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모니터는 색감이 나쁘다: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태그: 모니위키(나무위키) 문법 사용이 의심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삼성디스플레이 및 [[삼성전자]]의 제품은 [[모니터]], [[노트북]], [[휴대전화]] 등의 디스플레이 색감이 나쁘다는 [[도시전설]].
[[삼성전자]]의 제품은 [[모니터]], [[노트북]], [[휴대전화]] 등의 디스플레이 색감이 나쁘다는 [[도시전설]]. 인터넷의 오랜 [[도시전설]] 중 하나이다. 이거 때문에 노트북까지 싸잡아서 까이곤 한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돈 쓰는 만큼 좋아진다".


== 진실 ==
== 진실 ==
삼성디스플레이와 삼성전자도 모니터, 노트북, 휴대전화를 포함해 우수한 성능의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며 판매한다. sRGB보다 넓은 색영역인 DCI-P3 및 Adobe RGB를 100% 이상 구현할 수 있고 10억 개 이상의 색을 표현할 수 있는 10비트 색상을 지원하는 제품이 판매되며, [[Apple]]을 비롯한 타사에도 납품된다. 유사 가격대의 타 제품 대비 및 저가 제품의 사양은 실정과 일치하는 문제일 수 있으나, 고사양 제품은 소프트웨어의 컬러 매니지먼트에서 비롯된 오해일 수 있다.   
삼성전자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납품하는 주요 협력기업 중 한곳인 삼성디스플레이는 세계적인 기업으로 크기를 가리지 않고 우수한 성능의 디스플레이를 제조하여 판매한다. sRGB보다 넓은 색영역인 DCI-P3 및 Adobe RGB를 100% 이상 구현할 수 있고 10억 개 이상의 색을 표현할 수 있는 10비트 색상을 지원하는 제품이 판매되며, [[Apple]]을 비롯한 타사에도 납품된다.  
 
유사 가격대의 타 제품 대비 및 저가 제품의 사양은 저가 부품을 쓰는 실정에서 비롯되는 문제가 대부분이고, 고사양 제품은 소프트웨어의 컬러 매니지먼트에서 비롯된 오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다양한 색공간에 대응하며 올바른 색상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가 색을 관리하는 적합한 컬러 매니지먼트 절차가 필요하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Android]]는 2017년 공개된 8.0 버전 Oreo 전까지 이를 지원하지 않아 기존보다 넓은 색영역을 가진 고품질의 디스플레이에서 올바른 색상을 표시할 수 없었고,<ref>{{웹 인용 |url=https://medium.com/@MadeDesignbyMe/디자이너-관점의-갤럭시s8-그리고-문제점-3256452a1d4f |제목= 디자이너 관점의 갤럭시S8, 그리고 문제점 – Designer Joel – Medium |저자=Designer Joel |날짜=2017.6.21. |웹사이트=Designer Joel – Medium |출판사= |확인날짜=2019.02.28. }}</ref> 갤럭시의 Oreo 업데이트에서도 해당 기능이 제외되었으며<ref>{{웹 인용 |url=https://blog.naver.com/pleon931206/221223855459 |제목= 오레오에서도 컬러매니지먼트를 지원 안하는 삼성 |저자=Plone |날짜=2018.3.7. |웹사이트= Plone |출판사= |확인날짜=2019.02.28. }}</ref> 컴퓨터에 탑재되는 [[Microsoft Windows]] 역시 컬러 매니지먼트를 불완전하게 지원하게 지원하는 문제가 있다.<ref>{{웹 인용 |url=http://colormgmt.com/221420573980 |제목= 윈도우10에서 정확한 컬러를 보여주는 영역은 도대체 어디? (부제. 캘리해봐야 뭔 소용..--;) |저자=prof howard |날짜=2018.12.17. |웹사이트=김환 교수의 컬러 매니지먼트 Howard's colormgmt.com |출판사= |확인날짜=2019.02.28. }}</ref>  
디스플레이가 다양한 색공간에 대응하며 올바른 색상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가 색을 관리하는 적합한 컬러 매니지먼트 절차가 필요하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Android]]는 2017년 공개된 8.0 버전 Oreo 전까지 이를 지원하지 않아 기존보다 넓은 색영역을 가진 고품질의 디스플레이에서 올바른 색상을 표시할 수 없었고,<ref>{{웹 인용 |url=https://medium.com/@MadeDesignbyMe/디자이너-관점의-갤럭시s8-그리고-문제점-3256452a1d4f |제목= 디자이너 관점의 갤럭시S8, 그리고 문제점 – Designer Joel – Medium |저자=Designer Joel |날짜=2017.6.21. |웹사이트=Designer Joel – Medium |출판사= |확인날짜=2019.02.28. }}</ref> 갤럭시의 Oreo 업데이트에서도 해당 기능이 제외되었으며<ref>{{웹 인용 |url=https://blog.naver.com/pleon931206/221223855459 |제목= 오레오에서도 컬러매니지먼트를 지원 안하는 삼성 |저자=Plone |날짜=2018.3.7. |웹사이트= Plone |출판사= |확인날짜=2019.02.28. }}</ref> 컴퓨터에 탑재되는 [[Microsoft Windows]] 역시 컬러 매니지먼트를 불완전하게 지원하게 지원하는 문제가 있다.<ref>{{웹 인용 |url=http://colormgmt.com/221420573980 |제목= 윈도우10에서 정확한 컬러를 보여주는 영역은 도대체 어디? (부제. 캘리해봐야 뭔 소용..--;) |저자=prof howard |날짜=2018.12.17. |웹사이트=김환 교수의 컬러 매니지먼트 Howard's colormgmt.com |출판사= |확인날짜=2019.02.28. }}</ref>  


