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 두 판 사이의 차이

태그: 조건 제한 도달
 
(사용자 25명의 중간 판 78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World Wrestling Entertainment)는 [[미국]]의 메이저 [[프로레슬링]] 회사다. 약칭은 '''WWE'''.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World Wrestling Entertainment)는 [[미국]]의 메이저 [[프로레슬링]] 회사다. 약칭은 '''WWE'''.
 
* 사장- 닉 칸
* 회장 겸 CEO- [[빈스 맥맨]]
* 최고 콘텐츠 책임자- [[트리플 H]]- 빈스 맥맨의 사위
* 부사장- [[트리플 H]]- 빈스 맥맨의 사위
 
* 최고 브랜드 총 책임자 (CBO)- 스테파니 맥맨- 트리플 H의 아내


== 특징 ==
== 특징 ==
* 오너인 빈스 맥맨이 빅맨을 좋아하는 경향이 매우 크다.
* 오너였던 빈스 맥맨이 빅맨을 좋아하는 경향이 매우 크다.


== 브랜드 ==
== 브랜드 ==
13번째 줄: 10번째 줄:
* [[스맥다운]]- 한국에선 IB 스포츠에서 녹화 방송을 하고  있다. 침체기를 겪다가 2016년 7월 19일부터 생방송으로 전환하고 다시 로스터 스플릿으로 재분리해서 운영되고 있다. 2018년부터 RAW, PPV를 포함, 한국에서도 생방송으로 볼 수 있다.
* [[스맥다운]]- 한국에선 IB 스포츠에서 녹화 방송을 하고  있다. 침체기를 겪다가 2016년 7월 19일부터 생방송으로 전환하고 다시 로스터 스플릿으로 재분리해서 운영되고 있다. 2018년부터 RAW, PPV를 포함, 한국에서도 생방송으로 볼 수 있다.
* NXT
* NXT
* NXT 레벨 업
* 스피드


== 기타 프로그램 ==
== 기타 프로그램 ==
* 슈퍼 스타즈
* 터프 이너프- 시즌 6까지 진행되었다.
* 바텀 라인- RAW의 하이 라이트 프로그램.
* 바텀 라인- RAW의 하이 라이트 프로그램.
* 애프터번- 스맥 다운의 하이 라이트 프로그램.
* 애프터번- 스맥 다운의 하이 라이트 프로그램.
* 익스피리언스- RAW, 스맥 다운의 하이 라이트 프로그램.
* 익스피리언스- RAW, 스맥 다운의 하이 라이트 프로그램.
* 레슬매니아 리와인드- 역대 레슬매니아를 되돌아 보는 프로그램
* 레슬매니아 리와인드- 역대 레슬매니아를 되돌아 보는 프로그램
* 토탈 디바스
* 토탈 디바스
* WWE TOP 10
* WWE TOP 10
* WWE 더 크루저웨이트 클래식- 경량급 디비전의 부활을 위해 2016년 여름부터 시행 중인 토너먼트.


== 과거의 프로그램 ==
== 과거의 프로그램 ==
* 메탈 / 잭드
* 히트
* 벨로시티
* 새러데이 나잇 메인 이벤트
* 새러데이 나잇 메인 이벤트
* 205 라이브
* NXT UK
* 레슬링 챌린지
* 레슬링 챌린지
* 터프 이너프- 시즌 6까지 진행되었다.
* 슈퍼스타즈
* 라이브 와이어- 1996년부터 2001년까지 방영한 하이 라이트 프로그램
* 라이브 와이어- 1996년부터 2001년까지 방영한 하이 라이트 프로그램
* [[ECW]]- 2006년 6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존재했던 브랜드
* [[ECW]]- 2006년 6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존재했던 브랜드
* [[WWE 디바 서치]]-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방영되었던 디바 발굴 프로그램.
* [[WWE 디바 서치]]-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방영되었던 디바 발굴 프로그램.
* WWE 더 크루저웨이트 클래식- 경량급 디비전의 부활을 위해 2016년 7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시행했던 토너먼트.


