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
|-
| 전포대<br/>(전포대장 · 전포사격통제관)
| 전포대<br/>(전포대장 · 전포사격통제관)
| rowspan = 3 | 관측반<br/>(관측장교)
| rowspan = 2 | 관측반<br/>(관측장교)
| rowspan = 3 | 통신반<br/>(통신반장)
| rowspan = 2 | 통신반<br/>(통신반장)
|-
|-
| 포반<br/>(포반장)
| 포반<br/>(포반장)

2019년 3월 3일 (일) 20:31 판

K-9 1개 포대

Battery

가 팀을 이룬 것을 말하는 것. 대한민국 육군에선 포병중대를 포대라고 부르는데, 일반적인 중대와 다른 특수편제다. 대대 본부에 해당하는 본부포대는 본부중대와 비슷한 모습이지만 보병과 달리 대부분 독립대대로 편성되어 있어 대대의 권한이 크기 때문에 연대와 씨름하는 일이 적다.

소대-분대가 없고 전포대를 거쳐 포반이 편제되어 있다. 보통 1개 포대에 6개 포반과 포대본부가 편제되어 있다. 포대의 장도 중대장이 아니라 포대장이란 이름으로 따로 부른다.

포대 편제
포대 본부
(포대장 · 행정보급관)
전포대
(전포대장 · 전포사격통제관)
관측반
(관측장교)
통신반
(통신반장)
포반
(포반장)
  • 포대장
    포대의 지휘관으로, 보병 대대와 유사하게 포병 특기의 중위 ~ 대위가 보직되는 자리다. 포병대대는 통상 독립대대로 구성되므로 지휘계통이 짧아 권한을 행사하기 용이하다.
  • 전포대장
    포대의 화력인 전포대를 지휘하는 보직으로, 부사관인 행정보급관을 제외하면 포대 No.2에 준한다. 겉으로는 보병의 소대와 비슷하지만 포대에서 전포대를 빼면 껍대기에 불과하므로 무시할 수 없는 지위다. 실제로도 전포대장은 대대 중위들 중에서는 가장 고참인 경우가 많다. 가끔 관측반이 없는 포대에 떨어지면 포대장-전포대장 둘이서 나머지 부사관을 상대해야 한다.
  • 전포사격통제관
    전포대장을 보좌하는 보직으로, 중사급이 보직되는 자리다. 사격지휘반(FDC)을 실질적으로 지휘하는 자리로 FDC 병사들을 달달 볶는 존재. 상위 FDC(대대)에도 동일한 보직이 존재한다.
  • 포반장
    전포대 휘하의 각 포반을 지휘하는 보직으로 병사 분대장 ~ 하사급이 보직되는 자리다. 기준포에 해당하는 포반은 최선임이 들어가기 때문에 중사급이 보임되기도 한다. 간부 T/O가 어지간히 모자라지 않는 이상 병사가 들어가는 일은 잘 없다. 수 명의 병사들과 부대끼고 사는 보직이다 보니 사실상 분대장 역할을 하게 된다.
  • 관측장교
    포병의 눈인 관측반을 지휘하는 보직으로 포병 초임장교는 대개 관측장교로 떨어진다. 포병#관측에서도 볼 수 있듯이 포병 안에서 가장 많이 구르는 존재이기도 하다.
  • 통신반장
    포병의 동맥인 통신반을 지휘하는 보직으로 부사관이 보임된다. 짬이 차면 대대 통신소대로 옮겨가므로 하사~중사급이 들어간다.
  • 수송반
    포를 견인하거나 탄약을 수송할 차량이 포대에 배속되므로, 운전병도 일부 배속된다. 다만 차량 관리를 대대 본부에서 하므로 일반적으로 본부포대 병력처럼 취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