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환 치료

칭동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5월 26일 (화) 21:00 판

성전환 치료트랜스젠더가 정체성에 맞는 몸으로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료법을 말한다. 남성호르몬이나 여성호르몬을 맞는 호르몬 대체 요법, 목소리, 제모, 가슴성형, 마지막으로 성전환 수술등의 치료가 있다.

절차

성전환 치료의 많은 과정은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이루어진다. 호르몬 대체 요법만 해도 반대 성별의 호르몬을 대량으로 투여하고, 현재 신체에서 분비중인 성호르몬을 억제하는 약을 먹기 때문에 생식능력을 잃게 될 수 있다.

만약 자신이 반대성별이라는 확신이 있더라도 2세를 가질 계획이 있다면 호르몬 대체 요법을 결정하기에 가슴성형은 성형외과로 직행하면 비교적 쉽게 받을 수 있지만, 돌이킬 수 없는 신체상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고, MTF 트랜스젠더의 경우 가슴을 확대하고 나서도 여성호르몬을 맞으면 가슴이 자라나기 때문에 이상한 모양이 될 수 있어서 호르몬 치료를 통해 가슴 모양이 완성된 뒤에 수술하는 것이 원칙이다.

최근에는 트랜스젠더의 건강을 위한 세계 전문가협회(WPATH)등에서 여러가지 치료 기준을 발표하고 있다.

종류

호르몬 대체 요법

호르몬 대체 요법을 통해 현재 신체에서 분비하는 호르몬과 반대 성별의 호르몬을 고농도로 투여하고, 현재 분비되는 호르몬을 억제하는 약을 투여하게 된다.

여성호르몬 치료의 경우 몇달 내로 발기 능력과 성욕을 잃고 결국 정자 생산 능력을 잃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여성호르몬과 억제제를 끊으면 남성호르몬이 다시 분비되어 신체가 남성화되기 시작된다.

호르몬 치료 과정에서 자신이 여성이 되고 싶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다면 호르몬을 끊는 것 만으로사회적으로는 남성으로 복귀할 수 있다. 하지만 생식능력이 돌아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남성호르몬 치료의 경우 가시적인 변화는 더 빨리 찾아오지만 호르몬을 끊으면 생식능력은 복구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그 가시적인 변화 중에는 돌이킬 수 없는 변화(목소리 등)가 상당한 편이다.

여성호르몬을 맞는다고 해도 목소리는 조금 부드러워질 뿐 거의 높아지지 않는다.


실생활 경험

실생활 경험(Real-Life Experience)은 목표하는 성별 역할에 맞게 살아보는 것을 말한다. WPATH 기준은 외성기 수술에대해 1년간 목표하는 성으로 살아볼 것을 요구하고 있다.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