== PPV ==
== PLE ==
=== 현재 PPV ===
=== 현재 PLE ===
* 1월- [[로얄 럼블]]
* 1월- [[로얄럼블]]
* 2월- 엘리미네이션 챔버
* 2월- 엘리미네이션 챔버 : 퍼스
* 3월- 패스트레인
* 4월- [[WWE 레슬매니아|레슬매니아]]
* 4월- [[레슬매니아]]
* 5월- 백래쉬 프랑스 (4일), 킹 앤드 퀸 오브 링 (25일)
* 5월- 머니 인 뱅크
* 6월- 클래시 앳 더 캐슬
* 6월- 슈퍼 쇼 다운 (7일), 스톰핑 그라운즈 (23일)
* 7월- 머니 인 더 뱅크
* 7월- 익스트림 룰즈
* 8월- 섬머슬램 (3일), 배쉬 인 베를린 (31일)
* 8월- 섬머슬램
* 9월-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 10월- 헬 인 어 셀 (6일), 크라운 주얼 (31일)
* 11월- [[서바이버 시리즈]]
* 11월- [[서바이버 시리즈]]
* 12월- TLC


=== 과거의 PPV ===
=== 과거의 PLE ===
* 오브 더
* 익스트림 룰즈
*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 브레이킹 포인트
* 브래깅 라이츠
* 오버 리미트
* TLC
* 헬 인 어 셀
* 오버 디 엣지
* WWE/ ECW 원  나잇 스탠드
* WWE/ ECW 원  나잇 스탠드
* 저지먼트 데이
* 저지먼트 데이
* 노 웨이 아웃
* 노 웨이 아웃
* 백래쉬
* [[WWE 스톰핑 그라운즈 (2019)|스톰핑 그라운즈]]
* 뉴 이어즈 레볼루션
* 뉴 이어즈 레볼루션
* 벤전스
*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 벤전스
* 언포기븐
* 언포기븐
* 아마겟돈
* 아마겟돈
67번째 줄: 70번째 줄:
* 리벨리온
* 리벨리온
* 타부 튜즈데이 /사이버 선데이- 시합 방식, 상대, 복장, 특별 심판 등이 팬들의 투표로 결정된다.
* 타부 튜즈데이 /사이버 선데이- 시합 방식, 상대, 복장, 특별 심판 등이 팬들의 투표로 결정된다.
* 에볼루션
* [[WWE 에볼루션 (2018)|에볼루션]]
 
* 슈퍼 쇼 다운
=== 부정적인 반응을 모은 PPV ===
* [[WWE 데이 원 (2022)|데이 원]]
* WWE 로얄럼블(2008)- 마지막으로 남은 BEST 3의 이름 값은 역대 로얄 럼블 중에서도 최고 수준이었고 실제로 역대 로얄 럼블 중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문제는 당시 부상으로 아무도 그의 출전을 예상하지 못하고 있던 [[존 시나]]가 예고 없이 30번으로 등장, 트리플 H와 바티스타에게 승리를 거둔 것.
 
* WWE 레슬매니아 27- 메인 이벤트인 미즈 vs 존 시나의 경기가 문제였는데 미즈 자체가 WWE의 메인 이벤터로서 많이 부족한 편이었기 때문이다.
 
* WWE 로얄럼블(2014)- 오랜만에 파트 타이머로 복귀해서 바티스타가 2회 우승하지만 그 과정에서 경기력이 많이 저하되었고, 관중들에게 엄청난 야유를 받았다.
 
* WWE 레슬매니아 30- [[언더테이커]]의 연승이 [[브록 레스너]]에게 깨지는 바람에...
 
* WWE 로얄럼블(2015)- 대니얼 브라이언이 광탈하면서 우승자 [[로만 레인즈]]가 욕먹었다.
 
* WWE 로얄럼블(2017)- 팬들이 30번은 커트 앵글 혹은 스팅, 사모아 조를 기대했는데 예상하지 못한 로만 레인즈가 등장하자 욕했다. 다만 다행히도 우승은 못했고, [[랜디 오턴]]이 2회 우승했다.
 
* [[WWE 레슬매니아 33]]- 메인 이벤트인 언더테이커 vs 로만 레인즈 경기에서 레슬매니아 20의 골드버그 vs 브록 레스너 또는 레슬매니아 27의 미즈 vs 존 시나를 재평가를 하게했다. 이유는 로만 레인즈가 경기 도중에 엄청나게 많은 실수와 동시에 언더테이커를 이겨서.


