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트위터와 같은 서비스 형태를 [[마이크로 블로그]]라고 부른다.
트위터와 같은 서비스 형태를 [[마이크로 블로그]]라고 부른다.
== 덕질의 창구 ==
트위터는 [[페이스북]]과 달리 이름을 밝힐 필요가 없고 유저가 [[팔로우]]를 이용해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어서 [[덕질]] 용도로 최적화된 [[플랫폼]]이기도 하다. 실제로도 [[서브컬쳐|이쪽 계통]]에 있으면서 [[트위터]]를 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서브컬쳐]]나 이런저런 작품 소식, 근황, 정보 등이 가장 빨리 전해지기도 하다. [[잘못된 정보]]라던가 [[소문]]도 전파력이 강해 공신력 있는 출처가 아니라면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 손을 잘못 놀렸다간 쓴 트윗이 대량으로 [[리트윗]] 되면서 적나라하게 까이는 [[조리돌림]]을 당할 수 있으니 조심하자.
== 같이 보기 ==
* [[전력 60분]]
[[분류: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분류: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2015년 5월 20일 (수) 11:45 판

#이_문서는_암묵의_룰에_따라_해시태그와_함께_140자_이내로_작성되었습니다.
Twitter logo.svg

#해로운_새 #오늘도_퍼거슨_경은_1승을_챙깁니다

개요

트위터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일종이며, 인생의 낭비이다. 2006년 7월 15일에 처음 서비스되었다.

주요 기능으로는 140자의 짧은 단문과 사진, 외부 링크, 동영상을 업로드 할 수 있다. 비슷한 규모를 가진 페이스북과 비교했을 때, 트위터의 자체 서비스만으로는 짧은 글만 업로드 가능하지만 리트윗 기능으로 더 많은 사람에게 더 빠르게 자신의 트윗이 퍼질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페이스북은 지인들 사이의 비교적 폐쇄적인 커뮤니티라면, 트위터는 모르는 사람들 사이에도 정보가 쉽게 전파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트위터와 같은 서비스 형태를 마이크로 블로그라고 부른다.

덕질의 창구

트위터는 페이스북과 달리 이름을 밝힐 필요가 없고 유저가 팔로우를 이용해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어서 덕질 용도로 최적화된 플랫폼이기도 하다. 실제로도 이쪽 계통에 있으면서 트위터를 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서브컬쳐나 이런저런 작품 소식, 근황, 정보 등이 가장 빨리 전해지기도 하다. 잘못된 정보라던가 소문도 전파력이 강해 공신력 있는 출처가 아니라면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 손을 잘못 놀렸다간 쓴 트윗이 대량으로 리트윗 되면서 적나라하게 까이는 조리돌림을 당할 수 있으니 조심하자.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