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韓: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자 유래}})
잔글 (→‎한자 유래/서체: replaced: == 한자 유래 == → == 한자 유래/서체 ==, {{한자 유래}} → {{한자 유래}}{{한자 서체}})
15번째 줄: 15번째 줄:
|병음 = hán
|병음 = hán
}}</onlyinclude>
}}</onlyinclude>
== 한자 유래 ==
== 한자 유래/서체 ==
{{한자 유래}}
{{한자 유래}}{{한자 서체}}


[[대한민국]]의 국호에 사용되는 한자이다. 고대에는 삼한시대의 한반도 남부 도시국가들을 지칭하는 마'한', 진'한', 변'한'이라는 단어에 사용되었다. [[한복]], [[한옥]]처럼 한국 전통문화와 관련된 것들은 모두 韓자가 붙는다. [[일본]]의 화복, [[화지]]처럼 和(화)자가 붙는 것과 같다. 한국을 상징하는 한자인 셈이다.
[[대한민국]]의 국호에 사용되는 한자이다. 고대에는 삼한시대의 한반도 남부 도시국가들을 지칭하는 마'한', 진'한', 변'한'이라는 단어에 사용되었다. [[한복]], [[한옥]]처럼 한국 전통문화와 관련된 것들은 모두 韓자가 붙는다. [[일본]]의 화복, [[화지]]처럼 和(화)자가 붙는 것과 같다. 한국을 상징하는 한자인 셈이다.

2021년 8월 29일 (일) 21:14 판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97D3
부 17획
뜻과 소리
속자
CJK Unified Ideographs
U+97D3
부 17획
뜻과 소리
훈독(訓読)から
음독(音読)
오음(呉音)ガン
한음(漢音)カン
CJK Unified Ideographs
U+97E9
부 12획
뜻과 소리
병음hán

한자 유래/서체

틀:한자 유래

대한민국의 국호에 사용되는 한자이다. 고대에는 삼한시대의 한반도 남부 도시국가들을 지칭하는 마'한', 진'한', 변'한'이라는 단어에 사용되었다. 한복, 한옥처럼 한국 전통문화와 관련된 것들은 모두 韓자가 붙는다. 일본의 화복, 화지처럼 和(화)자가 붙는 것과 같다. 한국을 상징하는 한자인 셈이다.

한국, 중국의 성씨, 일본의 지명 등에도 사용된다.

용례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