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 철도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자동 찾아 바꾸기: 「 선]]」(을)를 「선]]」(으)로)
(자동 찾아 바꾸기: 「 역|」(을)를 「역|」(으)로)
44번째 줄: 44번째 줄:
=== 장거리편 ===
=== 장거리편 ===
네덜란드 철도의 자회사 NS International (구 NS Hispeed) 등이 운행한다.
네덜란드 철도의 자회사 NS International (구 NS Hispeed) 등이 운행한다.
*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 100''' (독일 '''ICE 43'''): [[암스테르담 중앙역|암스테르담]] - [[위트레흐트 중앙역|위트레흐트]] - [[아른험 중앙역|아른험]] → [[바젤 SBB 역|바젤]] 방면
*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 100''' (독일 '''ICE 43'''): [[암스테르담 중앙역|암스테르담]] - [[위트레흐트 중앙역|위트레흐트]] - [[아른험 중앙역|아른험]] → [[바젤 SBB역|바젤]] 방면
* '''ICE 120/220''' (독일 '''ICE 78'''): 암스테르담 - 위트레흐트 - 아른험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프랑크푸르트]] 방면
* '''ICE 120/220''' (독일 '''ICE 78'''): 암스테르담 - 위트레흐트 - 아른험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프랑크푸르트]] 방면
* '''CNL 400''' ('''CNL 419/418/40419/40478'''): 암스테르담 - 위트레흐트 - 아른험 → [[뮌헨 중앙역|뮌헨]] · [[취리히 중앙역|취리히]] 방면)
* '''CNL 400''' ('''CNL 419/418/40419/40478'''): 암스테르담 - 위트레흐트 - 아른험 → [[뮌헨 중앙역|뮌헨]] · [[취리히 중앙역|취리히]] 방면)
50번째 줄: 50번째 줄:
=== 급행 열차 ===
=== 급행 열차 ===
NS의 Intercity. DB의 InterCity와는 조금 다른 운행 패턴을 보인다. 독일로 치면 RegionalExpress급에 해당.
NS의 Intercity. DB의 InterCity와는 조금 다른 운행 패턴을 보인다. 독일로 치면 RegionalExpress급에 해당.
* '''IC 800''': [[마스트리흐트 역|마스트리흐트]] 방면 → 위트레흐트 - 암스테르담 → [[알카마르 역|알카마르]] 방면
* '''IC 800''': [[마스트리흐트역|마스트리흐트]] 방면 → 위트레흐트 - 암스테르담 → [[알카마르역|알카마르]] 방면
* '''IC 1400''': 위트레흐트 - 암스테르담 → [[로테르담 중앙역|로테르담]] 방면
* '''IC 1400''': 위트레흐트 - 암스테르담 → [[로테르담 중앙역|로테르담]] 방면
* '''IC 3000''': [[네이메헌 역|네이메헌]] → 아른험 - [[에데-바헤닝언 역|에데-바헤닝언]] - 위트레흐트 - 암스테르담 → [[덴헬더 역|덴헬더]] 방면
* '''IC 3000''': [[네이메헌역|네이메헌]] → 아른험 - [[에데-바헤닝언역|에데-바헤닝언]] - 위트레흐트 - 암스테르담 → [[덴헬더역|덴헬더]] 방면
* '''IC 3100''': [[스히폴 역|스히폴]] 방면 → 위트레흐트 - 에데-바헤닝언 - 아른험 → 네이메헌 방면
* '''IC 3100''': [[스히폴역|스히폴]] 방면 → 위트레흐트 - 에데-바헤닝언 - 아른험 → 네이메헌 방면
* '''Sneltrein 20000''' / '''RE 19''' '''라인-에이설 급행''': 아른험 - 제번나르 → [[뒤셀도르프 중앙역|뒤셀도르프]] 방면
* '''Sneltrein 20000''' / '''RE 19''' '''라인-에이설 급행''': 아른험 - 제번나르 → [[뒤셀도르프 중앙역|뒤셀도르프]] 방면


