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음률

Liebesfreud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12월 7일 (화) 17:22 판

{{lang}} 질문

(1) {{lang|en|Temperament}} 같은 문법이 보이는데 영어는 굳이 지정하지 않아도 되는데 지정하셨더군요. 어떤 기능을 이용하려고 지정하신건가요? 그렇다면 한자어에 달렸던 lang 틀을 다시 달을려고 합니다. CAERULEUM 토론 기여 2021년 12월 6일 (월) 22:05 (KST)

(2) 그리고 한자 표기에서는 한자를 위한 lang 틀이 없어서 그냥 zh로 달으신 것 같기도 한데 그럼 한자 lang 틀을 따로 만들까 생각도 해봤습니다. CAERULEUM 토론 기여 2021년 12월 6일 (월) 22:09 (KST)

접근성을 생각하자면 언어를 지정해주는 것이 스크린 리더에서 알맞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Text-Justify (메시지) 2021년 12월 6일 (월) 22:30 (KST)
그렇군요. 폰트 지정 목적 외의 span lang을 지정하는 이유를 이제야 알았네요. (2)와 관련해서는 한자어를 중국어라고 하기에는 좀 뭐해서 <span lang='ko'></span> {{lang-한자}}를 만들어야 좋을 것 같습니다. 근데 언어를 한국어로 해놓으면 의미가 없는 것 같네요. 이러면 쓸데 없는 틀을 만드는 게 되는 건가요?CAERULEUM 토론 기여 2021년 12월 6일 (월) 22:49 (KST)
(중요한 질문인 것 같습니다.) 스크린 리더가 한자어를 중국어나 일본어로도 인식하는 경우가 있나요? CAERULEUM 토론 기여 2021년 12월 6일 (월) 22:51 (KST)
한국어로 맞춰진 상태에는 기본적으로 한국어 한자 발음으로 읽습니다. --Text-Justify (메시지) 2021년 12월 6일 (월) 23:17 (KST)
아 감사합니다 CAERULEUM 토론 기여 2021년 12월 6일 (월) 23:19 (KST)
(1)은 외국어 표기에 기계적으로 lang 틀을 달면서 적용한 편집으로, 큰 의미가 있는 편집은 아닙니다. (2) 보통 한자가 다소 부자연스럽게 보일 경우 폰트 지정 목적으로 lang 틀을 달긴 했는데, 한국어 한자어에 대해 적용하는 경우는 남용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지적 감사드립니다. --Liebesfreud (기여토론) 2021년 12월 7일 (화) 17:20 (KST)
혹시 이 문제 외에도 제가 lang 틀을 오남용하는 경우가 있다면 사용자 토론으로 안내 부탁드립니다. --Liebesfreud (기여토론) 2021년 12월 7일 (화) 17:22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