이는 소프트웨어 지원상의 문제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캘리브레이션]]을 거치더라도 소프트웨어의 지원 업데이트 전까지는 완벽한 해결에 어려움이 있다. 컬러 매니지먼트를 완벽하게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거나 [[macOS]] 컴퓨터를 연결해 비교할 수 있는 문제로, 반대로 삼성 모니터가 색감이 화사하거나 타 모니터의 색감이 물이 빠진 듯 하다는 오해를 낳기도 한다.  
이는 소프트웨어 지원상의 문제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캘리브레이션]]을 거치더라도 소프트웨어의 지원 업데이트 전까지는 완벽한 해결에 어려움이 있다. 컬러 매니지먼트를 완벽하게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거나 [[macOS]] 컴퓨터를 연결해 비교할 수 있는 문제로, 반대로 삼성 모니터가 색감이 화사하거나 타 모니터의 색감이 물이 빠진 듯 하다는 오해를 낳기도 한다.  
== 억지 ==
* 몇년을 주구장창 쓴 삼성 모니터를 새로 산 타사 모니터와 비교하며 색감이 구리다는 이야길 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대부분 노후화로 인한 현상들이다.


{{각주}}
{{각주}}


[[분류:도시전설]]
[[분류:도시전설]]

2019년 2월 28일 (목) 14:55 판

삼성전자의 제품은 모니터, 노트북, 휴대전화 등의 디스플레이 색감이 나쁘다는 도시전설. 인터넷의 오랜 도시전설 중 하나이다. 이거 때문에 노트북까지 싸잡아서 까이곤 한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돈 쓰는 만큼 좋아진다".

진실

삼성전자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납품하는 주요 협력기업 중 한곳인 삼성디스플레이는 세계적인 기업으로 크기를 가리지 않고 우수한 성능의 디스플레이를 제조하여 판매한다. sRGB보다 넓은 색영역인 DCI-P3 및 Adobe RGB를 100% 이상 구현할 수 있고 10억 개 이상의 색을 표현할 수 있는 10비트 색상을 지원하는 제품이 판매되며, Apple을 비롯한 타사에도 납품된다.

유사 가격대의 타 제품 대비 및 저가 제품의 사양은 저가 부품을 쓰는 실정에서 비롯되는 문제가 대부분이고, 고사양 제품은 소프트웨어의 컬러 매니지먼트에서 비롯된 오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다양한 색공간에 대응하며 올바른 색상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가 색을 관리하는 적합한 컬러 매니지먼트 절차가 필요하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운영체제 Android는 2017년 공개된 8.0 버전 Oreo 전까지 이를 지원하지 않아 기존보다 넓은 색영역을 가진 고품질의 디스플레이에서 올바른 색상을 표시할 수 없었고,[1] 갤럭시의 Oreo 업데이트에서도 해당 기능이 제외되었으며[2] 컴퓨터에 탑재되는 Microsoft Windows 역시 컬러 매니지먼트를 불완전하게 지원하게 지원하는 문제가 있다.[3]

이는 소프트웨어 지원상의 문제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캘리브레이션을 거치더라도 소프트웨어의 지원 업데이트 전까지는 완벽한 해결에 어려움이 있다. 컬러 매니지먼트를 완벽하게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거나 macOS 컴퓨터를 연결해 비교할 수 있는 문제로, 반대로 삼성 모니터가 색감이 화사하거나 타 모니터의 색감이 물이 빠진 듯 하다는 오해를 낳기도 한다.

억지

  • 몇년을 주구장창 쓴 삼성 모니터를 새로 산 타사 모니터와 비교하며 색감이 구리다는 이야길 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대부분 노후화로 인한 현상들이다.

각주

  1. Designer Joel (2017.6.21.). 디자이너 관점의 갤럭시S8, 그리고 문제점 – Designer Joel – Medium, Designer Joel – Medium. 2019.02.28.에 확인.
  2. Plone (2018.3.7.). 오레오에서도 컬러매니지먼트를 지원 안하는 삼성, Plone. 2019.02.28.에 확인.
  3. prof howard (2018.12.17.). 윈도우10에서 정확한 컬러를 보여주는 영역은 도대체 어디? (부제. 캘리해봐야 뭔 소용..--;), 김환 교수의 컬러 매니지먼트 Howard's colormgmt.com. 2019.02.28.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