=== 보통 열차 ===
=== 보통 열차 ===
NS의 Sprinter. 보통 열차이며, RE로도 표기되는 경우가 있으나 여기서는 NS에서 정식으로 사용 중인 약어 Sp를 쓴다. 다만 본 노선은 보통 열차가 다니는 노선보다는 장거리나 급행 열차 위주로 다니기 때문에 보통 열차의 수는 생각보다는 적다. 어차피 병행한 노선 중 보통 열차가 다니는 노선이 있으므로 보통 그 쪽을 쓰면 된다.
NS의 Sprinter. 보통 열차이며, RE로도 표기되는 경우가 있으나 여기서는 NS에서 정식으로 사용 중인 약어 Sp를 쓴다. 다만 본 노선은 보통 열차가 다니는 노선보다는 장거리나 급행 열차 위주로 다니기 때문에 보통 열차의 수는 생각보다는 적다. 어차피 병행한 노선 중 보통 열차가 다니는 노선이 있으므로 보통 그 쪽을 쓰면 된다.
* '''Sp 7400''': 암스테르담 - 위트레흐트 → [[레넌 역|레넌 방면]]
* '''Sp 7400''': 암스테르담 - 위트레흐트 → [[레넌역|레넌 방면]]
* '''Sp 17400''': [[브뢰컬런 역|브뢰컬런]] - 위트레흐트
* '''Sp 17400''': [[브뢰컬런역|브뢰컬런]] - 위트레흐트


