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천역: 두 판 사이의 차이

17번째 줄: 17번째 줄:
|후역폭=12em|후방면=[[익산역|익산]] 방면|후역=[[남포역 (보령)|남포]]|후거리=3.1 km}}
|후역폭=12em|후방면=[[익산역|익산]] 방면|후역=[[남포역 (보령)|남포]]|후거리=3.1 km}}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 여객열차 ===
{{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새마을호]]|1}}
{{경유 열차 목록/한국/새마을호/장항선|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무궁화호]]|1}}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용산-익산|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서해금빛열차]]|1|가로묶기=1}}
{{경유 열차 목록/한국/서해금빛열차|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승하차량==
==승하차량==
* 2016년까지 자료는 철도통계연보. 2017년 이후 자료는 [http://www.kric.go.kr/jsp/industry/rss/railstapassmonList.jsp 국토교통부 철도통계]
* 2016년까지 자료는 철도통계연보. 2017년 이후 자료는 [http://www.kric.go.kr/jsp/industry/rss/railstapassmonList.jsp 국토교통부 철도통계]

2019년 11월 4일 (월) 12:34 판

장항선의 철도역 중 하나.

개요

현재는 보령시외버스터미널 바로 근처에 고가 형태의 멋드러진 복선철도로 운영되고 있다. 보령머드축제대천해수욕장 때문에 매 여름마다 이용객이 상당한 수준이며, 보령 시내와 대천해수욕장을 잇는 시내버스 노선이 상시 운행되고 있기도 하다.

구 대천역

여기 말고, 동대동 시가지 기준으로 정반대쪽에, 단선철도 시절의 구 대천역이 위치해 있었다. 단선철도이며 역내에만 여러 개의 홈이 있는 방식이었는데, 보령시의 시가지가 구 대천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대천역이 이설되고 구 대천역이 폐업하면서 구 대천역의 위치엔 문화회관이 생겼고, 단선철도 시절 장항 방면으로 대천천을 넘어가던 단선철교는 보행자들을 위한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class="tp_link" style="width: 8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208 장항선
(87.6 km)
천안 방면
주포 8.3km
대천 익산 방면
남포 3.1 km

경유 열차

여객열차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새마을호/장항선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용산-익산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서해금빛열차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승하차량

대천역
연도 승차량 하차량 월평균
승차량 하차량
2017 581,447 595,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