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닫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 차량에서 ==
== 차량에서 ==
문이 있는 부분이 차체에서 움푹 들어가게 되어서 공기 저항을 받게 되기 때문에 고속 주행을 해야 하는 차량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플러그인 도어]]나 [[글라이딩 도어]]가 아닌 이상 문이 있는 부분이 차체에서 움푹 들어가게 되어서 공기 저항을 받게 되기 때문에 고속 주행을 해야 하는 차량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철도차량]]에는 [[도시철도]] 등 통근형 열차에 쓰이고 있다. 보통 2짝이 양쪽으로 열리는 데 부산 4호선 차량 전두부 도어는 한짝만 있다.
[[철도차량]]에는 [[도시철도]] 등 통근형 열차에 쓰이고 있다. 보통 2짝이 양쪽으로 열리는 데 부산 4호선 차량 전두부 도어는 한짝만 있다.

2019년 6월 19일 (수) 12:18 판

銀座の母 (22640469289).jpg

개요

문짝을 옆에 있는 벽 뒤로 움직여서 여는 또는 창문을 말한다. 좌우로 움직이는 건 똑같지만 열 때 문짝이 벽 뒤가 아닌 또다른 문짝 뒤로 간다면 미세기라고 말한다. 또 미닫이하고는 비슷하지만 문짝이 옆에 있는 벽보다 어긋난 위치로 앞뒤로 움직이는 과정이 추가된 플러그인 도어라는 것도 있다.

문짝 옆에 공간을 확보해야 설치할 수 있다. 문짝을 감추는 벽은 반대편에서 문짝이 보이게 할 수도 있고 겹벽으로 만들어서 벽과 벽 사이에 들어가게 할 수도 있다.[1] 그 공간을 두껍닫이(포켓)라고 말한다.

한쪽 방향에서 여러 짝의 문짝이 같이 움직이면서 열고 닫히게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걸 연동문(사이드 오픈)이라고 말한다. 대형 엘리베이터(병의원 및 화물용 등)이나 현관 중문에서 볼 수 있다. 보잉 767이 항공기 중 유일하게 상단으로 슬라이드되는 미닫이문을 가지고 있다.

건물에서

자동문에 많이 쓰이는 방식이다.

차량에서

플러그인 도어글라이딩 도어가 아닌 이상 문이 있는 부분이 차체에서 움푹 들어가게 되어서 공기 저항을 받게 되기 때문에 고속 주행을 해야 하는 차량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철도차량에는 도시철도 등 통근형 열차에 쓰이고 있다. 보통 2짝이 양쪽으로 열리는 데 부산 4호선 차량 전두부 도어는 한짝만 있다.

버스에는 두껍닫이 공간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중문에 쓰이고 있다. 일본에서는 저상버스에도 쓰이고 있다.

각주

  1. 후자의 방식을 포켓 슬라이딩 도어라고 말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