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퍼온문서|불멸기원|13691015}} '''불멸기원'''(佛滅紀元)은 석가모니입멸한 해를 기준으로 삼는 연대 표기법이다. 줄여서 '''불기'''...)
 
(문법수정)
3번째 줄: 3번째 줄:
'''불멸기원'''(佛滅紀元)은 [[석가모니]]가 [[입멸]]한 해를 기준으로 삼는 연대 표기법이다. 줄여서 '''불기'''(佛紀)라고 말한다. 서기(西紀)에 544년, 일부 국가에서는 543년을 더하면 불기의 연도가 된다.
'''불멸기원'''(佛滅紀元)은 [[석가모니]]가 [[입멸]]한 해를 기준으로 삼는 연대 표기법이다. 줄여서 '''불기'''(佛紀)라고 말한다. 서기(西紀)에 544년, 일부 국가에서는 543년을 더하면 불기의 연도가 된다.


[[멸 (불교)|멸]](滅)은 [[적멸]](寂滅, {{llang|sa|[[:en:vyupaśama|<span style="color: black">vyupaśama</span>]]}}, {{llang|pi|[[:en:vūpasama|<span style="color: black">vūpasama</span>]]}})의 줄임말로, [[열반]](涅槃)을 뜻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113&DTITLE=%B7%C0 滅]". 2013년 2월 1일에 확인}} 또는 [[열반]]의 원어인 [[산스크리트어]] [[니르바나]]({{lang|sa|[[:en:nirvāṇa|<span style="color: black">nirvāṇa</span>]]}}) 또는 팔리어 [[니빠나]]({{lang|pi|[[:en:nibbāna|<span style="color: black">nibbāna</span>]]}})의 의역어들 중 하나이다.{{sfn|고려대장경연구소|loc="[http://kb.sutra.re.kr/ritk/service/diction/dicView.do?popupYn=Y&dicId=2280 멸 滅]". 2013년 2월 1일에 확인|quote=<br>"멸 滅:
[[멸 (불교)|멸]](滅)은 [[적멸]](寂滅, vyupaśama, vūpasama)의 줄임말로, [[열반]](涅槃)을 뜻한다.<ref>星雲, [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113&DTITLE=%B7%C0 滅]</ref> 또는 [[열반]]의 원어인 [[산스크리트어]] [[니르바나]](nirvāṇa) 또는 팔리어 [[니빠나]](nibbāna)의 의역어들 중 하나이다.<ref>고려대장경연구소, [http://kb.sutra.re.kr/ritk/service/diction/dicView.do?popupYn=Y&dicId=2280 멸 滅]</ref> 예를 들어, [[생사윤회]]의 원인인 [[번뇌]]를 [[해탈|벗어나]] [[적정 (불교)|적정]](寂靜)의 [[무위]]의 상태 즉 [[열반]]에 들어가는 것을 [[입멸]](入滅)이라고 한다. 특히 [[석가모니]]의 최후의 [[입멸]], 즉 육신의 죽음과 함께 [[반열반]](般涅槃)으로 들어간 것 즉 [[불생불멸]]의 [[법신]](法身)의 상태로 들어간 것을 '''불멸'''(佛滅)이라고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0%98%EC%97%B4%EB%B0%98&rowno=7 般涅槃(반열반)]". 2013년 2월 1일에 확인|quote=<br>"般涅槃(반열반): 【범】 parinirvāṇa 입멸(入滅)ㆍ멸도(滅度)ㆍ원적(圓寂)이라 번역. 열반(涅槃)이라고도 한다. 번뇌의 속박에서 해탈하고, 진리를 궁구하여 적멸무위(寂滅無爲)한 법의 성품을 깨달아, 불생 불멸하는 법신의 진제(眞際)에 돌아가는 것. 곧 부처님이 깨달으신 것. ⇒열반(涅槃)"}}{{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4%BD%9B%E6%BB%85&rowno=1 佛滅(불멸]". 2013년 2월 1일에 확인|quote=<br>"佛滅(불멸): 석존의 목숨이 마쳤다는 것. 범부에게는 죽는다는 것을 부처님에게는 열반(涅槃)이라 하고, 열반은 멸(滅)ㆍ멸도(滅度)라 번역하므로 부처님이 돌아가신 것을 불멸이라 함. 불멸 연대에는 여러 가지 다른 말이 있음.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써 오던 B.C. 1027년(주나라 소왕 26) 갑인 4월 8일에 탄생하여 B.C. 949(목왕 53) 임신 2월 15일에 입멸하였다는 말. 세일론에서 전하는 B.C. 543 설, 태국과 버마에서 전하는 B.C. 544설, Turnour의 B.C. 485 설, 『중성점기』에 의한 B.C. 485 설, Cunningham의 B.C. 477 설, 또 그가 후년(後年)에 말한 B.C. 478 설, Max Mūller의B.C. 477 설, Fleet의 B.C. 483 설, V. Smith의 B.C. 487 설 등이 있거니와, 1956년 네팔 수도 카트만드에서 열린 제4차 세계 불교도 대회에서 불멸 연대를 통일하여 불멸 후 2500년을 1956년으로 결정함. ⇒사월파일(四月八日)"}}
<br>ⓟnibbāna
<br>ⓣmya ngan las ’da’ ba
<br>ⓢnirvāṇa
<br>ⓔthe cessation
<br>1]열반의 뜻을 옮긴 말.
⇒ 열반(涅槃)."}} 예를 들어, [[생사윤회]]의 원인인 [[번뇌]]를 [[해탈|벗어나]] [[적정 (불교)|적정]](寂靜)의 [[무위]]의 상태 즉 [[열반]]에 들어가는 것을 [[입멸]](入滅)이라고 한다. 특히 [[석가모니]]의 최후의 [[입멸]], 즉 육신의 죽음과 함께 [[반열반]](般涅槃)으로 들어간 것 즉 [[불생불멸]]의 [[법신]](法身)의 상태로 들어간 것을 '''불멸'''(佛滅)이라고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0%98%EC%97%B4%EB%B0%98&rowno=7 般涅槃(반열반)]". 2013년 2월 1일에 확인|quote=<br>"般涅槃(반열반): 【범】 parinirvāṇa 입멸(入滅)ㆍ멸도(滅度)ㆍ원적(圓寂)이라 번역. 열반(涅槃)이라고도 한다. 번뇌의 속박에서 해탈하고, 진리를 궁구하여 적멸무위(寂滅無爲)한 법의 성품을 깨달아, 불생 불멸하는 법신의 진제(眞際)에 돌아가는 것. 곧 부처님이 깨달으신 것. ⇒열반(涅槃)"}}{{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4%BD%9B%E6%BB%85&rowno=1 佛滅(불멸]". 2013년 2월 1일에 확인|quote=<br>"佛滅(불멸): 석존의 목숨이 마쳤다는 것. 범부에게는 죽는다는 것을 부처님에게는 열반(涅槃)이라 하고, 열반은 멸(滅)ㆍ멸도(滅度)라 번역하므로 부처님이 돌아가신 것을 불멸이라 함. 불멸 연대에는 여러 가지 다른 말이 있음.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써 오던 B.C. 1027년(주나라 소왕 26) 갑인 4월 8일에 탄생하여 B.C. 949(목왕 53) 임신 2월 15일에 입멸하였다는 말. 세일론에서 전하는 B.C. 543 설, 태국과 버마에서 전하는 B.C. 544설, Turnour의 B.C. 485 설, 『중성점기』에 의한 B.C. 485 설, Cunningham의 B.C. 477 설, 또 그가 후년(後年)에 말한 B.C. 478 설, Max Mūller의B.C. 477 설, Fleet의 B.C. 483 설, V. Smith의 B.C. 487 설 등이 있거니와, 1956년 네팔 수도 카트만드에서 열린 제4차 세계 불교도 대회에서 불멸 연대를 통일하여 불멸 후 2500년을 1956년으로 결정함. ⇒사월파일(四月八日)"}}