=== 부정적인 반응을 모은 PLE ===
* [[WWE 로얄럼블 (2008)]]- 마지막으로 남은 BEST 3의 이름 값은 역대 로얄 럼블 중에서도 최고 수준이었고 실제로 역대 로얄 럼블 중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문제는 당시 부상으로 아무도 그의 출전을 예상하지 못하고 있던 [[존 시나]]가 예고 없이 30번으로 등장, 트리플 H와 바티스타에게 승리를 거둔 것.
* [[WWE 레슬매니아 27]]- 메인 이벤트인 미즈 vs 존 시나의 경기가 문제였는데 미즈 자체가 WWE의 메인 이벤터로서 많이 부족한 편이었기 때문이다.
* [[WWE 로얄럼블 (2014)]]- 오랜만에 파트 타이머로 복귀해서 바티스타가 2회 우승하지만 그 과정에서 경기력이 많이 저하되었고, 관중들에게 엄청난 야유를 받았다.
* [[WWE 레슬매니아 30]]- [[언더테이커]]의 연승이 [[브록 레스너]]에게 깨지는 바람에...
* [[WWE 로얄럼블 (2015)]]- 대니얼 브라이언이 광탈하면서 우승자 [[로만 레인즈]]가 욕먹었다.
* [[WWE 로얄럼블 (2017)]]- 팬들이 30번은 커트 앵글 혹은 스팅, 사모아 조를 기대했는데 예상하지 못한 로만 레인즈가 등장하자 욕했다. 다만 다행히도 우승은 못했고, [[랜디 오턴]]이 2회 우승했다.
* [[WWE 레슬매니아 33]]- 메인 이벤트인 언더테이커 vs 로만 레인즈의 노 홀즈 바드 매치에서 [[WWE 레슬매니아 20]]의 골드버그 vs 브록 레스너 또는 레슬매니아 27의 미즈 vs 존 시나를 재평가를 하게했다. 이유는 로만 레인즈가 경기 도중에 엄청나게 많은 실수와 동시에 언더테이커를 이겨서.
{{youtube|oC4svcyIhg4}}
* [[WWE 크라운 주얼 (2018)]]
* [[WWE 크라운 주얼 (2018)]]


93번째 줄: 92번째 줄:
== 챔피언 ==
== 챔피언 ==
=== RAW ===
=== RAW ===
*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
*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신 버전)
*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 [[WWE RAW 태그 팀 챔피언십]]
* [[WWE RAW 태그 팀 챔피언십|월드 태그 팀 챔피언십 (신 버전)]]
*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
*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위민스 월드 챔피언십]]


=== 스맥 다운 ===
=== 스맥 다운 ===
*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
* [[WWE 챔피언십]]
* [[WWE 챔피언십]]
*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 [[WWE 스맥다운 태그 팀 챔피언십]]
* [[WWE 스맥다운 태그 팀 챔피언십|WWE 태그 팀 챔피언십 (신 버전)]]
*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WWE 위민스 챔피언십]]


=== NXT ===
=== NXT ===
109번째 줄: 109번째 줄:
* [[NXT 태그팀 챔피언십]]
* [[NXT 태그팀 챔피언십]]
* [[NXT 위민스 챔피언십]]
* [[NXT 위민스 챔피언십]]
* NXT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 NXT 헤리티지 컵


=== 브랜드 통합 챔피언십 ===
=== 브랜드 통합 챔피언십 ===
* WWE 위민스 태그 팀 챔피언십
* [[WWE 위민스 태그 팀 챔피언십]]
* [[WWE 24/7 챔피언십]]
* WWE 스피드 챔피언십
 
=== NXT UK ===
*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 NXT UK 태그 팀 챔피언십
* NXT UK 위민스 챔피언십


