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업: 두 판 사이의 차이

13번째 줄: 13번째 줄:
==백업 방법==
==백업 방법==
* 단순 파일 복사
* 단순 파일 복사
*: 가장 무식한 방법이지만 꽤나 정확한 방법이다. [[클라우드]]나 [[하드디스크]], [[DAT]]로 대표되는 대용량 저장장치에다 별도 보관한다. 하드디스크의 용량대비 가격이 상당히 저렴한 편에 속하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이기도 하다. 단, 백업본을 하나만 유지할 경우 스냅샷 등의 기능이 미비할 경우 직전 백업본만 복구할 수 있다.
*: 가장 무식한 방법이지만 꽤나 정확한 방법이다. [[클라우드]]나 [[하드디스크]], [[DAT]]로 대표되는 대용량 저장장치에다 별도 보관한다. 하드디스크의 용량대비 가격이 상당히 저렴한 편에 속하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이기도 하다. 단, 백업본을 하나만 유지할 경우 스냅샷 등의 기능이 미비하다면 직전 백업본만 복구할 수 있다.
* 디스크 이미지를 뜨기  
* 디스크 이미지를 뜨기  
*: 과거 [[MS-DOS]] 시절 존재하던 [[미러]]가 이런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고스트]], 윈도우 백업 기능 등이 이런 방법이며 전체 백업, 증분 백업 등이 자유롭다. 복구에 전용툴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 과거 [[MS-DOS]] 시절 존재하던 [[미러]]가 이런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고스트]], 윈도우 백업 기능 등이 이런 방법이며 전체 백업, 증분 백업 등이 자유롭다. 복구에 전용툴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2017년 2월 18일 (토) 07:41 판

정보화 시대의 재난 대비

back-up

개요

특정 시점의 데이터를 복사, 보관하여 미래의 재난에 대비하는 행동. 중요 서류의 복사본을 준비하는 것도 백업의 일종이라 볼 수 있다.

종이 등의 물리적인 자료를 주로 사용할 때에는 그다지 중요한 부분이 아니었다. 내용이 적혀있는 종이나 사진을 찍은 필름 등을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서늘한 곳에 잘 보관하기만 해도 반은 먹고 들어가는 셈이었으니. 물론 문화재나 기밀 서류 정도 되면 향온향습 유지라던가 철통 보안 같은 게 필요하긴 하다.

이게 정보화 시대가 되면서 전자 자료가 주류를 이루게 되고, 저장 장치 1개의 파손으로 오랜 시간 동안 누적되어 온 정보를 한순간에 잃을 수 있는 수준에 이르자 백업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여러 매체에 분산 보관하는 것은 기본이고, 주요 기관들은 물리적으로 동떨어진 곳에 백업 시스템을 구축하여 자연재해에도 대비하고 있다.

잃어버리고 땅 치지 말고, 미리미리 준비해라. 백업만 잘 해 놓으면 자신만의 컬렉션 수 기가바이트를 날려도 안심된다

백업 방법

  • 단순 파일 복사
    가장 무식한 방법이지만 꽤나 정확한 방법이다. 클라우드하드디스크, DAT로 대표되는 대용량 저장장치에다 별도 보관한다. 하드디스크의 용량대비 가격이 상당히 저렴한 편에 속하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이기도 하다. 단, 백업본을 하나만 유지할 경우 스냅샷 등의 기능이 미비하다면 직전 백업본만 복구할 수 있다.
  • 디스크 이미지를 뜨기
    과거 MS-DOS 시절 존재하던 미러가 이런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고스트, 윈도우 백업 기능 등이 이런 방법이며 전체 백업, 증분 백업 등이 자유롭다. 복구에 전용툴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 RAID 구성
    RAID의 목적은 디스크 용량 확장과 운용 안정성 확보이며, 백업은 목적이 아니다!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