또, 일부 구간에서는 오픈 억세스를 통해 사철이 운행된다.
또, 일부 구간에서는 오픈 억세스를 통해 사철이 운행된다.
78번째 줄: 78번째 줄:
|-
|-
| style="text-align: right;" | -0.5<ref name="minusdist" />
| style="text-align: right;" | -0.5<ref name="minusdist" />
| [[암스테르담 마위더포르트 역|암스테르담 마위더포르트]]
| [[암스테르담 마위더포르트역|암스테르담 마위더포르트]]
| Amsterdam Muiderpoort
| Amsterdam Muiderpoort
| [[동부 철도선|동부 철도선 <small>(암스테르담-쥣펀 선)</small>]]
| [[동부 철도선|동부 철도선 <small>(암스테르담-쥣펀 선)</small>]]
88번째 줄: 88번째 줄:
|-
|-
| style="text-align: right;" | 1.5
| style="text-align: right;" | 1.5
| [[암스테르담 암스털 역|암스테르담 암스털]]
| [[암스테르담 암스털역|암스테르담 암스털]]
| Amsterdam Amstel
| Amsterdam Amstel
|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f8991c; color: white;">&nbsp;51&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d91921; color: white;">&nbsp;53&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fcd15; color: black;">&nbsp;54&nbsp;</span>)
|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f8991c; color: white;">&nbsp;51&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d91921; color: white;">&nbsp;53&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fcd15; color: black;">&nbsp;54&nbsp;</span>)
|-
|-
| style="text-align: right;" | 4.4
| style="text-align: right;" | 4.4
| [[다위번트레흐트 역|다위번트레흐트]]
| [[다위번트레흐트역|다위번트레흐트]]
| Duivendrecht
| Duivendrecht
| [[스키폴 선|스키폴 선 <small>(베이스프-라이던 선)</small>]]<br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00ab4e; color: white;">&nbsp;5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fcd15; color: black;">&nbsp;54&nbsp;</span>)
| [[스키폴 선|스키폴 선 <small>(베이스프-라이던 선)</small>]]<br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00ab4e; color: white;">&nbsp;5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fcd15; color: black;">&nbsp;54&nbsp;</span>)
|-
|-
| style="text-align: right;" | 5.9
| style="text-align: right;" | 5.9
| [[암스테르담 베일머 아레나 역|암스테르담 베일머 아레나]]
| [[암스테르담 베일머 아레나역|암스테르담 베일머 아레나]]
| Amsterdam Bijlmer ArenA
| Amsterdam Bijlmer ArenA
|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00ab4e; color: white;">&nbsp;5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fcd15; color: black;">&nbsp;54&nbsp;</span>)
|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00ab4e; color: white;">&nbsp;5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fcd15; color: black;">&nbsp;54&nbsp;</span>)
|-
|-
| style="text-align: right;" | 7.6
| style="text-align: right;" | 7.6
| [[암스테르담 홀렌드레흐트 역|암스테르담 홀렌드레흐트]]
| [[암스테르담 홀렌드레흐트역|암스테르담 홀렌드레흐트]]
| Holendrecht
| Holendrecht
|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00ab4e; color: white;">&nbsp;5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fcd15; color: black;">&nbsp;54&nbsp;</span>)
|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00ab4e; color: white;">&nbsp;50&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fcd15; color: black;">&nbsp;54&nbsp;</span>)
|-
|-
| style="text-align: right;" | 10.1
| style="text-align: right;" | 10.1
| [[압카우더 역|압카우더]]
| [[압카우더역|압카우더]]
| Abcoude
| Abcoude
|  
|  
|-
|-
| style="text-align: right;" | 22.8
| style="text-align: right;" | 22.8
| [[브뢰컬런 역|브뢰컬런]]
| [[브뢰컬런역|브뢰컬런]]
| Breukelen
| Breukelen
| [[하르멜런-브뢰컬런선]]
| [[하르멜런-브뢰컬런선]]
|-
|-
| style="text-align: right;" | 27.8
| style="text-align: right;" | 27.8
| [[마르선 역|마르선]]
| [[마르선역|마르선]]
| Maarssen
| Maarssen
|  
|  
|-
|-
| style="text-align: right;" | 33.0
| style="text-align: right;" | 33.0
| [[위트레흐트 자윌런 역|위트레흐트 자윌런]]
| [[위트레흐트 자윌런역|위트레흐트 자윌런]]
| Utrecht Zuilen
| Utrecht Zuilen
|  
|  
138번째 줄: 138번째 줄:
|-
|-
| style="text-align: right;" | 42.1
| style="text-align: right;" | 42.1
| [[분니크 역|분니크]]
| [[분니크역|분니크]]
| Bunnik
| Bunnik
|  
|  
|-
|-
| style="text-align: right;" | 46.6
| style="text-align: right;" | 46.6
| [[드리베르헌-제이스트 역|드리베르헌-제이스트]]
| [[드리베르헌-제이스트역|드리베르헌-제이스트]]
| Driebergen-Zeist
| Driebergen-Zeist
|  
|  
|-
|-
| style="text-align: right;" | 54.2
| style="text-align: right;" | 54.2
| [[마른 역|마른]]
| [[마른역|마른]]
| Maarn
| Maarn
|  
|  
158번째 줄: 158번째 줄:
|-
|-
| style="text-align: right;" | 68.4
| style="text-align: right;" | 68.4
| [[베이넨달-데클롬프 역|베이넨달-데클롬프]]
| [[베이넨달-데클롬프역|베이넨달-데클롬프]]
| Veenendaal-De Klomp
| Veenendaal-De Klomp
|  
|  
|-
|-
| style="text-align: right;" | 75.4
| style="text-align: right;" | 75.4
| [[에데-바헤닝언 역|에데-바헤닝언]]
| [[에데-바헤닝언역|에데-바헤닝언]]
| Ede-Wageningen
| Ede-Wageningen
| [[네이케르크-에데-바헤닝언선]]
| [[네이케르크-에데-바헤닝언선]]
|-
|-
| style="text-align: right;" | 84.2
| style="text-align: right;" | 84.2
| [[볼프헤저 역|볼프헤저]]
| [[볼프헤저역|볼프헤저]]
| Wolfheze
| Wolfheze
|  
|  
|-
|-
| style="text-align: right;" | 87.6
| style="text-align: right;" | 87.6
| [[오스터베이크 역|오스터베이크]]
| [[오스터베이크역|오스터베이크]]
| Oosterbeek
| Oosterbeek
|  
|  
183번째 줄: 183번째 줄:
|-
|-
| style="text-align: right;" | 93.2
| style="text-align: right;" | 93.2
| [[아른험 벨퍼포르트 역|아른험 벨퍼포르트]]
| [[아른험 벨퍼포르트역|아른험 벨퍼포르트]]
| Arnhem Velperpoort
| Arnhem Velperpoort
| [[아른험-레이우아르던 선|아른험-레이우아르던 선 <small>(국철 A선)</small>]]
| [[아른험-레이우아르던 선|아른험-레이우아르던 선 <small>(국철 A선)</small>]]
193번째 줄: 193번째 줄:
|-
|-
| style="text-align: right;" | 98.0
| style="text-align: right;" | 98.0
| [[베스터보르트 역|베스터보르트]]
| [[베스터보르트역|베스터보르트]]
| Westervoort
| Westervoort
|  
|  
|-
|-
| style="text-align: right;" | 101.3
| style="text-align: right;" | 101.3
| [[데위번 역|데위번]]
| [[데위번역|데위번]]
| Duiven
| Duiven
|  
|  
|-
|-
| style="text-align: right;" | 105.9
| style="text-align: right;" | 105.9
| [[제벤나르 역|제벤나르]]
| [[제벤나르역|제벤나르]]
| Zevenaar
| Zevenaar
| [[빈터스베이크-제벤나르선]]
| [[빈터스베이크-제벤나르선]]
217번째 줄: 217번째 줄:
| [[독일철도]] [[오버하우젠–아른험선]]
| [[독일철도]] [[오버하우젠–아른험선]]
|-
|-
! colspan="4" | [[독일철도|DB]] [[오버하우젠–아른험선]] 직결<br />[[에머리히 역|에머리히]] · [[오버하우젠 중앙역|오버하우젠]] · [[쾰른 중앙역|쾰른]] 방면
! colspan="4" | [[독일철도|DB]] [[오버하우젠–아른험선]] 직결<br />[[에머리히역|에머리히]] · [[오버하우젠 중앙역|오버하우젠]] · [[쾰른 중앙역|쾰른]] 방면
|-
|-
|}
|}

