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곡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한국 철도 노선색2|KR}}" 문자열을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문자열로)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분류:광주 광산구의 철도역]]
[[분류:광주 광산구의 철도역]]
[[분류:광주관리역]]
[[분류:광주관리역]]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상단 =
|역명 = KORAIL 임곡역
|그림 =
|역번호 =
|역코드 = 359
|역등급 =
|주소 =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봉로 785<br>(임곡동 532-1)
|개업일 = {{날짜/출력|1914-1-14}}
|폐지일 =
|관할 = 한국철도공사<br>광주본부 [[광주역|광주관리역]]
|승강장 = 
|노선 = [[호남선]] {{-1|174.7 km}}
|관련역 =
}}
==개요==
==개요==
[[호남선]]의 철도역. [[호남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유서깊은 역이나 이 동네가 [[광주광역시]] 소속이긴 해도 거의 도시화가 되지 않은 시골이라 [[2004년]]부터 여객취급을 중지했다. 그래도 역 내에 컨테이너 야적장이 있어 화물취급은 하고 있었으나 [[2015년]]부터 이조차 중단하고 [[그냥 시체|그냥 잉여]]로 전락한 상황. [[지못미]].
[[호남선]]의 철도역. [[호남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유서깊은 역이나 이 동네가 [[광주광역시]] 소속이긴 해도 거의 도시화가 되지 않은 시골이라 [[2004년]]부터 여객취급을 중지했다. 그래도 역 내에 컨테이너 야적장이 있어 화물취급은 하고 있었으나 [[2015년]]부터 이조차 중단하고 [[그냥 시체|그냥 잉여]]로 전락한 상황. [[지못미]].

2019년 12월 27일 (금) 17:46 판

주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봉로 785
(임곡동 532-1)
노선 호남선 174.7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광주본부 광주관리역
개업일 틀:날짜/출력

개요

호남선의 철도역. 호남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유서깊은 역이나 이 동네가 광주광역시 소속이긴 해도 거의 도시화가 되지 않은 시골이라 2004년부터 여객취급을 중지했다. 그래도 역 내에 컨테이너 야적장이 있어 화물취급은 하고 있었으나 2015년부터 이조차 중단하고 그냥 잉여로 전락한 상황. 지못미.

이 역과 장성역 간 거리가 10.9km로 꽤 긴 편인데, 두 역 사이에 있던 옥정역이 폐역되며 역간거리가 길어진 것.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대전조차장 방면
장성 10.9 km
임곡 목포 방면
하남 6.5 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