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성: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Unter님이 해성 대함미사일 문서를 해성 대함 미사일 문서로 이동하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띄어쓰기 표기 통일)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SSM-700K 해성'''은 [[대한민국]]의 아음속 대함미사일로, ADD에서 개발하고 넥스원에서 체계 개발 및 생산한{{ㅊ|크고 아름다운}} 국산 대함미사일이다.
'''SSM-700K 해성'''은 [[대한민국]]의 아음속 대함 미사일로,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개발하고 [[넥스원]]에서 체계 개발 및 생산한{{ㅊ|크고 아름다운}} 한국산 대함 미사일이다.


최대 사거리 180km로 대한민국 해군이 보유한 버전의 [[하푼]]과 비슷하거나 더 길며 정확도도 높아 해군에서 신뢰하는 무기체계중 하나이다
최대 사거리 180km로 대한민국 해군이 보유한 버전의 [[하푼]]과 비슷하거나 더 길며 정확도도 높아 대한민국 해군에서 신뢰하는 무기체계 중 하나다.


==특성==
==특성==
속도는 최대 M 0.8에서 0.9 사이의 아음속이며 유도는 여느 대함
속도는 최대 M 0.8에서 0.9 사이의 아음속이며 유도는 여느 대함 미사일과 같은 [[GPS]] 유도와 능동 유도방식을 병용하고 있다.
미사일과 같은 GPS 유도와 능동 유도방식을 병용하고 있다.


발사후 해성의 자체 레이더 탐지거리 내까지 GPS에 의존하여 여느 순항미사일같이 목표를 향해 비행하다가 어느 일정거리에 도달하면 미사일이 자체 시커(여기선 레이더)를 작동시켜 자체적으로 목표를 추적해 공격한다.
발사후 해성의 자체 레이더 탐지거리 내까지 GPS에 의존하여 여느 순항미사일같이 목표를 향해 비행하다가 어느 일정거리에 도달하면 미사일이 자체 시커(여기선 레이더)를 작동시켜 자체적으로 목표를 추적해 공격한다.


이때 다양한 회피기동을 선보이는데 수면에 밀착한 상태로 접근하거나 복잡한 선회를 하는 등 방공 체계를 회피하려 하며 이 외에도 갑자기 솓구친 후 목표를 향해 하강하는 팝 업 기동(Pop-up)을 하기도 한다 이또한 CIWS를 교란가능하며 특히 이지스 시스템의 맹점 (수직으로 접근하는 물체는 탐지가 어려움)을 노릴수 있다 사실 이런 기동은 러시아의 우란과 서방의 표준 대함미사일인 하푼과 엑조세도 가능한 해성만의 특출난 기능은 아니다 단지 조금더 복잡한 형태의 기동이 가능하다  
이때 다양한 회피기동을 선보이는데 수면에 밀착한 상태로 접근하거나 복잡한 선회를 하는 등 방공 체계를 회피하려 하며 이 외에도 갑자기 솟구친 후 목표를 향해 하강하는 팝 업 기동(Pop-up)을 하기도 한다. 이 또한 [[CIWS]]를 교란가능하며 특히 이지스 시스템의 맹점 (수직으로 접근하는 물체는 탐지가 어려움)을 노릴 수 있다. 사실 이런 기동은 러시아의 우란과 서방의 표준 대함 미사일인 하푼과 엑조세도 가능한 해성만의 특출난 기능은 아니다 단지 조금더 복잡한 형태의 기동이 가능하다 .


특이하게 쌍발 터보제트 엔진을 장비하여 단발 엔진보다 더 높은 기동력을 가지며 이는 해성의 장점이기도 하다  
특이하게 쌍발 터보제트 엔진을 장비하여 단발 엔진보다 더 높은 기동력을 가지며 이는 해성의 장점이기도 하다  


해군의 주력함정 대부분은 해성을 주 대함체계로 선택했으며 [[세종대왕급 구축함]]과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외에도 [[인천급 호위함]]과 대구급같은 신형 호위함  뿐만 아니라 [[미사일 고속함]]인 {{ㅊ|우주전함}}윤영하함의 주 대함 공격수단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함정 대부분은 해성을 주 대함 체계로 선택했으며, [[세종대왕급 구축함]]과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외에도 [[인천급 호위함]]과 [[대구급 호위함]] 같은 신형 호위함뿐만 아니라 [[미사일 고속함]]인 {{ㅊ|우주전함}} [[윤영하급 고속함]]의 주 대함 공격수단이기도 하다.


{{주석}}
{{주석}}
[[분류:대함 미사일]]
[[분류:대함 미사일]]

2017년 8월 9일 (수) 08:52 판

SSM-700K 해성대한민국의 아음속 대함 미사일로,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개발하고 넥스원에서 체계 개발 및 생산한크고 아름다운 한국산 대함 미사일이다.

최대 사거리 180km로 대한민국 해군이 보유한 버전의 하푼과 비슷하거나 더 길며 정확도도 높아 대한민국 해군에서 신뢰하는 무기체계 중 하나다.

특성

속도는 최대 M 0.8에서 0.9 사이의 아음속이며 유도는 여느 대함 미사일과 같은 GPS 유도와 능동 유도방식을 병용하고 있다.

발사후 해성의 자체 레이더 탐지거리 내까지 GPS에 의존하여 여느 순항미사일같이 목표를 향해 비행하다가 어느 일정거리에 도달하면 미사일이 자체 시커(여기선 레이더)를 작동시켜 자체적으로 목표를 추적해 공격한다.

이때 다양한 회피기동을 선보이는데 수면에 밀착한 상태로 접근하거나 복잡한 선회를 하는 등 방공 체계를 회피하려 하며 이 외에도 갑자기 솟구친 후 목표를 향해 하강하는 팝 업 기동(Pop-up)을 하기도 한다. 이 또한 CIWS를 교란가능하며 특히 이지스 시스템의 맹점 (수직으로 접근하는 물체는 탐지가 어려움)을 노릴 수 있다. 사실 이런 기동은 러시아의 우란과 서방의 표준 대함 미사일인 하푼과 엑조세도 가능한 해성만의 특출난 기능은 아니다 단지 조금더 복잡한 형태의 기동이 가능하다 .

특이하게 쌍발 터보제트 엔진을 장비하여 단발 엔진보다 더 높은 기동력을 가지며 이는 해성의 장점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함정 대부분은 해성을 주 대함 체계로 선택했으며, 세종대왕급 구축함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외에도 인천급 호위함대구급 호위함 같은 신형 호위함뿐만 아니라 미사일 고속함우주전함 윤영하급 고속함의 주 대함 공격수단이기도 하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