=== 과거의 챔피언 벨트 ===
=== 과거의 챔피언 벨트 ===
* WWE 언디스퓨티드 챔피언십- WWE와 WCW의 통합 이후 각 단체의 월드 타이틀도 합쳐서 만든 벨트.
* WWE 언디스퓨티드 챔피언십- WWE와 WCW의 통합 이후 각 단체의 월드 타이틀도 합쳐서 만든 벨트.
*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WCW 챔피언십]]
*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WCW 챔피언십]]
*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E)|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E)|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구 버전)]]
* ECW 챔피언십
* ECW 챔피언십
* WWE 월드 태그 팀 챔피언십
* [[NXT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 월드 태그 팀 챔피언십 (구 버전)
* WCW 태그 팀 챔피언십
* WCW 태그 팀 챔피언십
* [[NXT UK 태그 팀 챔피언십]]
* WWE 유러피안 챔피언십
* WWE 유러피안 챔피언십
* [[WWE 하드코어 챔피언십]]- 언제 어디서나 챔피언이 바뀔 수 있었다.
* [[WWE 하드코어 챔피언십]]- 언제 어디서나 챔피언이 바뀔 수 있었다.
*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구)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 (구)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 [[위민스 챔피언십 (WWE)|WWE 위민스 챔피언십]]
* NXT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 [[위민스 챔피언십 (WWE)]]
* [[WWE 디바스 챔피언십]]
* [[WWE 디바스 챔피언십]]
* [[NXT UK 위민스 챔피언십]]
* WWF 위민스 태그 팀 챔피언십
* WWF 위민스 태그 팀 챔피언십
* NXT 위민스 태그 팀 챔피언십
* WWF 인터내셔널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WWWF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WWF 인터내셔널 태그 팀 챔피언십
* WWF 인터컨티넨탈 태그 팀 챔피언십
* WWWF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태그 팀 챔피언십
* WWF 노스 아메리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WWF 캐나디언 챔피언십
* WWF 월드 머셜 아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WWF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밀리언 달러 챔피언십
* [[WWE 24/7 챔피언십]]


== 로스터 ==
== 로스터 ==
=== RAW ===
=== [[RAW]] ===
==== 싱글 레슬러 ====
==== 남성 레슬러 ====
* [[다이작]]
* [[덱스터 루미스]]
* [[드류 매킨타이어]]
* [[드류 매킨타이어]]
* [[랜디 오턴]]
* [[로버트 루드]]
* [[레이 미스테리오]]
* [[리코셰]]
* [[루세프]]
* [[미즈]]
* 리코셰
* [[배런 코빈]]
* 모조 롤리
* [[브라운 스트로우먼]]
* 바비 래쉴리
* [[브론슨 리드]]
* 버디 머피
* [[브론 브레이커]]
* [[사모아 조]]
* [[새미 제인]]
* 세드릭 알렉산더
* [[세스 롤린스]]
* [[세스 롤린스]]
* 쉘턴 벤자민
* [[셰이머스]]
* 신 카라
* 안드라데
* 알레이스터 블랙
* [[알 트루스]]
* [[알 트루스]]
* [[로완 (프로레슬러)|에릭 로완]]
* [[오디세이 존스]]
* 에릭 영
* [[오모스]]
* 움베르토 카리요
* [[오티스 (프로레슬러)|오티스]]
* 잭 라이더
* [[일리야 드라구노프]]
* [[진더 마할]]
* [[제이 우소]]
* [[커트 호킨스]]
* [[채드 게이블]]
* [[케빈 오웬스]]
* [[칼리토]]
* [[타이터스 오닐]]
* [[타이터스 오닐]]
* 토자와 아키라
* [[토자와 아키라]]
* 히스 슬레이터
* [[CM 펑크]]
* EC3
* [[MVP (프로레슬러)|MVP]]


===== 여성 레슬러 =====
==== 여성 레슬러 ====
* [[나오미]]
* [[나이아 잭스]]
* [[나탈리아 네이드하트|나탈리아]]
* [[나탈리아 네이드하트|나탈리아]]
* 루비 라이엇
* [[니키 크로스]]
* 리브 모건
* 라이라 발키리아
* [[라켈 로드리게즈]]
* [[리브 모건]]
* 맥신 듀프리
* [[베키 린치]]
* [[베키 린치]]
* 사라 로건
* [[셰이나 베이즐러]]
* [[샬럿 플레어]]
* [[소냐 드빌]]
* 알리샤 폭스
* [[아이비 나일]]
* 젤리나 베가
* 아일라 던
* [[알렉사 블리스]]
* [[알바 파이어]]
* [[조이 스타크]]
* [[카멜라]]
* [[카타나 챈스]]
* [[케이든 카터]]
* [[키아나 제임스]]
* [[트리쉬 스트래터스]]
 
