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Ho95kr: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연도별 한국 애니메이션]]
* [[연도별 한국 애니메이션]]
* [[:분류:연도별 교통]]
* [[:분류:연도별 교통]]
* [[철도 동호인/용어]]
= 메모장 =
= 메모장 =
공식적인 철도용어는 아니지만 철도와 관련된 은어, 속어, 철덕 용어를 정리하는 항목을 만들려고 합니다.


== 노선 ==
이번에 쓰는 항목은 스포일러가 있는 항목입니다. 프리파라 18화를 보지 않으신 분들은 스크롤을 내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 서지철 - [[서울 지하철]]의 준말.
 
* 부도철, 부지철 - [[부산 도시철도]](부산 지하철)의 준말.
== 개요 ==
* 인지철 - [[인천 도시철도]]의 준말.
프리파라에 나오는 캐릭터. 드레싱 파르페라는 팀에 속해 있다. 도로시하고 [[쌍둥이]] 관계다.  
* 공철 - [[공항철도]]의 준말.
== 실체 ==
* 공기철도 - 2단개 구간 개통 전까지 공기수송을 해서 붙여진 [[인천국제공항철도]]의 별명.
{{스포일러}}
* 강남리 마을 전철 - 강남 구간에 역이 너무 많기 때문에 생긴 [[분당선]]의 별명.
18화에서 [[여장남자]]라고 커밍아웃한다. 교복입고 학교에 가는데 넥타이, 단추 위치가 남학생 교복이랑 똑같고 하의도 치마가 아니라 바지다.
* 신붕탁선, 신붕당선 - [[신분당선]]의 별명.
 
* 뭥미은하레일 - [[월미은하레일]]의 별명.
이 부분이 한국에서는 어떻게 방송되는가가 한국 프리파라 팬들의 큰 관심사였다. 어떻게 되었냐면...
* 고자라인 - 수요가 [[영 좋지 않은 곳|영 좋지 않기]] 때문에 생긴 [[용인경전철]]의 별명.
==한국판에서==
* 용경 - 용인경전철의 준말.
{{인용문2|
* 의경 - [[의정부경전철]]의 준말.
"여기가 어디요?"
* 부김경, 브글 - [[부산-김해경전철]]의 준말.
 
* 쥐택시, 좃택시 - [[GTX]]의 별명.
"아... 대한민국이에요. 안심하세요. 프리파라가 드디어 한국에 진출했습니다. 한국에서도 많은 활동 부탁드립니다.
== 열차 등급 ==
 
* 케텍, 크특스 - [[KTX]](케이티엑스)를 한글로 줄여 적은 것.
"교복 넥타이 색깔이 바뀌었으니... 어떻게 된 거요?"
* 개택시, 코리안 택시 - KTX의 별명.
 
* 아택시, 잉택시 - [[ITX]]의 별명.
"아... 하필 그 장면이 아이들에게 영 좋지 않은 영향이 갈 것으로 판단됐어요."
** 잉청춘 - [[ITX-청춘]]의 별명.
 
** 잉마을, 잉새말 - [[ITX-새마을]]의 별명.
"그건 무슨 소리요?"
* 통큰열차 - [[통큰치킨]]처럼 통이 큰 가격 때문에 생긴 [[통근열차]]의 별명.
 
* 급헬 - 가축수송을 하는 급행열차(특히 [[서울 지하철 9호선]] 급행)의 별명.
"에... 어느 정도 예상은 하셨겠지만... 잘 알아두세요. 선생은 앞으로 한국에서 자신의 성별에 대한 언급을 할 수 없습니다. ... 다시 말해서 자신이 남자라고 밝히고 다닐 수가 없다는 것이오. , 가장 중요한 장면에 편집 및 수정이 가해졌다는 말입니다."
== 역 ==
 
* 스도 - [[스크린도어]]의 준말.
"뭐요? 이보시오, 이보시오 동우양반!"
* [[바로타]] - 개찰구 바로 앞에 승강장이 있는 역 구조를 이르는 말.
 
* [[막장환승]] - 환승 거리가 긴 것을 이르는 말
"안정을 취하세요. 수정 안하면 오히려 우리 쪽이 곤란해질 수 있어요. 그렇게 되면 걷잡지 못합니다."
* [[개념환승]] - 환승 거리가 짧은 것을 이르는 말.
 
