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 저기압: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_([^]]*)\]\] +\1 \2))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지구과학]]
[[분류:기상현상]]
'''熱帶低氣壓 / tropical cyclone, tropical depression'''
'''熱帶低氣壓 / tropical cyclone, tropical depression'''
==개요==
 
해수면의 온도가 27℃이상인 해역에서 발생하는 열대지지방의 저기압을 의미한다. [[온대 저기압]]과는 달리 [[전선 (기상현상)|전선]]을 동반하지 않으며 대부분 폭풍우를 동반하고 중심부는 동심원의 형태에 가까운 기압배치를 보여준다.
해수면의 온도가 27℃이상인 해역에서 발생하는 열대지방의 저기압을 의미한다. [[온대 저기압]]과는 달리 [[전선 (기상현상)|전선]]을 동반하지 않으며 대부분 폭풍우를 동반하고 중심부는 동심원의 형태에 가까운 기압배치를 보여준다.


==지역별 명칭==
==지역별 명칭==
33번째 줄: 31번째 줄:


{{주석}}
{{주석}}
[[분류:지구과학]]
[[분류:기상현상]]

2022년 10월 2일 (일) 23:24 판

熱帶低氣壓 / tropical cyclone, tropical depression

해수면의 온도가 27℃이상인 해역에서 발생하는 열대지방의 저기압을 의미한다. 온대 저기압과는 달리 전선을 동반하지 않으며 대부분 폭풍우를 동반하고 중심부는 동심원의 형태에 가까운 기압배치를 보여준다.

지역별 명칭

열대 저기압 중 중심풍속이 35노트(시속 약 62~65km) 미만일 경우에는 열대저기압 또는 열대저압부(TD)로 통칭하지만 35노트 이상의 풍속일 경우에는 고유 명칭이 부여되며 지역별로 다음과 같이 통칭한다.(단 35노트를 갓 넘은 열대저기압은 분류상 열대폭풍으로 취급한다.)

  • 사이클론 : 인도양, 호주 북부, 벵골만, 아라비아쪽의 해역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 간혹 온대 저기압에도 사이클론이라는 명칭을 붙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열대 사이클론(Tropical Cyclone)이라고 따로 구분하기도 한다. 참고로 온대저기압의 경우는 Extratropiacl Cyclone이라고 따로 적는다.
    • 호주 북쪽에서 발생하여 돌아다니는 열대 저기압을 윌리윌리라는 명칭으로 불렀으나, 사이클론에 통합되어 명칭을 붙인다.
  • 태풍 :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을 일컫는 말
  • 허리케인 : 카리브해, 멕시코 만을 포함한 대서양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 이외에 북태평양 중 날짜변경선 동쪽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도 허리케인으로 기록을 한다.

발달과정

  1. 열대요란 발생 : 적도 인근 저위도 지역 해양에는 적도 수렴대라고 하는 저기압 구역이 동서로 광범위하게 자리하고 있다. 이 구역 인근에서 발생하는 기류의 요동이 국지적인 상승류를 강하게 발달시켜 대기가 상승하는 수렴구역(저기압 구역)을 생성하게 된다.
  2. 저기압구역의 성장 : 대부분의 열대요란은 이내 소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해수 온도와 주변 기압 배치상태 등의 조건이 충족될 경우 저기압 구역이 성장하면서 점차 원형의 상승구역을 만들어 가게 된다.
  3. 열대폭풍으로의 성장 : 어느 정도 성장한 저기압 구역에서 수직으로 상승하는 상승류가 강하게 발달할 경우 열대폭풍이나 그 이상의 등급(태풍, 사이클론 등)으로 커지게 되며 전향력에 의해 자체적인 이동 방향을 가지게 되며 주변 기류가 있을 경우 그 기류에 떠밀려 이동하기 시작한다.
  4. 완전히 성장한 열대폭풍은 저위도에서 중위도 지역으로 이동하는 특성을 보이며 주로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 강하게 발달한 열대폭풍의 경우 태풍의 눈이라고 불리는 구역이 위성에서도 관측될 정도로 연직상승작용이 강하게 일어난다.
  5. 중위도지역 혹은 저위도 다른 구역으로 이동한 열대폭풍은 육지와 만나거나 고위도의 찬 공기와 만나면서 상승류를 유지할 에너지를 상실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모아온 수증기들을 점차 잃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저기압부가 완전히 소멸하거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게 된다.

단, 모든 열대 저기압이 열대요란에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몬순저기압의 변질이나 저압 영역(LPA)의 발달로 발생하기도 한다.

특성

  • 지상 일기도 영역에서 보면 저기압 중심부를 중심으로 등압선이 동심원 모양을 그린다.
  • 저기압에 동반된 구름의 생성은 순수하게 대기의 연직운동에 의한 상승기류에 의해 만들어진다. 즉, 서로 다른 공기덩어리가 충돌하는 경계선인 전선대를 동반하지 않으며, 당연히 전선대에 의한 상승기류는 존재하지 않는다.
  • 저기압 중심부로 갈수록 강풍이 거세진다. 온대 저기압의 경우 저기압 중심부보다는 주변부가, 그리고 전선대 인근의 강풍이 더 강한 편이지만 열대 저기압은 그런거 없이 중심부의 강풍이 가장 강한 편에 속한다.

참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