== 학설 ==
== 학설 ==

2015년 7월 17일 (금) 13:34 판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불멸기원 문서 13691015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

불멸기원(佛滅紀元)은 석가모니입멸한 해를 기준으로 삼는 연대 표기법이다. 줄여서 불기(佛紀)라고 말한다. 서기(西紀)에 544년, 일부 국가에서는 543년을 더하면 불기의 연도가 된다.

(滅)은 적멸(寂滅, vyupaśama, vūpasama)의 줄임말로, 열반(涅槃)을 뜻한다.[1] 또는 열반의 원어인 산스크리트어 니르바나(nirvāṇa) 또는 팔리어 니빠나(nibbāna)의 의역어들 중 하나이다.[2] 예를 들어, 생사윤회의 원인인 번뇌벗어나 적정(寂靜)의 무위의 상태 즉 열반에 들어가는 것을 입멸(入滅)이라고 한다. 특히 석가모니의 최후의 입멸, 즉 육신의 죽음과 함께 반열반(般涅槃)으로 들어간 것 즉 불생불멸법신(法身)의 상태로 들어간 것을 불멸(佛滅)이라고 한다.틀:Sfn틀:Sfn

학설

석가모니가 입멸한 해에 대해서 북방불교에서는 기원전 383년 설, 남방불교에서는 기원전 483년 설이 지배적이다.

1960년대까지 대한민국에서는 기원전 1027년 4월 8일 석가모니가 탄생하여 기원전 948년 2월 15일에 입멸하였다는 설을 채택하였다. 이에 따르면 2015년은 불기 2963년이다.

스리랑카 및 타이에 전해 온다. 현재 타이 왕국에서는 서기 연도에 543을 더한 연도를 불기로 사용하고 있다.

타이와 미얀마에 전해 온다. 제4차 세계불교도대회1956년 11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서 열렸다. 이 때 불교국가마다 서로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불기를 통일하기로 결의하고 1956년을 불기 2500년으로 정했다. 또한 양력 5월 15일부처님오신날로 결정하였다. 세계불교도대회에서는 석가모니의 생존시기를 기원전 624년기원전 544년으로 공식 채택하였다. 대한민국의 대표로는 청담, 효봉, 동산 스님이 참석하였다. 1970년 이후, 대한민국 조계종세계불교도대회의 공식 채택 기준인 544년 설을 취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2015년은 불기 2559년이다. 그러나 부처님오신날은 세계불교도대회의 양력 5월 15일을 채택하지 않고, 음력 4월 8일을 채택하고 있다.

중성점기(衆聖點記)에 의해 주장되었다.

빌헬름 가이거가 주장했다.

막스 뮐러가 주장했다.

일본 도쿄 대학의 불교학자인 우이 하쿠주(宇井伯壽)가 주장했다.

일본의 불교학자인 나카무라 하지메(中村元)가 주장했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주석

  1. 星雲,
  2. 고려대장경연구소, 멸 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