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ika/연습: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틀:별자리 정보' 표준화 v1.0)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사용자:Pika/대체용 틀
{{법령 정보
|이름    =  
|법령명=민법
|그림    = [[파일:IAU Orion.gif]]
|제정법령번호=법률 제471호
|그림설명 =  
|제정일자=1958년 2월 22일<ref>시행일은 1960년 1월 1일이다. 1959년 12월 31일까지는 구 민법(일본 민법)을 적용하였다.</ref>
|적경    = 5시 35분<ref>[http://calgary.rasc.ca/constellation.htm#list calgary.rasc.ca 별자리 목록]</ref>
|현행법령번호=법률 제12777호
|적위    = +5°57′
|개정일자=[[2014년]] 10월 15일
|넓이    = 594.120 평방도
|시행일자=[[2015년]] 10월 16일
|관측범위 = N79°~S67°<ref>[http://www.ianridpath.com/constellations1.htm ianridpath.com 별자리 목록]</ref>
|상태=현행법
|주요별수 =  
|분야=민사법
|밝은별  =  
|목적=개인의 법률행위와 재산, 가족관계에 관한 법률
|이웃    =  
|관련법령=[[민사소송법]], [[상법]]
|비고    =  
|원문=[[http://www.law.go.kr/법령/민법 민법]]
}}
|}}
民法 civil law
 
==개요==
==개요==
[[겨울]] 저녁 하늘을 대표하는 [[별자리]] 중 하나로 천구상의 적도에 위치하고 있는 별자리이다. 명칭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꾼인 [[오리온]]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방패를 들고 곤봉을 휘두르는 모양으로 자리하고 있는 별자리로 한국에서는 겨울철 남쪽 밤하늘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이다.
==전설==
오리온자리와 관련한 전설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전설은 그의 연인이었던 [[아르테미스]]가 오빠인 [[아폴론]]에게 속아서 그를 과녁삼아 쏴 죽이게 만들어서 하늘의 별자리가 되었다는 것이다. 하늘의 별자리 배열과 관련있는 다른 전설은 아르테미스와 사냥을 하던 오리온이 지상의 모든 짐승을 사냥할 수 있다는 말을 하자 이 말을 듣고 그를 교만하다 여긴 여신 [[헤라]]가 [[전갈]]을 보내서 그를 쏘아 죽이도록 하였는데 이 결과 슬픔에 빠진 아르테미스가 그를 하늘의 별자리가 되게 하였고, 오리온을 죽인 전갈은 헤라에 의해서 별자리가 되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오리온은 별이 되고 나서도 전갈이라면 기겁을 하여서 천구상에서 오리온자리와 [[전갈자리]]는 거의 반대편에 자리하게 되었다. 실제로 전갈자리가 동쪽 지평선에서 나타나기 시작할 때면 오리온자리가 지평선 아래로 들어가서 두 별자리의 동시 관측은 불가능하다.
이외에 하늘의 [[큰개자리]]와 [[작은개자리]]가 오리온의 사냥개라고 알려져 있기도 하다. 또한 이 별자리들과 맞서는 별자리가 바로 사냥감 중 하나인 [[황소자리]]이다.


==삼태성==
* 대등한 사인(私人)간의 법률행위를 규율하는 법률. 주로 재산관계와 가족관계를 규율한다. [[나라|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시민과 동등한 입장에서 법률관계를 형성한다면 역시 민법의 적용을 받는다.
동아시아에서는 오리온의 허리 부분에 해당하는 별 셋을 따로 삼태성(三太星)이라고 한다. 영미권에서도 오리온의 허리띠, 혹은 벨트라고 불리는 부분으로 1등성은 아니지만 꽤 밝은 별에 속하는 2등성 3개{{ㅈ|민타카, 알니탁, 알닐람}}가 거의 일직선이면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모습으로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여러 문화권에서 이 세 별이 별자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동양에서는 이 세 별을 3명의 장군별로 보았으며, 이집트에서는 [[오시리스]]와 관련이 있는 별로 여겨졌다. 또한 팔레스타인 일대에서는 옛 거인족인 네피림의 상징이기도 하였으며, 성경에서도 이 별들이 등장한다{{ㅈ|[[욥기]]9:9, 38:31, [[아모스]] 5:8 : 개역성경에서는 삼성(의 허리띠)으로 번역}}
* [[사법시험]] 또는 [[변호사시험]] 등을 준비하는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수험생활의 시작이자 마지막이다. 그 자체의 난이도 및 휘발성도 엄청날 뿐더러, 배점도 타 과목에 비하여 크다.


