 보고는 양이 많아졌다고 말하고 먹고 있던 신우는 양이 많아진 게 아니라 불은 거라며 빨리 먹기나 하라고 말한다.이 때부터 시작된 라이의 라면 사랑, 라면 중독


각주

  1. 학생들이 붙여준 별명이다.
  2. 외국에서 자라왔으니 한국 문화에 대해 모르는 게 있더라도 양해해달라는 부탁
  3. 라이제르랑 같이 앉아서 부럽다 혹은 질투난다
  4. 상대의 정신을 연결할 수 있어 비록 말을 알아듣지 못하더라도 상대가 말하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언어를 쉽게 배울 수 있게 해주는 능력
  5. 관은 프랑켄슈타인이 치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