==== 남성 태그 팀 & 남성 스테이블 ====
* [[뉴 데이]] ([[코피 킹스턴]], [[재비어 우즈]])
* 뉴 캐치 리퍼블릭 ([[부치|피트 던]], [[타일러 베이트]])
* 임페리움 ([[군터]], [[루드윅 카이저]])
* 크리드 브라더스 (줄리어스 크리드, 브루터스 크리드)
* 파이널 테스타먼트 ([[캐리언 크로스]], 어서즈 오브 페인 (아캄, 레자르))


==== 태그 팀 & 스테이블 ====
==== 여성 태그 팀 & 여성 스테이블 ====
* 디 어센션 (빅터, 코너)
* 대미지 컨트롤 ([[이요 스카이]], 가부키 워리어즈 ([[아스카 (프로레슬러)|아스카]], [[카이리 세인]]), [[다코타 카이]])
* 바이킹 레이더스 (에릭, 이바르)
* 스트리트 프로핏츠 (몬테즈 포드, 안젤로 도킨스)
* 어서즈 오브 페인 (레자르, 아캄)
* 우소즈 (제이 우소, 지미 우소)
* O.C. ([[AJ 스타일스]], 루크 갤로우스, 칼 앤더슨)


===== 여성 태그 팀 & 여성 스테이블 =====
==== 혼성 스테이블 ====
* 가부키 워리어즈 ([[아스카 (프로레슬러)|아스카]], 카이리 세인)
* [[바이킹 레이더스]] (에릭, 이바르, [[사라 로건|발할라]])
* 아이코닉스 (빌리 케이, 페이턴 로이스)
* 저지먼트 데이 ([[핀 밸러]], [[데미안 프리스트]], [[JD 맥도나]], [[리아 리플리]], [[도미닉 미스테리오]])
* LWO ([[레이 미스테리오]], 크루즈 델 토로, 호아킨 와일드, 드래곤 리, [[젤리나 베가]])


=== 스맥 다운 ===
=== [[스맥다운]] ===
==== 싱글 레슬러 ====
==== 남성 레슬러 ====
* [[그레이슨 월러]]
* [[나카무라 신스케]]
* [[나카무라 신스케]]
* [[대니얼 브라이언]]
* [[랜디 오턴]]
* [[돌프 지글러]]
* [[로건 폴]]
* 드레이크 매버릭
* [[릿지 홀랜드]]
* 드류 굴락
* [[바비 래쉴리]]
* 라스 설리반
* [[빅 E]]
* [[로만 레인즈]]
* [[세드릭 알렉산더]]
* 로버트 루드
* [[아샨티 아도니스]]
* 루크 하퍼
* [[아폴로 크루즈]]
* [[미즈]]
* [[안드라데 시엔 알마스|안드라데]]
* [[브라운 스트로우먼]]
* [[오스틴 씨어리]]
* [[브레이 와이어트]]
* 지미 우소
* [[브록 레스너]]
* [[지오바니 빈치]]
* 새미 제인
* [[카멜로 헤이즈]]
* 세자로
* [[케빈 오웬스]]
* [[셰이머스]]
* [[코디 로즈]]
* 아폴로 크루즈
* [[LA 나이트]]
* [[알리 (프로레슬러)|알리]]
* 일라이어스
* 채드 게이블
* 킹 코빈
* 핀 밸러


===== 여성 레슬러 =====
==== 여성 레슬러 ====
* 니키 크로스
* [[나오미]]
* 데이나 브룩
* [[나이아 잭스]]
* 라나
* 레이시 에반스
* [[미키 제임스]]
* [[베일리]]
* [[베일리]]
* [[사샤 뱅크스]]
* 블레어 대번포트
* [[알렉사 블리스]]
* [[비앙카 벨레어]]
* 엠버 문
* [[샬럿 플레어]]
* 카멜라
* [[쇼치]]
* 타미나
* [[인디 하트웰]]
* 제이드 카길
* 첼시 그린
* [[캔디스 르래이]]
* [[타미나]]
* [[테간 녹스]]
* [[티파니 스트랫턴]]
* [[파이퍼 니븐]]
* B-팹


