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궤도 가이드 시스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경전철]]
[[분류:경전철]]
[[파일:부산4호선.jpg|thumb|부산 4호선]]
[[파일:부산4호선.jpg|thumb|부산 4호선]]
자동궤도 가이드 시스템(Automated guideway transit;AGT)[[무인운전]]을 하는 [[궤도]] 시스템으로, [[경전철]]의 일종이다.
자동궤도 가이드 시스템(Automated guideway transit;AGT)[[무인운전]]을 하는 [[궤도]] 시스템으로, [[모노레일]]이나 [[노면전차]]를 제외한 [[경전철]]은 이것을 가리킨다.


== 특징 ==
== 특징 ==

2019년 12월 19일 (목) 23:14 판

자동궤도 가이드 시스템(Automated guideway transit;AGT)은 무인운전을 하는 궤도 시스템으로, 모노레일이나 노면전차를 제외한 경전철은 이것을 가리킨다.

특징

  • 무인운전
    처음부터 무인운전을 고려한 시스템으로, CBTC, 이동폐색식 등 철도 신호의 정수가 모여 있다. 거기에 무궤도인 경우 차량의 방향도 직접 잡아야 하므로 상당히 높은 수준의 기술을 요구한다.
  • 수요맞춤형
    부산 4호선 같은 장대열차부터 런던 히드로공항 주차장셔틀 같은 4~6인 탑승 형태까지 다양한 형태의 차량을 수요에 맞춰 투입할 수 있다.

종류

  • 철차륜
    기존 철도를 간단하게 설치한 수준으로 무인운전 구축이 어렵지 않으나 철도를 그대로 빼다박은 물건이다 보니 궤도를 주기적으로 보수해줘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 고무차륜
    무궤도 시스템으로 버스와 비슷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다. 기존 궤도교통과 달리 궤도레일이 없는 형태의 '궤도'를 만들어 주행할 수 있으며, 승차감에 가장 영향을 크게 끼치는 궤도의 보정소요가 전혀 없으므로 유지소요가 적다. 다만 아예 도로에서 달리는 것은 아니고 정해진 센서로 읽을 수 있는 구조물을 설치한 전용 경로에서 운영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