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동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전라북도 +분류:전북특별자치도))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3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호남선]]
{{새 철도역 정보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이름    = 용동
File:용동사무소.jpg
|원어이름 =
</gallery>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그림    = 용동사무소.jpg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용동1길 69<br />(대조리 804-2)
|번호    =  
|노선    = [[호남선]] <small>66.7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개업일  = [[1953년]] [[11월 15일]]
|폐지일  =
|코드    = 347
|승강장  =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개요==
[[호남선]]의 철도역으로 [[전라북도]]의 첫 역이다. 원래 '용안역'으로 개업했다가 1987년에 용안면에서 용동면이 분리될 때 함께 바뀌었다.
[[호남선]]의 철도역으로 [[전라북도]]의 첫 역이다. 원래 '용안역'으로 개업했다가 1987년에 용안면에서 용동면이 분리될 때 함께 바뀌었다.
==역 정보==
==역 정보==
용동면소재지에 있기는 한데 용동면 자체가 인구가 별로 없어 [[2004년]]부터 역무원이 철수하고, [[2006년]]부터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다.
용동면소재지에 있기는 한데 용동면 자체가 인구가 별로 없어 [[2004년]]부터 역무원이 철수하고, [[2006년]]부터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다.
===역사(驛舍)===
===역사(驛舍)===
[[부황역]],[[다산역]],[[원정역]]과 완전히 동일한 형태인데, 나머지는 죄다 철거 [[크리]]를 먹었고(...) 그 중 용동역만이 역사가 남아있으나 현재 역사 입구를 막아서 내부에 들어가 볼 수는 없다.
[[부황역]],[[다산역]],[[원정역]]과 완전히 동일한 형태인데, 나머지는 죄다 철거 [[크리]]를 먹었고(...) 그 중 용동역만이 역사가 남아있으나 현재 역사 입구를 막아서 내부에 들어가 볼 수는 없다.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4em;}}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폭=13em|노선명=204 호남선|노선링크=호남선|노선거리=50.8 km
|노선명=304 [[호남선]]|노선거리=66.7 km
|전역폭=13em|전방면=[[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방면|전역=[[강경역|강경]]|전거리=6.0 km
|전방면=[[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방면|전역=[[강경역|강경]]|전거리=6.0 km
|당역폭=10em|당역='''용동'''
|당역='''용동'''
|후역폭=13em|후방면=[[목포역|목포]] 방면|후역=[[함열역|함열]]|후거리=5.1 km}}
|후방면=[[목포역|목포]] 방면|후역=[[함열역|함열]]|후거리=5.1 km}}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분류:호남선]]
[[분류:전북특별자치도에 있는 철도시설]]

2023년 9월 20일 (수) 18:30 기준 최신판

용동
주소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용동1길 69
(대조리 804-2)
노선 호남선 66.7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개업일 1953년 11월 15일
코드 347

호남선의 철도역으로 전라북도의 첫 역이다. 원래 '용안역'으로 개업했다가 1987년에 용안면에서 용동면이 분리될 때 함께 바뀌었다.

역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용동면소재지에 있기는 한데 용동면 자체가 인구가 별로 없어 2004년부터 역무원이 철수하고, 2006년부터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다.

역사(驛舍)[편집 | 원본 편집]

부황역,다산역,원정역과 완전히 동일한 형태인데, 나머지는 죄다 철거 크리를 먹었고(...) 그 중 용동역만이 역사가 남아있으나 현재 역사 입구를 막아서 내부에 들어가 볼 수는 없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대전조차장 방면
강경 6.0 km
용동 목포 방면
함열 5.1 km