==== 태그 팀 & 스테이블 ====
==== 태그 팀 & 스테이블 ====
* [[뉴 데이]] ([[코피 킹스턴]], 빅 E, 재비어 우즈)
* 블러드라인 ([[로만 레인즈]], 타마 통가, 통가 로아, [[솔로 시코아]])
* 루차 하우스 파티 (칼리스토, 린세 도라도, 그란 메탈릭)
* [[스트리트 프로피츠]] ([[몬테즈 포드]], [[안젤로 도킨스]])
* 리바이벌 (대쉬 와일더, 스캇 도슨)
* 프리티 데들리 (킷 윌슨, 엘턴 프린스)
* 하디 보이즈 ([[매트 하디]], [[제프 하디]])
* #DIY ([[토마소 치암파]], [[쟈니 가르가노]])
* 헤비 머시너리 (오티즈, 터커)
* B팀 (보 댈러스, 커티스 액슬)


===== 여성 태그 팀 & 여성 스테이블 =====
==== 혼성 스테이블 ====
* 파이어 & 디자이어 (맨디 로즈, 소냐 드빌)
* 레가도 델 판타스마 ([[산토스 에스코바르]], [[엔젤 가르자|엔젤]], [[움베르토 카리요|베르토]], [[엘렉트라 로페즈]])
* O.C. ([[AJ 스타일스]], 루크 갤로우스, 칼 앤더슨, [[미아 임]])


=== NXT ===
=== NXT ===
==== 싱글 레슬러 ====
==== 남성 레슬러 ====
* 대니 버치
* [[네이선 프레이저]]
* 데미안 프리스트
* [[단테 첸]]
* 덱스터 루미스
* 렉시스 킹
* 도미닉 다이자코빅
* [[말릭 블레이드]]
* 라울 멘도사
* 브룩스 젠슨
* 리딕 모스
* [[타이 딜린저|숀 스피어스]]
* 리오 러쉬
* [[액시엄]]
* 만수르
* 에디 소프
* 맷 리들
* 오바 페미
* 벨베틴 드림
* [[웨스 리]]
* 브론슨 리드
* [[이드리스 이노페]]
* 세잘 보노니
* [[조 게이시]]
* 셰인 쏜
* 조쉬 브릭스
* 아이재이아 스캇
* 지본 에반스
* 아투로 루아시
* 타이리크 이그웨
* 앤젤 가르자
* 타이슨 듀폰트
* 오니 로컨
* 탱크 레저
* 자니 가르가노
* [[트릭 윌리엄스]]
* 조던 마일스
* [[하비에르 베르날]]
* 카메론 그라임스
* [[행크 워커]]
* 코나 리브스
* [[BOA (프로레슬러)|BOA]]
* 쿠시다
* 키스 리
* 킬리언 데인
* 토마소 치암파
* 티노 사바텔리
* 피트 던
* 호아킨 와일드
* BOA


===== 여성 레슬러 =====
==== 여성 레슬러 ====
* 다코타 카이
* [[니키타 라이온스]]
* 디오나 퍼라조
* 대니 팔머
* 리아 리플리
* [[록샌 페레즈]]
* 마리나 샤피르
* 롤라 바이스
* 미아 임
* 브린리 리스
* 바네사 본
* [[사토무라 메이코]]
* 비앙카 벨에어
* [[솔 루카]]
* 셰이나 베이즐러
* 스티비 터너
* 시라이 이오
* 아리아나 그레이스
* 알리야
* 에이바
* 자야 리
* [[웬디 추]]
* 제사민 듀크
* 이지 데임
* 캔디스 르래이
* 제이시 제인
* 케이시 카탄자로
* 지지 돌린
* 타이나라 콘티
* 카르멘 페트로비치
* 켈라니 조던
* [[코라 제이드]]
* [[테이텀 팩슬리]]
* [[팰런 헨리]]


==== 태그 팀 & 스테이블 ====
==== 태그 팀 & 스테이블 ====
* 브리장고
* 갤러스 (마크 코피, 조 코피, 울프갱)
* 언디스퓨티드 에라 (애덤 콜, 바비 피쉬, 카일 오 라일리, 로데릭 스트롱)
* 노 쿼터 캐치 크루 ([[드류 굴락]], [[데이먼 켐프]], [[찰리 뎀프시]], [[마일스 본]])
* 포가튼 선즈