* ㅇㅅ - [[오송역]]의 별명.
"나 이대로 이런 모습으로 출현할 수가 없소… 케이블, 케이블에서는 자르지 말아주십시오!"
* 광명국제공항 - 공항처럼 쓸떼없이 으리으리하게 지어서 생긴 [[광명역]]의 별명.
 
* 헬도림 - [[신도림역]]의 별명.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보세요! 먼저 방송한 곳은 지상파예요. 케이블도 마찬가지예요. 우리나라는 일본처럼 [[성진국]]이 아니여서 수정이 불가피했습니다. 교복 하의, 교복 상의의 단추 위치까지 수정됐어도 큰일 날 뻔했습니다. ... 무삭제판을 따로 준비하기가 번거로우니 당신의 성별에 대해서는 그냥 시청자들의 상상에 맡기세요."
* ㅊㅅㄷㅇㄱ, 철싸대입구 - [[이수역]]의 별명.
 
* 왕본좌 - 환승 노선이 많기 때문에 생긴 [[왕십리역]]의 별명.
"뭐라고, 무삭제판이 없다고? 아니 그보다도, 조금 전에 뭐라고 했나, 여장을 하고 다니고 커밍아웃을 하는 게 무슨 잘못이라구? 시청자들이 보기에는 진짜 여자인 줄로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런 말인가? 여자라니, 아니, 내가 여자라니! 이게 무슨 소리야! 에잇! 여자라니! 내가, 내가 여자라니! MBC 이놈, 이건 말도 안 돼, 말도 안 된다고 헣헣허!"
* 압구정소싸움역, 압구정소타기역 - [[압구정로데오역]]의 별명.  
|[[고자라니]] 패러디}}
* 국제없無지구역 - 사람이 없기 때문에 생긴 [[국제업무지구역]]의 별명.
== 차량 ==
* 알바 - 다른 노선에 속한 차량이 임시로 운행하는 것을 말한다.
* 상어 - [[KTX-I]]의 벌명. [[KTX-산천]]과 구별하기 위해 생겨난 별명인 듯 하다.
* 싸다싸 - [[CDC]]의 별명.
** 싸궁화 - [[RDC]]의 별명.
* 나도싸 - [[NDC]]의 별명.
* 특대 - [[특대형 디젤전기기관차]]의 준말.
* 봉고 - 봉고차처럼 생겨서 붙여진 [[7000호대 디젤 기관차]]의 별명.
* 보기 - [[보조기관차]]의 준말.
* 리미트 - [[SLS중공업|디자인 리미트]]에서 만든 [[무궁화호]] 객차를 이르는 말.
* 초저항 - 1974년부터 1989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1000호대 전동차]], [[서울메트로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의 별명. 우리나라 최초의 전동차다.
* 중저항 - 1986년부터 1992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 신저항 - 1994년부터 1997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 개조저항 - 1999년 이후로 도입, 개조한 [[코레일 1000호대 전동차]], [[서울메트로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의 별명.
* 납작이 - 1993년부터 1999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341000호대 전동차]], [[코레일 351000호대 전동차]] [[코레일 31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우리나라 최초의 [[VVVF]] 전동차다.
* 동글이 -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341000호대 전동차]], [[코레일 351000호대 전동차]] [[코레일 31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 뱀눈이 - 2005년부터 도입되고 있는 [[코레일]] 소속의 통근형 전동차의 별명.
== 운영사, 관련 기관 ==
* 서메 - [[서울메트로]]의 준말.
* 도철, 서도철 - [[서울도시철도공사]]의 준말.
* 인교공, 인메 - [[인천교통공사]](인천메트로)의 준말.
* 부교공 - [[부산교통공사]]의 준말.
* 구토부, 구토고통부, 구토해악부 - [[국토교통부]](국토해양부)의 별명.
* 한철공, 코렐 -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의 준말.
* 꾸려일 - 코레일의 별명.
* 철시공 -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준말.
* 매각공단 - 철도 [[민영화]] 논란 때문에 생긴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별명.
* 절도공사, 절도공단 - [[KBS]]의 코미디 프로그램인 [[폭소클럽]]의 '택배왔습니다'라는 코너에서 생긴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별명.
* 돈일본 - 돈을 많이 벌기로 유명해서 생긴 [[동일본 여객철도]]의 별명.
* 돈카이 - 이것도 돈일본에 이어서 돈을 많이 벌기 때문에 생긴 [[도카이 여객철도]]의 별명.
== 철도 동호인, 철도 문화 관련 ==
* 철덕, 철덕후 - [[철도 동호인]]의 별명.
* [[도중하차]] - 교통을 소재로 한 매드 무비를 이르는 말. [[니코동]]의 '대단한 도중하차 시리즈'가 시초다.
* [[철싸대]] - 철도 싸이코 대원의 줄임말로 철도계에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 철모 - [[철도모형]]의 준말
* 철박 - [[철도박물관]]의 준말.
== 기타 ==
* [[공기수송]] - 공기만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적은 상태를 이르는 말.
* [[가축수송]] - 사람이 아닌 가축을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많은 상태를 이르는 말.
* 지옥철 - 지옥같이 혼잡한 지하철을 이르는 말.
* [[티스푼 공사]] - 티스푼으로 파서 공사하듯이 느린 공사를 이르는 말.


