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증기

Chirho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6월 5일 (금) 14:36 판 (새 문서: 분류:화학 *水蒸氣 Water Vapor ==개요== 이 증발하여 기체상태가 된 것. 물을 끓여서 발생시키건, 물을 자연증발 시켜서 발생시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 水蒸氣 Water Vapor

개요

이 증발하여 기체상태가 된 것. 물을 끓여서 발생시키건, 물을 자연증발 시켜서 발생시키건, 압력을 낮춰서 발생시키건 하여간 물 분자가 기체상태로 돌아다니는 것을 의미하며, 통상 4℃ 물의 부피의 1200배 이상의 부피를 가지게 된다.(물을 끓인 경우 온도가 더 올라가므로 1500배 이상으로 팽창하기도 한다)[1] 이외에 물의 임계온도인 374℃를 넘어가게 되면 물은 아무리 압력을 가해봐야 이 상태로만 존재할 수 있게 된다.

성질

무색 무취의 투명한 기체이다. 주전자 같은 데서 하얗게 "김"이 나오는 모습을 보고 수증기의 색이 하얗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이 상태까지는 아직 작은 물방울의 상태라서 사람의 눈에 보이는 것 뿐이지, 진정한 의미의 수증기는 아니다.

용도

  • 물을 끓이면 엄청난 부피팽창을 하면서 수증기로 바뀌기 때문에 이 압력을 이용하여 화력 발전소원자력 발전소의 터빈을 돌리는 용도로 이용된다.
  • 고열에서 수증기와 코크스를 접촉시키면 일산화탄소와 수소의 혼합기체가 발생한다. 이를 수성가스라고 하기도 하는데, 발열량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가스 발전소나 제철소의 연료로 사용된다.
  1. 아보가드로 법칙에 의해 물 1몰은 18g, 즉 18ml에 해당하며, 수증기 1몰은 22.4ℓ, 즉 22,400㎖가 되므로 22,400÷18≒1244.4로 계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