2020년 2월 17일 (월) 09:40 판

{{{이름}}}
나라 네덜란드 네덜란드
종류 간선철도
영업거리 111.0 km
개통일 1843년 12월 18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4 (암스테르담 베일머 아레나 - 위트레흐트 중앙역)
2 (이외 구간)

Rhijnspoorweg (Spoorlijn Amsterdam - Elten)
라인 철도선 (암스테르담 - 엘텐 선)

개요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부터 위트레흐트를 지나 독일 국경까지 동부로 뻗는 간선 노선. 독일 국경에서 독일철도오버하우젠-아른험선(홀란트 선)과 연결된다. 1855년까지는 1955 mm 광궤라는 변태 같은 궤도를 쓰다가, 1856년 이후 표준궤화되어 현재에 이른다. 암스테르담과 위트레흐트, 그리고 독일까지를 잇는 간선이다. 그러나 병행 고속선이 정작 없는데, 계획이 있었다가(동부 고속선, HSL-Oost) 최근 퇴짜를 먹고 묻혔다. 여러모로 안습.

독일 방향과의 교류는 장거리 열차로만 이루어지며, 아직까지 지역 열차의 교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만 2016–17년 계획 상에는, 현재 독일 오버하우젠-아른험선 에머리히역까지만 운행 중인 RE를 아른험 중앙역까지 연장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며, 2017년 4월 6일부터 라인-루르 지역의 RE 19 라인-에이설 급행(Rhein-IJssel-Express)[1]이 아른험–뒤셀도르프 구간에서 운행을 개시하여 지역 열차의 교류도 시작되었다.

경유 열차

장거리편

네덜란드 철도의 자회사 NS International (구 NS Hispeed) 등이 운행한다.

급행 열차

NS의 Intercity. DB의 InterCity와는 조금 다른 운행 패턴을 보인다. 독일로 치면 RegionalExpress급에 해당.