{{각주}}
{{각주}}

2016년 5월 1일 (일) 19:41 판

완성된 프로젝트

지속적인 업데이트 필요.

메모장

이번에 쓰는 항목은 스포일러가 있는 항목입니다. 프리파라 18화를 보지 않으신 분들은 스크롤을 내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개요

프리파라에 나오는 캐릭터. 드레싱 파르페라는 팀에 속해 있다. 도로시하고 쌍둥이 관계다.

실체

내용 누설 주의 이 부분 아래에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열람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18화에서 여장남자라고 커밍아웃한다. 교복입고 학교에 가는데 넥타이, 단추 위치가 남학생 교복이랑 똑같고 하의도 치마가 아니라 바지다.

이 부분이 한국에서는 어떻게 방송되는가가 한국 프리파라 팬들의 큰 관심사였다. 어떻게 되었냐면...

한국판에서

"여기가 어디요?"

"아... 대한민국이에요. 안심하세요. 프리파라가 드디어 한국에 진출했습니다. 한국에서도 많은 활동 부탁드립니다.

"교복 넥타이 색깔이 바뀌었으니... 어떻게 된 거요?"

"아... 하필 그 장면이 아이들에게 영 좋지 않은 영향이 갈 것으로 판단됐어요."

"그건 무슨 소리요?"

"에... 어느 정도 예상은 하셨겠지만... 잘 알아두세요. 선생은 앞으로 한국에서 자신의 성별에 대한 언급을 할 수 없습니다. 에... 다시 말해서 자신이 남자라고 밝히고 다닐 수가 없다는 것이오. 에, 가장 중요한 장면에 편집 및 수정이 가해졌다는 말입니다."

"뭐요? 이보시오, 이보시오 동우양반!"

"안정을 취하세요. 수정 안하면 오히려 우리 쪽이 곤란해질 수 있어요. 그렇게 되면 걷잡지 못합니다."

"나 이대로 이런 모습으로 출현할 수가 없소… 케이블, 케이블에서는 자르지 말아주십시오!"

"이보세요! 먼저 방송한 곳은 지상파예요. 케이블도 마찬가지예요. 우리나라는 일본처럼 성진국이 아니여서 수정이 불가피했습니다. 교복 하의, 교복 상의의 단추 위치까지 수정됐어도 큰일 날 뻔했습니다. 아... 무삭제판을 따로 준비하기가 번거로우니 당신의 성별에 대해서는 그냥 시청자들의 상상에 맡기세요."

"뭐라고, 무삭제판이 없다고? 아니 그보다도, 조금 전에 뭐라고 했나, 여장을 하고 다니고 커밍아웃을 하는 게 무슨 잘못이라구? 시청자들이 보기에는 진짜 여자인 줄로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런 말인가? 여자라니, 아니, 내가 여자라니! 이게 무슨 소리야! 에잇! 여자라니! 내가, 내가 여자라니! MBC 이놈, 이건 말도 안 돼, 말도 안 된다고 헣헣허!"

고자라니 패러디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