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름: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1번지에 자리하고 있는 높이 427m의 오름으로 이 금오름의 금은 (金)을 뜻...)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1번지에 자리하고 있는 높이 427m의 오름으로 이 금오름의 금은 [[금]](金)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검다는 말에서 파생된 뜻으로 검은오름라는 별명이 있다.{{ㅈ|입구 표지석에는 검은오름이라 적혀있다}} 참고로 [[제주시]] 연동의 [[검은오름]]의 경우 별명이 금오름으로 이 오름의 이름과 같은 별칭을 가지고 있어 두 오름이 같은 어원을 가지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1번지에 자리하고 있는 높이 427m의 [[오름]]으로 이 금오름의 금은 [[금]](金)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검다는 말에서 파생된 뜻으로 검은오름라는 별명이 있다.{{ㅈ|입구 표지석에는 검은오름이라 적혀있다}} 참고로 [[제주시]] 연동의 [[검은오름]]의 경우 별명이 금오름으로 이 오름의 이름과 같은 별칭을 가지고 있어 두 오름이 같은 어원을 가지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


또한 정상부에 자리한 원형의 굼부리(분화구)에는 작은 산정화구호가 자리하고 있으며 금악담 또는 왕매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은 편이어서 가뭄이 들 경우에는 바닥까지 모두 말라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정상부에 자리한 원형의 굼부리(분화구)에는 작은 산정화구호가 자리하고 있으며 금악담 또는 왕매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은 편이어서 가뭄이 들 경우에는 바닥까지 모두 말라버리는 경우가 있다.

2017년 1월 14일 (토) 14:40 판

개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1번지에 자리하고 있는 높이 427m의 오름으로 이 금오름의 금은 (金)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검다는 말에서 파생된 뜻으로 검은오름라는 별명이 있다.[1] 참고로 제주시 연동의 검은오름의 경우 별명이 금오름으로 이 오름의 이름과 같은 별칭을 가지고 있어 두 오름이 같은 어원을 가지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

또한 정상부에 자리한 원형의 굼부리(분화구)에는 작은 산정화구호가 자리하고 있으며 금악담 또는 왕매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은 편이어서 가뭄이 들 경우에는 바닥까지 모두 말라버리는 경우가 있다.

기타

  • 이 금오름은 정상부까지 차량으로 올라갈 수 있다. 다만 차도의 폭이 워낙 좁아서 마주치는 차가 있을 경우에는 중간에 있는 대피공간까지 폭풍후진을 해야 할 수도 있다.
  • 이 금오름의 정상부에서는 비양도, 차귀도의 조망이 가능하며 날씨가 맑을 경우 가파도마라도까지도 조망이 가능하다.
  • 이 금오름에는 패러글라이딩 활공장이 자리하고 있다. 물론 아무때나 가능한건 아니고 날씨 상황에 따라서는 활공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각주

  1. 입구 표지석에는 검은오름이라 적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