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이념}} ==개요== 사유재산을 부정하고 공유재산을 중심으로 하는 사상. 생산 수단의 사회적 공유를 토대로 하여 계급 없는 사회를 지향한...)
 
잔글 (→‎개요)
5번째 줄: 5번째 줄:
이 사상의 이론적 기초는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 자연 변증법 등이다.
이 사상의 이론적 기초는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 자연 변증법 등이다.


대체로 각 나라의 현실에 맞게{{ㅊ|라고 쓰고 지도자 동지 마음에 들게라고 읽는다}} 고쳐진 부분들이 있으며 이를 수정주의라고 한다. 반대로 본래의 이론과 사상을 바꾸지 않는 교조주의가 있으며, 중{{,}}소 분쟁 당시 [[중국]]에서 [[소련]]을 수정주의라고 비난하자 반대로 [[소련]]은 [[중국]]을 교조주의라고 비난하면서 일종의 병림픽을 벌이기도 하였었다.
대체로 각 나라의 현실에 맞게{{ㅊ|라고 쓰고 지도자 동지 마음에 들게라고 읽는다}} 고쳐진 부분들이 있으며 이를 수정주의라고 한다. 반대로 본래의 이론과 사상을 바꾸지 않는 교조주의가 있으며, 중{{,}}소 분쟁 당시 [[중국]]에서 [[소련]]을 수정주의라고 비난하자 반대로 [[소련]]은 [[중국]]을 교조주의라고 비난하면서 일종의 병림픽을 벌이기도 하였었다. 그 와중에 북한은 주체사상을 만들고 있었다(...)


==이상==
==이상==

2015년 5월 26일 (화) 01:52 판

틀:이념

개요

사유재산을 부정하고 공유재산을 중심으로 하는 사상. 생산 수단의 사회적 공유를 토대로 하여 계급 없는 사회를 지향한다. 통상 마르크스엥겔스 등에 의하여 이론이 체계화되었고[1], 레닌, 스탈린 등에 의하여 계승되었다고 본다.

이 사상의 이론적 기초는 변증법유물론과 사적 유물론, 자연 변증법 등이다.

대체로 각 나라의 현실에 맞게라고 쓰고 지도자 동지 마음에 들게라고 읽는다 고쳐진 부분들이 있으며 이를 수정주의라고 한다. 반대로 본래의 이론과 사상을 바꾸지 않는 교조주의가 있으며, 중 · 소 분쟁 당시 중국에서 소련을 수정주의라고 비난하자 반대로 소련중국을 교조주의라고 비난하면서 일종의 병림픽을 벌이기도 하였었다. 그 와중에 북한은 주체사상을 만들고 있었다(...)

이상

현실

이 사상의 영향을 받아들여 세워진 국가

문명 시리즈에서의 공산주의

문명1

문명2

문명3

문명4

문명5


각주

  1. 사실 이러한 사상은 아주 오래된 사상이라고 볼 수 있다. 심지어 성경사도행전에서 묘사된 초기 교회의 모습도 사실 알고보면 공산주의 사회와 다를게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