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 라이트

Pikabot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6월 16일 (수) 01:02 판 (불필요한 공백 제거)

개요

펜라이트라는 단어는 일본식 영어인 재플리쉬(Japlish)로, 펜(Pen)과 빛(Light)의 합성어로 보통은 "응원봉"이라고 부른다.

콘서트 등의 공연장에서 사용하는 팬들의 응원도구형광봉과 달리 전지를 넣어서 빛을 낸다. 건전지를 쓰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형광봉보다 밝고 오래 간다.

한국에서는 "팬(Fan) 라이트"라고 부른다. 한국에선 Fan(팬)과 Pen(펜)의 발음이 유사하기 때문에 이름을 혼동할 수 있으나, 일본에서는 Fan(환)과 Pen(펜)의 발음이 다르기 때문에 그런 일이 적다.뗀석기류가 펜에 속하는지는 잘 모르겠다[1]

종류

킹블레이드, 루미에이스와 같이 경광봉처럼 생긴 것도 있고 한국 아이돌 팬덤(주로 YG)은 자신들의 아이돌을 상징하는 모양으로 된 라이트를 쓴다.맞으면 아프다 두산 베어스는 손목에 차는 LED를 쓰고 있다.

  • 전원에 따라
    • AAA형 전지 : 밝고 오래간다. 대부분의 풀컬러 사양과 고휘도 단색 사양은 이쪽이다.
    • 수은전지[2] : 단색 슬림 모델 위주로 꾸려져 있다.
  • 발색에 따라
    • 단색 : 1개 색만 낸다. 밝기 조절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고휘도 사양을 추구하기도 한다.
    • 다색(풀컬러) : 여러 색을 낸다. 장비 갯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뭘 고를까

  • 가고자 하는 행사에 공식 라이트가 있다면 그것이 가장 좋다. 그것 외에 따로 하나 장만하고자 하면 아래로.
  • 단색과 풀컬러의 선택 사이에서
    • 단색 모델을 구입한다면 킹블레이드 iLite, 턴온 스틱 시리즈 등 단색 슬림 모델을 권장한다. 작고 가벼워서 손에 무리가 안 가고, 웬만한 행사 규정을 통과할 수 있다. 분위기 타면 발록[3]까지 가능하다. 보조용으로 맞춘다면 초고휘도 사양인 믹스펜라UO 정도를 갖추면 된다.
    • 다색(풀컬러) 모델을 구입한다면 킹블레이드 X10/one1 시리즈, 루미카 루미에이스2 및 대섬광 블레이드 시리즈, 믹스펜라HB 정도가 전부다. 흔한 걸 원한다면 X10 시리즈, 직구가 익숙치 않다면 루미에이스 시리즈, 좋은 물건을 원한다면 믹스펜라HB. 전부 AAA전지 사용 제품이므로 아이돌 마스터 라이브 반입은 안 된다.
    • 아이돌 마스터 라이브에 반입 가능한 풀컬러 제품은 킹블레이드 one1R, 루미에이스 iDOL, 믹스펜라PRO 뿐이다. 수은전지(LR44)를 사용한다.
  • 밝기 조절이나 RGBW 조절을 PWM이라는 기술로 하는 데, 이는 LED의 점멸 속도를 조절하여 밝기를 조정하는 기술(덜 깜빡이면 어두워지는 식)이다. 이 기술이 떨어지면 깜빡임(플리커) 증상이 나타나 색이 망가진다. 쉽게 알아보려면 켠 상태에서 봉을 흔들면 된다. 부드럽게 이어지면 좋은 물건이고, 계단 현상이 나타난다면 나쁜 물건이다.
  • 상단 끝 부분의 발산 형상을 관찰했을 때, 빛이 그냥 뚫고 나온다면 실전에서 여러 사람에게 눈뽕을 선사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기성품은 막음처리나 발산 처리를 해두긴 하는 데 막음처리된 경우 마개가 빠지면 그대로 눈뽕을 선사한다.

주요 제품군

아래 제품군은 언제나 시장에서 구할 수 있는 기성품들이다.(일부 제외) OEM 납품만 전문적으로 하는 회사들이 더 많다.

  • 루미카 루미에이스 시리즈
    형광봉 사업의 곁다리로 시작한 루미에이스이지만 틈새를 노려 괜찮은 제품을 만들고 있다. 국내 정식 수입처가 있어 구하기 쉽다.
  • 루이판 킹블레이드 시리즈
    2010년대에 혜성같이 등장해 서브컬쳐 시장을 휘어잡은 회사. 어지간한 서브컬쳐 행사의 OEM은 거진 맡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출시 초기에 결함이 종종 나타나는 것이 단점.
  • 소니 FreFlow (통칭 후리후라)
    중앙 무선제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가지고 온 펜 라이트. OEM 원청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생산하며 막대형은 AA 2개 삽입에 30cm에 이르는 길이가 특징이다. 특성상 소니뮤직 계열 아티스트 행사의 OEM으로 많이 보인다.
  • 턴온 믹스펜라 시리즈
    관록으로 승부하는 회사. 10년 넘게 펜 라이트 OEM을 해온 회사이며 서브컬쳐 바깥에서 많이 보이는 회사이다.

기타

한때는 LED 손전등에 발광 튜브를 부착하는 자작 펜 라이트도 많았으나, 많은 행사에서 수공품은 반입을 금지함에 따라 보기 힘들다.

한편 철도역에서 함부로 꺼내들면 안 되는 데, 기관사가 역무원의 수신호로 착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4] 이때문에 JR 동일본에서는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부근의 사이타마신토신역에서 행사때마다 콘서트 라이트·사이리움 소등 안내를 하고 있으며, 라이브가 잦은 여름철에는 수도권 통근 전철 계통을 중심으로 대대적으로 관련 홍보를 하고 있다.[5] 실제로 아키하바라역에서 이 때문에 소부선 열차가 긴급정지해서 운행차질을 빚은 바 있다.[6] 여담으로 일본 전철역 자판기의 콜라 자판기가 빨간색이 아닌 이유가 이 때문이라고.

관련 문서

각주

  1. majingi525, 샤이니 5th 투어 고베 공연의 일화, 2017년 2월 3일
  2. 버튼셀 등으로 불리는 리튬 계열 1회용 전지. 펜 라이트 계열에서는 주로 LR44를 사용한다.
  3. 손가락 사이에 끼워서 한손에 최대 4개를 흔드는 행위. 사이리움 사진 참조.
  4. 수신호에 적색, 녹색, 흰색 조명 사용
  5. JR동일본: 야광봉 등을 플랫폼에서 흔들지 마세요, CASSIOPEIA의 철도이야기
  6. https://twitter.com/530spec/status/626228502707073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