보통 열차

NS의 Sprinter. 보통 열차이며, RE로도 표기되는 경우가 있으나 여기서는 NS에서 정식으로 사용 중인 약어 Sp를 쓴다. 다만 본 노선은 보통 열차가 다니는 노선보다는 장거리나 급행 열차 위주로 다니기 때문에 보통 열차의 수는 생각보다는 적다. 어차피 병행한 노선 중 보통 열차가 다니는 노선이 있으므로 보통 그 쪽을 쓰면 된다.

또, 일부 구간에서는 오픈 억세스를 통해 사철이 운행된다.

  • Stoptrein 30700 (브렝 운영)
  • Stoptrein 30900 (아리바 운영)

역 목록

km 역명 접속 노선
-4.4[2] 암스테르담 중앙역 Amsterdam Centraal 아우더 선 (암스테르담-하를렘-로테르담 선)
덴헬더-암스테르담 선 (국철 K선)
동부 철도선 (암스테르담-쥣펀 선)
암스테르담-스키폴 선 (서부순환지선)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 51  ·  53  ·  54 )
-0.5[2] 암스테르담 마위더포르트 Amsterdam Muiderpoort 동부 철도선 (암스테르담-쥣펀 선)
0.0 암스테르담 베이스퍼포르트[3] Amsterdam Weesperpoort (거리 기준 기점)
1.5 암스테르담 암스털 Amsterdam Amstel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 51  ·  53  ·  54 )
4.4 다위번트레흐트 Duivendrecht 스키폴 선 (베이스프-라이던 선)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 50  ·  54 )
5.9 암스테르담 베일머 아레나 Amsterdam Bijlmer ArenA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 50  ·  54 )
7.6 암스테르담 홀렌드레흐트 Holendrecht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 50  ·  54 )
10.1 압카우더 Abcoude
22.8 브뢰컬런 Breukelen 하르멜런-브뢰컬런선
27.8 마르선 Maarssen
33.0 위트레흐트 자윌런 Utrecht Zuilen
34.9 위트레흐트 중앙역 Utercht Centraal 중앙 철도선 (위트레흐트-캄펀 선)
하우다 선 (위트레흐트-로테르담 선)
위트레흐트-복스털선
위트레흐트 고속 트램
37.4 [4] 위트레흐트-복스털선의 실질적 분기점
42.1 분니크 Bunnik
46.6 드리베르헌-제이스트 Driebergen-Zeist
54.2 마른 Maarn
61.0 데하르 분기점 De Haar Aansluting 케스테런-아멀스포르트선
68.4 베이넨달-데클롬프 Veenendaal-De Klomp
75.4 에데-바헤닝언 Ede-Wageningen 네이케르크-에데-바헤닝언선
84.2 볼프헤저 Wolfheze
87.6 오스터베이크 Oosterbeek
91.9 아른험 중앙역 Arnhem Centraal 아른험-네이메헌선
93.2 아른험 벨퍼포르트 Arnhem Velperpoort 아른험-레이우아르던 선 (국철 A선)
93.7 벨퍼브루크 분기점 Velperbroek Aansluting 아른험-레이우아르던 선의 실질적 분기점
98.0 베스터보르트 Westervoort
101.3 데위번 Duiven
105.9 제벤나르 Zevenaar 빈터스베이크-제벤나르선
110.1 제벤나르 동부 분기점[5] Zevenaar Oost 베튀버 루트
111.0 네덜란드-독일 국경 독일철도 오버하우젠–아른험선
DB 오버하우젠–아른험선 직결
에머리히 · 오버하우젠 · 쾰른 방면

각주

  1. NS 열차번호로는 Stoptrein 20000
  2. 2.0 2.1 네덜란드 철도는 음수 거리를 사용하지 않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음수 거리로 표시한다.
  3. 암스테르담에 있던 본 노선의 원래 터미널 역.
  4. 위트레흐트 뤼네턴역이 있던 자리. 현재는 이설되어 본 노선에는 없다.
  5. 구 바버리히 역(Babberich)이 있던 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