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리우스 에볼라: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연도별 사망 제거 봇)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율리우스 에볼라(Julius Evola)는 이탈리아의 철학자이다.
'''율리우스 에볼라'''(Julius Evola, 1898년 5월 19일~1974년 6월 11일)는 [[이탈리아]]의 [[철학자]]이다.
그는 귀족 출신 가정에서 태어나 보수적인 가톨릭 신앙을 영향을 받고 자라면서 [[전통주의]]를 옹호하고 안티 리버럴, 미소지니, 반평등주의, 반민주주의 성향을 보이게 됐다.
그가 1934년 집필한 근대 세계에 대한 반란(Italian: Rivolta contro il mondo moderno)은 전통주의 관점에 대해 설명한 책으로 독일어, 프랑스어, 등 여러가지 언어로 번역 되었다.
게다가 신비주의 성향이 있어 이에 대해 여러가지 책을 집필했다.
1974년 6월 11일 고향 로마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지금도 그의 철학은 서구의 극우파들한테 숭배 되고 있지만 정작 율리우스 에볼라는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즘]]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갖고 있다.
물론 초기에는 그가 파시스트 정권에 개입하기도 했지만 무솔리니의 파시즘이 근대주의를 옹호한다는 이유로 멀어졌다고 한다.


[[분류:이탈리아의 철학자]]
== 생애 ==
에볼라는 [[귀족]] 출신 가정에서 태어나 보수적인 [[가톨릭]] 신앙의 영향을 받고 자라면서 [[전통주의]]를 옹호하고 안티리버럴, [[미소지니]], 반평등주의, 반민주주의 성향을 보이게 됐다. 그가 1934년 집필한 《근대 세계에 대한 반란》(''Italian: Rivolta contro il mondo moderno'')은 전통주의 관점에 대해 설명한 책으로 독일어, 프랑스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게다가 [[신비주의]] 성향이 있어 이에 대해 여러 가지 책을 집필했다.
 
1974년 6월 11일 고향 [[로마]]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사후에도 그의 철학은 서구의 [[극우|극우파]]들한테 숭배되고 있지만, 정작 율리우스 에볼라는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즘]]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가졌다. 물론 초기에는 그가 파시스트 정권에 개입하기도 했지만 무솔리니의 파시즘이 근대주의를 옹호한다는 이유로 멀어졌다고 한다.
 
== 저서 ==
* 근대 세계에 대한 반란
 
{{각주}}
[[분류:이탈리아의 학자]]
[[분류:철학자]]
[[분류:유럽의 귀족]]

2023년 8월 26일 (토) 11:36 기준 최신판

율리우스 에볼라(Julius Evola, 1898년 5월 19일~1974년 6월 11일)는 이탈리아철학자이다.

생애[편집 | 원본 편집]

에볼라는 귀족 출신 가정에서 태어나 보수적인 가톨릭 신앙의 영향을 받고 자라면서 전통주의를 옹호하고 안티리버럴, 미소지니, 반평등주의, 반민주주의 성향을 보이게 됐다. 그가 1934년 집필한 《근대 세계에 대한 반란》(Italian: Rivolta contro il mondo moderno)은 전통주의 관점에 대해 설명한 책으로 독일어, 프랑스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게다가 신비주의 성향이 있어 이에 대해 여러 가지 책을 집필했다.

1974년 6월 11일 고향 로마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사후에도 그의 철학은 서구의 극우파들한테 숭배되고 있지만, 정작 율리우스 에볼라는 베니토 무솔리니파시즘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가졌다. 물론 초기에는 그가 파시스트 정권에 개입하기도 했지만 무솔리니의 파시즘이 근대주의를 옹호한다는 이유로 멀어졌다고 한다.

저서[편집 | 원본 편집]

  • 근대 세계에 대한 반란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