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성산산성: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토론 닫힘])
 
1번째 줄: 1번째 줄:
== 문서 분리 필요 동음이의 필요 ==
== 문서 분리 필요 동음이의 필요 ==
{{완료된 토론 시작}}
한국 한반도 내의 성산산성이 5군데나 있고 문서도 5개가 있습니다. 분리 필요를 주목해야 합니다.
한국 한반도 내의 성산산성이 5군데나 있고 문서도 5개가 있습니다. 분리 필요를 주목해야 합니다.
원래 이동할려고 했으나 해당 문서는 함안 성산산성 문서를 가르키고 있기 때문에
원래 이동할려고 했으나 해당 문서는 함안 성산산성 문서를 가르키고 있기 때문에
18번째 줄: 19번째 줄:
:: {{찬성}}. --[[사용자:Xiàn|'''晛 '''<span style='font-size:80%'>Xiàn</span>]] <span style='font-size:80%'>([[사용자토론:Xiàn|토론]])</span> 2020년 4월 24일 (금) 10:30 (KST)
:: {{찬성}}. --[[사용자:Xiàn|'''晛 '''<span style='font-size:80%'>Xiàn</span>]] <span style='font-size:80%'>([[사용자토론:Xiàn|토론]])</span> 2020년 4월 24일 (금) 10:30 (KST)
:: 승인 알겠습니다. 그러면 따로 이동하고 이 문서는 동음이의로 이동하고 성산산성 문서는 삭제하겠습니다. [[사용자:Busanlibro|Busanlibro]] ([[사용자토론:Busanlibro|토론]]) 2020년 5월 1일 (금) 06:33 (KST)
:: 승인 알겠습니다. 그러면 따로 이동하고 이 문서는 동음이의로 이동하고 성산산성 문서는 삭제하겠습니다. [[사용자:Busanlibro|Busanlibro]] ([[사용자토론:Busanlibro|토론]]) 2020년 5월 1일 (금) 06:33 (KST)
{{완료된 토론 끝}}

2020년 5월 1일 (금) 06:36 기준 최신판

문서 분리 필요 동음이의 필요[원본 편집]

이 문단은 완료된 토론으로, 보존중입니다.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수정하지 말아주십시오.
Ledibug-Discussion.png

우측의 펼치기 버튼을 눌러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한국 한반도 내의 성산산성이 5군데나 있고 문서도 5개가 있습니다. 분리 필요를 주목해야 합니다. 원래 이동할려고 했으나 해당 문서는 함안 성산산성 문서를 가르키고 있기 때문에

따로 이동을 해야될 것 같습니다.

천안 성산산성 - 충청남도 천안시 직산면 관서리

김제 성산산성 - 전라북도 김제시 교촌동 교동리 성산

성주 성산성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신부리 (경북 성주군 같은 경우 성산산성 명칭 따로 사용됨)

창녕 성산산성 -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성산리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86호)

함안 성산산성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괴산리, 가야읍 광정리 (사적 제67호) Busanlibro (토론) 2020년 4월 24일 (금) 05:35 (KST)

문서 이동 기능을 통해 문서 제목을 "함안 성산산성"으로 이동하고 성산산성 문서는 동음이의 문서로 제작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빛의 편지 ❤(대화) · ✑(기여) 2020년 4월 24일 (금) 08:27 (KST)
찬성. --Xiàn (토론) 2020년 4월 24일 (금) 10:30 (KST)
승인 알겠습니다. 그러면 따로 이동하고 이 문서는 동음이의로 이동하고 성산산성 문서는 삭제하겠습니다. Busanlibro (토론) 2020년 5월 1일 (금) 06:33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