==구성 항성==
==구성==
오리온자리는 밝은 항성이 다수 있다.
*제1편 총칙
*α Ori - '''[[베텔게우스]]'''(Betelgeuse): [[적색거성]]이다. 오리온의 오른쪽 어께 부분에 자리하고 있는 별로 밝기는 0.4~1.3등급 사이를 약 5년 반 정도 주기로 변화하는 [[변광성]]이다.
*제2편 물권
*β Ori - '''[[리겔]]'''(Rigel): [[청색거성]]이다. 오리온의 왼쪽 다리 부분에 자리하고 있느 별로 0.1등성의 밝은 백색별이다.
*제3편 채권
*γ Ori - [[벨라트릭스]](Bellatrix): 아마존을 상징하는 별로 1.6등급의 밝은 별이다.
*제4편 친족
*δ Ori - [[민타카]](Mintaka): 2.2등성의 백색별로 삼태성의 맨 우측<ref>북반구 관측자 입장</ref>에 있는 별이다.
*제5편 상속
*ε Ori - [[알닐람]](Alnilam): 1.7등성의 백색별로 삼태성 한가운데 있는 별이다.
*ζ Ori - [[알니탁]](Alnitak): 1.8등성의 황백색별로 삼태성 맨 왼쪽<ref>북반구 관측자 입장</ref>에 있는 별이다.
*η Ori - [[오리온자리 에타]]: 사중성계
*θ Ori - [[트라페지움]](Trapezium Cluster): 단일한 별이 아니라 4개의 별들이 함께 [[성단]]이다. [[사다리꼴 성단]]이라고도 부르는 산개성단으로 [[오리온자리 대성운]]의 중심부이기도 하다.
*ι Ori - [[하트샤]](Hatsya): 2.8등성
*κ Ori - [[사이프]](Saiph): 오리온의 오른발로 2.1등성이다.
*λ Ori - [[메이사]](Meissa): 오리온의 머리 부분에 있는 별로 3.4등성의 별이다.
*π Ori - [[오리온자리 파이]]: 오리온자리 서쪽 팔의 '방패'에 해당한다. 이중 파이3 별은 [[타빗]]이란 고유명이 있다.
*σ Ori - [[오리온자리 시그마]]: 다중성계로 알니탁 바로 남쪽에 있다.


== 심원 천체 ==
== 관련 개념 ==
오리온자리에는 성운이 다수 있다. 때문에 질량이 큰 별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위 문단에 소개된 별들도 대부분 이와 관련이 있다.
* [[신의성실의 원칙]]
*'''[[오리온자리 대성운]]''' (메시에 42, NGC 1976): 발광 성운을 대표하는 밝은 천체이다. 밝기는 4등급.
* [[권리남용]]
*[[드모이란 성운]] (메시에 43, NGC 1982): 발광 성운으로 오리온 대성운의 일부로 들어가 있다.
* [[소멸시효]]
*[[말머리 성운]] (바너드 33): 암흑 성운으로 알니탁 옆에 있다. 뒤에 있는 밝은 성운은 [[IC 434]]이다.
* [[물권]]
*[[NGC 2023]]: 반사 성운으로 말머리 성운 옆에 있다.
* [[채권]]
*[[불꽃 성운]] (NGC 2024, Sh2-277): 발광 성운으로 알니탁의 남쪽에 있다.
* [[친족]]
*[[메시에 78]] (NGC 2068): 반사 성운
* [[상속]]
*[[37 성단]] (NGC 2169): 6등급 산개 성단. 오리온자리의 동쪽 팔에 있다.
* [[양자]]
*[[원숭이머리 성운]] (NGC 2174, Sh2-252): 발광 성운. 산개성단인 [[NGC 2175]]이 이 자리에 있다.
* [[친양자]]
*[[로워 성운]] (Sh2-261): 발광 성운
*[[오리온자리 람다 고리]] (Sh2-264): 메이사 주변으로 보이는 성운으로, '에인절피시 성운'이라고도 불린다.
*[[바너드 루프]] (Sh2-276): 오리온자리 몸통을 둘러싸는 반원 모양의 성운. 시직경이 '''20도'''에 이른다.
*[[러닝맨 성운]] (Sh2-279): 발광 성운 및 반사 성운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리온 대성운 옆에 있다.


== 기타 ==
[[분류:민법]]
*오리온자리 유성우 : 매년 10월 21일 부근에 발생하는 [[유성우]]이다.
{{각주}}
{{현대 별자리}}
[[분류:별자리]]

2022년 6월 28일 (화) 05:16 판

{{{이름}}}
목적 개인의 법률행위와 재산, 가족관계에 관한 법률
관련법령 민사소송법, 상법
원문 [민법]

民法 civil law

개요

  • 대등한 사인(私人)간의 법률행위를 규율하는 법률. 주로 재산관계와 가족관계를 규율한다. 국가지방자치단체가 시민과 동등한 입장에서 법률관계를 형성한다면 역시 민법의 적용을 받는다.
  • 사법시험 또는 변호사시험 등을 준비하는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수험생활의 시작이자 마지막이다. 그 자체의 난이도 및 휘발성도 엄청날 뿐더러, 배점도 타 과목에 비하여 크다.

구성

  • 제1편 총칙
  • 제2편 물권
  • 제3편 채권
  • 제4편 친족
  • 제5편 상속

관련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