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장: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음식이나 식재료를 소금으로 절여서 부패를 막는 저장방법.
음식이나 식재료를 소금으로 절여서 부패를 막는 저장방법.


[[젓갈]], 일부 간장이나 된장을 안쓴 소금만으로 절인 장아찌, [[김치]], 일부 [[햄]]이나 소세지 등 모두 염장처리한 음식에 속한다. 이 저장방식은 문명의 이기 냉장고가 인류에게 축복을 내리기 전까지 가장 중요한 저장 방식이었다. 설탕이나 꿀로 절여서 보관하는 방식은 설탕이나 꿀이 빈민이 구하기 힘든 원료이기 때문에 비교적 바다만 근접해 있다면 구할 수 있는 소금으로 저장했다.
[[젓갈]], 일부 [[간장]]이나 [[된장]]을 안쓴 소금만으로 절인 장아찌, [[김치]], 일부 [[햄]]이나 소세지 등 모두 염장처리한 음식에 속한다. 이 저장방식은 문명의 이기 냉장고가 인류에게 축복을 내리기 전까지 가장 중요한 저장 방식이었다. 설탕이나 꿀로 절여서 보관하는 방식은 설탕이나 꿀이 빈민이 구하기 힘든 원료이기 때문에 비교적 바다만 근접해 있다면 구할 수 있는 소금으로 저장했다.


10%이상의 소금 농도가 되면 대부분의 부패균의 증식을 막을 수 있지만 냉장고가 보급된 현대에는 소금을 과다 섭취하면 건강에 안좋다는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소금 농도를 낮추어 생산되는 경우가 많다.
10%이상의 소금 농도가 되면 대부분의 부패균의 증식을 막을 수 있지만 냉장고가 보급된 현대에는 소금을 과다 섭취하면 건강에 안좋다는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소금 농도를 낮추어 생산되는 경우가 많다.

2015년 5월 24일 (일) 16:03 판

음식이나 식재료를 소금으로 절여서 부패를 막는 저장방법.

젓갈, 일부 간장이나 된장을 안쓴 소금만으로 절인 장아찌, 김치, 일부 이나 소세지 등 모두 염장처리한 음식에 속한다. 이 저장방식은 문명의 이기 냉장고가 인류에게 축복을 내리기 전까지 가장 중요한 저장 방식이었다. 설탕이나 꿀로 절여서 보관하는 방식은 설탕이나 꿀이 빈민이 구하기 힘든 원료이기 때문에 비교적 바다만 근접해 있다면 구할 수 있는 소금으로 저장했다.

10%이상의 소금 농도가 되면 대부분의 부패균의 증식을 막을 수 있지만 냉장고가 보급된 현대에는 소금을 과다 섭취하면 건강에 안좋다는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소금 농도를 낮추어 생산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