=== 205 라이브 ===
==== 혼성 스테이블 ====
크루저웨이트급 선수들.
* 메타 포 ([[노암 다르]], [[오로 멘사]], [[래쉬 레전드]], 자카라 잭슨)
* 아웃 더 머드 ([[스크립츠]], 루시엔 프라이스, 브롱코 니마, 제이다 파커)
* 체이스 유니버시티 ([[안드레 체이스]], [[듀크 허드슨]], 라일리 오스본, [[티아 헤일]])
* 토니 디 안젤로 패밀리 ([[토니 디 안젤로]], [[채닝 로렌조]], 루카 크루시피노, 애드리아나 리조)


* 브라이언 켄드릭
* 에이든 잉글리쉬
=== NXT UK ===
==== 싱글 레슬러 ====
* 댄 멀로니
* 마르셀 바델
* 볼프강
* 색슨 헉슬리
* 제임스 드레이크
* 조던 데블린
* 조셉 코너스
* 알렉산더 울프
* 월터
* 타일러 베이트
* 트렌트 세븐
* 파비앙 아이흐너
===== 여성 레슬러 =====
* 아일라 던
* 자야 브룩사이드
* 킬러 켈리
* 토니 스톰
{{각주}}
{{각주}}
[[분류: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 ]]
[[분류: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 ]]
[[분류:1980년 설립]]
[[분류:1953년 설립]]

2024년 5월 28일 (화) 04:40 기준 최신판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World Wrestling Entertainment)는 미국의 메이저 프로레슬링 회사다. 약칭은 WWE.

  • 사장- 닉 칸
  • 최고 콘텐츠 책임자- 트리플 H- 빈스 맥맨의 사위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오너였던 빈스 맥맨이 빅맨을 좋아하는 경향이 매우 크다.

브랜드[편집 | 원본 편집]

  • RAW
  • 스맥다운- 한국에선 IB 스포츠에서 녹화 방송을 하고 있다. 침체기를 겪다가 2016년 7월 19일부터 생방송으로 전환하고 다시 로스터 스플릿으로 재분리해서 운영되고 있다. 2018년부터 RAW, PPV를 포함, 한국에서도 생방송으로 볼 수 있다.
  • NXT
  • NXT 레벨 업
  • 스피드

기타 프로그램[편집 | 원본 편집]

  • 바텀 라인- RAW의 하이 라이트 프로그램.
  • 애프터번- 스맥 다운의 하이 라이트 프로그램.
  • 익스피리언스- RAW, 스맥 다운의 하이 라이트 프로그램.
  • 레슬매니아 리와인드- 역대 레슬매니아를 되돌아 보는 프로그램
  • 토탈 디바스
  • WWE TOP 10

과거의 프로그램[편집 | 원본 편집]

  • 메탈 / 잭드
  • 히트
  • 벨로시티
  • 새러데이 나잇 메인 이벤트
  • 205 라이브
  • NXT UK
  • 레슬링 챌린지
  • 터프 이너프- 시즌 6까지 진행되었다.
  • 슈퍼스타즈
  • 라이브 와이어- 1996년부터 2001년까지 방영한 하이 라이트 프로그램
  • ECW- 2006년 6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존재했던 브랜드
  • WWE 디바 서치-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방영되었던 디바 발굴 프로그램.
  • WWE 더 크루저웨이트 클래식- 경량급 디비전의 부활을 위해 2016년 7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시행했던 토너먼트.

PLE[편집 | 원본 편집]

현재 PLE[편집 | 원본 편집]

  • 1월- 로얄럼블
  • 2월- 엘리미네이션 챔버 : 퍼스
  • 4월- 레슬매니아
  • 5월- 백래쉬 프랑스 (4일), 킹 앤드 퀸 오브 더 링 (25일)
  • 6월- 클래시 앳 더 캐슬
  • 7월- 머니 인 더 뱅크
  • 8월- 섬머슬램 (3일), 배쉬 인 베를린 (31일)
  • 11월- 서바이버 시리즈

과거의 PLE[편집 | 원본 편집]

  • 익스트림 룰즈
  •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 브레이킹 포인트
  • 브래깅 라이츠
  • 오버 더 리미트
  • TLC
  • 헬 인 어 셀
  • 오버 디 엣지
  • WWE/ ECW 원 나잇 스탠드
  • 저지먼트 데이
  • 노 웨이 아웃
  • 스톰핑 그라운즈
  • 뉴 이어즈 레볼루션
  • 벤전스
  •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 언포기븐
  • 아마겟돈
  • 인 유어 하우스- 여러 가지 부제가 붙어 있었다.
  • 노 머시
  • 인써렉션
  • 리벨리온
  • 타부 튜즈데이 /사이버 선데이- 시합 방식, 상대, 복장, 특별 심판 등이 팬들의 투표로 결정된다.
  • 에볼루션
  • 슈퍼 쇼 다운
  • 데이 원

부정적인 반응을 모은 PLE[편집 | 원본 편집]

  • WWE 로얄럼블 (2008)- 마지막으로 남은 BEST 3의 이름 값은 역대 로얄 럼블 중에서도 최고 수준이었고 실제로 역대 로얄 럼블 중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문제는 당시 부상으로 아무도 그의 출전을 예상하지 못하고 있던 존 시나가 예고 없이 30번으로 등장, 트리플 H와 바티스타에게 승리를 거둔 것.
  • WWE 레슬매니아 27- 메인 이벤트인 미즈 vs 존 시나의 경기가 문제였는데 미즈 자체가 WWE의 메인 이벤터로서 많이 부족한 편이었기 때문이다.
  • WWE 로얄럼블 (2014)- 오랜만에 파트 타이머로 복귀해서 바티스타가 2회 우승하지만 그 과정에서 경기력이 많이 저하되었고, 관중들에게 엄청난 야유를 받았다.
  • WWE 레슬매니아 30- 언더테이커의 연승이 브록 레스너에게 깨지는 바람에...
  • WWE 로얄럼블 (2015)- 대니얼 브라이언이 광탈하면서 우승자 로만 레인즈가 욕먹었다.
  • WWE 로얄럼블 (2017)- 팬들이 30번은 커트 앵글 혹은 스팅, 사모아 조를 기대했는데 예상하지 못한 로만 레인즈가 등장하자 욕했다. 다만 다행히도 우승은 못했고, 랜디 오턴이 2회 우승했다.
  • WWE 레슬매니아 33- 메인 이벤트인 언더테이커 vs 로만 레인즈의 노 홀즈 바드 매치에서 WWE 레슬매니아 20의 골드버그 vs 브록 레스너 또는 레슬매니아 27의 미즈 vs 존 시나를 재평가를 하게했다. 이유는 로만 레인즈가 경기 도중에 엄청나게 많은 실수와 동시에 언더테이커를 이겨서.

특별 TV 쇼[편집 | 원본 편집]

  • 슬래미 어워드
  • WWE 드래프트- 2016년 로스터 스플릿으로 드래프트를 실시했다.

챔피언[편집 | 원본 편집]

RAW[편집 | 원본 편집]

스맥 다운[편집 | 원본 편집]

NXT[편집 | 원본 편집]

브랜드 통합 챔피언십[편집 | 원본 편집]

과거의 챔피언 벨트[편집 | 원본 편집]

로스터[편집 | 원본 편집]

RAW[편집 | 원본 편집]

남성 레슬러[편집 | 원본 편집]

여성 레슬러[편집 | 원본 편집]

남성 태그 팀 & 남성 스테이블[편집 | 원본 편집]

여성 태그 팀 & 여성 스테이블[편집 | 원본 편집]

혼성 스테이블[편집 | 원본 편집]

스맥다운[편집 | 원본 편집]

남성 레슬러[편집 | 원본 편집]

여성 레슬러[편집 | 원본 편집]

태그 팀 & 스테이블[편집 | 원본 편집]

혼성 스테이블[편집 | 원본 편집]

NXT[편집 | 원본 편집]

남성 레슬러[편집 | 원본 편집]

여성 레슬러[편집 | 원본 편집]

태그 팀 & 스테이블[편집 | 원본 편집]

혼성 스테이블[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